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의대 한진·차의대 서창옥·울산의대 김민선 교수, 제20회 화이자의학상 수상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주관하고 한국화이자제약이 후원하는 '제20회 화이자의학상(Pfizer Medical Research Award)' 수상자가 12일 발표됐다. 기초의학상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한진 교수, 임상의학상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서창옥 교수, 중개의학상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민선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화이자의학상은 국내 의학계 발전을 지원하고 기업시민으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한국화이자제약 창립 30주년인 1999년 제정됐다. 매년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부문, '중개의학' 부문에서 당해 연도 기준 2년 이내 발표된 개별 논문들에 대한 우수성, 창의성, 과학성, 공헌도 등을 평가해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수상자를 발표한다. 올해로 의과학자 총 49명을 발굴했으며 기초연구부터 실용적인 의학 연구까지 국내 의과학자들의 폭넓은 연구를 독려하고 지원하며 해를 거듭할수록 권위있는 의학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기초의학 2022.10.12
2021년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 용량, 2018년보다 12% 증가한 1740만리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2021년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생산 용량은 1740만 리터로 2018년보다 1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북미와 서유럽이 가장 큰 용량을 보유하고 있고, 시설별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생산 용량이 가장 컸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11일 '2021년 기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 용량'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협회는 "지난 몇 년 동안 바이오의약품 생산 인프라에 100개 이상 시설이 추가됐지만 전체 캐파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면서 "이는 상대적으로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를 생산하는 작은 규모의 시설이 늘고, 기존 시설 내에서 생산성 향상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발표했다. 협회에 따르면 플랫폼별 비율은 포유류 기반 플랫폼이 1175만 리터로 67.7%를 차지했고, 미생물 25.8%, 혈액 및 플라즈마 4.6%, 식물 0.7% 순이었다.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등 첨단치료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 2022.10.12
신테카바이오-엠디바이오랩, AI 활용 신약후보물질 작용기전 공동연구 계약 체결
신테카바이오가 엠디바이오랩(MDBiolab)과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는 엠디바이오랩의 저분자 화합물 신약후보물질인 MD102의 생물학적 기전 연구를 신테카바이오의 화합물-단백질 결합 예측 인공지능(AI) 플랫폼인 딥매처(DeepMatcher) 기술을 적용해 진행된다. MD102의 작용 기전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향후 적응증 확장 등 후속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D102는 암 특이 표적인 트랜스글루타미나제2(Transglutaminase 2, TG2) 저해제로, 엠디바이오랩이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있는 저분자 화합물 신약 파이프라인이다. TG2 억제를 통한 항암 작용 기전으로, 생체 내 이종이식(in vivo xenograft) 실험 결과에서 항암 효능을 확인하여 현재 신장암을 타깃으로 개발 중이다. MD102의 표적 단백질 TG2는 세포 내외의 환경에 따라 단백질 구조의 변화가 크고, 이에 따라 단백질 기능과 관련 질환도 달라진다. 딥매처 2022.10.11
CSL 시퀴러스코리아, 4가 인플루엔자 백신 연구 결과 의학저널 백신지에 게재
CSL시퀴러스(CSL Seqirus)는 국내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면역증강제 함유 4가 인플루엔자 백신(aQIV)이 인플루엔자 관련 질병 부담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된다는 연구 결과가 의학저널 백신(Vaccines)에 게재됐다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세 종류의 4가 인플루엔자 백신(▲면역증강제 함유 백신(aQIV) ▲표준항원량 백신(QIV) ▲고용량 백신(HD-QIV))의 접종 전략에 따른 인플루엔자 관련 질병 부담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고령층에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전략을 표준항원량 백신(QIV)에서 면역증강제 함유 인플루엔자 백신(aQIV)으로 전환하면 인플루엔자 관련 질병부담이 유의미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면역증강제 함유 인플루엔자 백신(aQIV)과 고용량 인플루엔자 백신(HD-QIV)으로 인한 공중보건적 편익 향상은 유사할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증강제 함유 인플루엔자 백신(aQIV)은 표준항 2022.10.11
네오이뮨텍, 유엔 글로벌콤팩트 가입…"ESG 경영 도입의 첫 발자국"
