온라인 과학교육 플랫폼 '랩 엑스체인지' 한국어 서비스 지원 시작
암젠 재단(Amgen Foundation)이 미국 하버드대학교 분자세포생물학과(Department of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에서 개발한 과학 체험 학습 기회를 무료로 제공하는 온라인 과학 교육 플랫폼, ‘랩 엑스체인지(LabXchange)’의 한국어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17일 밝혔다. 랩 엑스체인지는 현재까지 약 230개 국가 및 지역에서 약 2000만 명의 학습자가 이용했으며, 지속적인 학습 콘텐츠 개발 등 교육 자산 업데이트와 함께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서 한국어를 포함한 14개 다국어 기능이 지원되도록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번 한국어 서비스 업데이트를 통해 국내에서 과학에 관심이 있는 전 연령대 학습자 및 교육자들이 과학교육 자산을 시공간과 비용의 제약 없이 폭넓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랩 엑스체인지는 공신력 있는 협력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과학 교육 자산들을 통해 폭넓은 과학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자간 창의적인 협업을 2023.01.17
한국BMS제약,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오뉴렉’ 국내 출시
한국BMS제약이 급성골수성백혈병 유지요법 치료제 ‘오뉴렉(Onureg, 성분명 아자시티딘)’의 1월 16일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사내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오뉴렉은 지난해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공고요법 시행 유무와 관계없이 유도요법 이후 완전관해(CR, Complete Remission) 또는 불완전한 혈액학적 회복을 동반한 완전관해(CRi, Complete Remission with incomplete blood count recovery)를 달성하고, 조혈모세포이식(HSCT)이 적합하지 않은 급성골수성백혈병 성인 환자에서의 유지요법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이번 행사는 한국BMS제약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국내 첫 급성골수성백혈병 경구용 유지요법 치료제 오뉴렉의 새 출발을 알리는 동시에 완전관해 후 조혈모세포이식이 불가한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이 제한된 치료 상황에서 겪는 어려움에 깊이 공감하고, 오뉴렉을 통한 치료 환경 개선 의지를 다지고자 마련됐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적 2023.01.17
셀트리온, 유럽서 ‘유플라이마’ 경쟁력 강화 위해 용량 추가 변경 허가 신청
셀트리온이 5일 유럽의약품청(EMA)에 휴미라(Humira, 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개발명: CT-P17)의 20mg/0.2ml 용량 제형을 추가하는 품목 변경 허가 신청을 했다고 16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기존 허가 받은 유플라이마 40mg/0.4ml과 80mg/0.8ml 두 가지 용량 제형에 더해 20mg/0.2ml(이하 20mg) 용량 제형 추가 신청으로 처방 환경에서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제형이 추가되면 소아 환자 범위가 확대돼 몸무게가 적게 나가 저용량 투여가 요구되는 소아 환자들에게도 유플라이마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일부 국가의 입찰 참여 조건을 충족하거나 평가 점수 상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셀트리온은 오리지널 제품 및 경쟁 바이오시밀러 대비 동등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유플라이마 제품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유플라이마의 오리지널의약품인 휴미라는 미국의 애브비(AbbVie)에서 2023.01.16
오라메드-메디콕스, 경구용 인슐린 ORMD-0801 2형 당뇨 3상 실패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오라메드 파마슈티컬(Oramed Pharmaceuticals Inc.)가 개발하고 있는 경구용 인슐린 ORMD-0801이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에 실패했다. 오라메드는 ORA-D-013-1 임상시험 결과를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참가자를 2:2:1:1로 ORMD-0801 8㎎ 하루 1회 및 2회, 위약 하루 1회 및 2회 등 4개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해 약물의 효능을 비교 평가한 3상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다기관 임상시험이다. 그 결과 기준선 대비 26주차 당화혈색소(A1C) 평균 변화로 평가된 혈당 조절 개선 효능을 위약과 비교한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또한 기준선 대비 26주차 공복 혈장 포도당의 평균 변화를 평가한 2차 평가변수도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오라메드는 제2형 당뇨병에 대한 경구용 인슐린 임상시험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라메드 나다브 키드론(Nadav Kidron) 최고경 2023.01.13
셀트리온그룹, 2023년 새로운 도약 위한 시동… 위기를 ‘기회’로 만든다
셀트리온그룹이 2023년 신년을 맞아 새로운 도약을 위해 각 계열사들의 신성장 비전 및 주요 업무 목표를 전하며 전세계적으로 불안정한 거시 경제 상황 속에서도 ‘위기’를 ‘기회’로 승화시키는 한 해를 만들겠다고 13일 밝혔다. 각 계열사 모두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선제적으로 총력을 기울이고, 핵심 비즈니스는 차별화된 역량을 집중해 수익성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강자 넘어 신약 개발 회사로 변신중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강자를 넘어 다양한 항체 신약 개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초기개발 물질 중 유망한 대상을 선별해 ‘패스트팔로잉(Fast Following)’ 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다수의 항체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선행 제품들을 면밀히 연구해 개발 리스크는 줄이고 효율은 높이는 것이다. 일부 항체는 후속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와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개발하고 있다. 항체약물접합체 2023.01.13
HER2 유방암 2차 표준 치료 옵션 제시한 엔허투 국내 출시…급여신청도 완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ADC(Antibody Drug Conjugate, 항체 약물 접합체) 항암제 엔허투가 5일 국내 출시한데 이어 지난해 12월 현재 허가된 적응증에 대해 급여신청도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가 HER2 양성 유방암, 위암을 표적하는 엔허투주(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의 국내 출시를 기념해 웨스틴 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12일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엔허투는 지난해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DESTINY-Breast01와 DESTINY-Gastric01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이전에 두 개 이상의 항 HER2기반의 요법을 투여 받은 절제 불가능한 또는 전이성 HER2 양성 유방암 ▲이전에 항 HER2 치료를 포함해 두 개 이상의 요법을 투여 받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HER2 양성 위 또는 위식도접합부 선암종의 치료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이어 12월에는 DESTINY-Breast03 임상시험을 근거로 이전에 한 가지 이상의 항 2023.01.13
암젠 "2030년이면 바이오시밀러 매출 2배"…오가논, 선택성 극대화로 앞서나갈 계획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바이오시밀러 관련 최대 화두는 미국 휴미라(Humira, 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출시였다. 오리지널사인 애브비(AbbVie)가 휴미라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성 확보로 출시 첫 해 방어에 나선 가운데, 바이오시밀러사들은 PBM(Pharmacy Benefit Managers)의 의약품목록(formulary)에 등재되는 것을 올해 주요 목표로 삼았다. 메디게이트뉴스는 9~1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41th Annual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주요 기업들의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출시 전략과 장기 사업 전략을 확인했다. 먼저 애브비는 미국 전체를 커버하는 의약품목록의 90% 넘게 휴미라를 등재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모든 주요 지불 업체와 계약을 체결했고, 여전히 협상의 중심에 있었다는 것이다. 애브비 리처드 곤잘 2023.01.13
신테카바이오, 2023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AI 신약개발 서비스’ 제공
신테카바이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3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은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혁신 및 신규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수요기업에 공급기업의 데이터 구매·가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바우처 형식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번 사업을 통해 ‘딥매처-히트(DeepMatcher-HIT)’를 활용한 AI 합성신약-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 분석 서비스와 ‘네오-에이알에스(NEO-ARS)’를 활용한 AI 신생항원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수요기업에 제공한다.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수요기업은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수요기업은 2022년 기준 기업당 1건의 비즈니스 프로젝트별로 데이터가공(일반) 최대 4500만원, 데이터가공(AI) 최대 7000만원 상당의 바우처를 지원받았다. 올해 수요기업은 추후 공고를 통해 모집될 예정이다. 회사는 딥매처나 네오-에이알에스 2023.01.12
한국바이오협회, 글로벌 바이오 투자유치 위한 '2023 Global IR@JPM' 개최
한국바이오협회가 JP 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의 부대행사로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나스닥 안트라프리뉴리얼 센터(Nasdaq Entrepreneurial Center)에서 ‘KoreaBIO & BioCentury & Sidley Austin 2023 글로벌 IR @JPM’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미리 선발된 우리나라 및 해외 유수의 바이오 스타트업 12개사가 참여해 IR 발표를 했고, 바이오 업계 전문가와 투자자들이 좌담을 진행했다. 최초로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행사 현장에는 전세계 20여개국에서 참석한 청중들이 만원을 이뤄, 바이오 산업의 미래와 현실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패널토론에서는 바이오센츄리의 편집장인 제프 크랜머(Jeff Cranmer)의 주도로 코로나 이후 침체되어 있는 바이오 시장에 대한 국내외 글로벌 투자사들의 견해를 피력했고 최근 우리나라 바이오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한 견해를 바이오 헬스케어 투자사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2023.01.12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3대 축' 확장 가속화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지속 성장을 위한 3대 축(생산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확장에 속도를 내며 톱티어 바이오 기업으로 본격 도약한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사장)는 11일(현지시간) 2023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올해 4공장을 필두로 적극적인 수주 활동을 펼치는 한편, 제2바이오캠퍼스를 통한 생산능력 확장도 추진할 것”이라며 “또 항체약물접합체(ADC)·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품으로 CDMO 포트폴리오를 늘리고, 글로벌 고객사가 밀집한 주요 도시에 거점을 구축하며 3대 축 중심의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9~12일 나흘간 진행된 2023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이 매년 개최하는 행사로 전 세계 8000여 명의 투자자와 550여 개 바이오 기업이 참여하는 글로벌 대표 바이오·제약 투자 컨퍼런스다. 코로나19 여파로 2021년 이래 온라인으로 개최되다가 3년만에 오프라인 행사로 재개됐다. 존림 대표는 이번 행사에서 주 2023.01.1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