네오이뮨텍이 글로벌 수준의 ESG 경영 도입을 위해 유엔 글로벌콤팩트(UNGC)에 가입했다고 11일 밝혔다. UNGC는 글로벌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2000년에 창설된 유엔 산하 기구이며, 각 기업의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위한 10대 원칙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고 있다. 화이자, 머크 등 글로벌 제약사를 포함해 전 세계 165개국 1만9000여 개 기업,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네오이뮨텍은 유엔 글로벌콤팩트 가입을 시작으로 향후 ESG 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ESG 경영 체계 구축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경영 체계가 구축되는 대로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ESG 리포트 발간도 계획하고 있다. 아직 신약 개발 단계의 바이오 기업임에도 선제적으로 ESG 경영을 도입하는 이유는 신약 개발 기업으로써 책임감뿐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도 지속 가능한 경영을 펼치겠다는 의지 실천하기 위함이다. 또한 국내외 투자 환경에서 기업의 ESG 의지와 성 2022.10.11
후지필름, 한국에 세포배양배지 분야 법인 설립…한국 바이오 시장 진출
후지필름 코퍼레이션이 세포배양배지 사업 성장과 가속화를 위해 한국에 한국후지필름 라이프사이언스를 설립하고 4일부터 사업을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세포배양배지 시장은 항체 치료제 및 백신 수요 증가와 세포 및 유전자 기반의 첨단 치료제 개발에 힘입어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한국은 약 15%의 성장세를 보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후지필름이 이번에 설립한 한국 법인은 바이오프로덕션(Bioproduction)과 세포 및 유전자 기반의 첨단 치료제를 위한 고품질의 세포배양배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 국내 법인을 통해 고객과 직접 소통함으로써 한국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맞춤형 배양 배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후지필름은 현재 자회사인 후지필름 와코 퓨어 케미컬(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 후지필름 어바인 사이언티픽(FUJIFILM Irvine Scientific, Inc.)과 함께 세포배양배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세 2022.10.11
램시마SC 리얼월드 데이터, 유럽장질환학회서 공개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플릭시맙 정맥주사제형(IV)에서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로의 전환(switching)에 대한 리얼월드 데이터(real-world data)를 공개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8~1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2022 유럽장질환학회(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Week, UEGW)에서 유럽 내 주요 의료관계자들을 초청해 '인플릭시맙 IV에서 램시마SC로 전환 시 효능 및 안전성: 다기관 코호트 연구' 전문가 세미나를 부스에서 개최했다. 영국 리버풀 대학 병원(Liverpool University Hospitals) 소속 필립 제이 스미스(Philip J Smith) 위장병 전문의 연구팀 주도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인플릭시맙 IV에서 램시마SC로 전환한 181명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을 측정 지표를 토대로 12개월 동안 분석했다. 연구 결과 92.3%가 램시마SC에 대한 치료 지속성(Tre 2022.10.11
알지노믹스, 간암 치료제 美FDA 임상시험계획 승인
알지노믹스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간암 치료제 RZ-001의 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알지노믹스는 리보핵산 치환효소(RNA trans-splicing ribozyme)를 기반으로 표적 RNA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RZ-001은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벡터로 리보핵산 치환효소를 전달함으로써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텔로머라아제(hTERT) RNA를 표적함과 동시에, 항암작용을 유도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알지노믹스는 다른 암종으로도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연내 악성교모세포종에 대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알지노믹스 이성욱 대표는 "개발중인 파이프라인들이 순차적으로 국내외 임상에 착수될 예정이며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2.10.11
네오이뮨텍, 美 SITC에서 구두 발표 등 총 5개 임상 공개
네오이뮨텍이 미국 보스턴에서 11월 8~12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에서 NT-I7(물질명 efineptakin alfa) 임상 현황을 구두발표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한다고 6일 밝혔다. 면역관문억제제 단독으로는 성과가 없었던 췌장암과 MSS 대장암에서 치료 가능성을 보인 키트루다 병용 NIT-110(고형암) 임상은 구두 발표 주제로 선정됐다. 11월 11일 차세대 사이토카인 치료(Next-Generation Cytokine Therapy) 세션에서 췌장암, MSS 대장암 환자의 바이오마커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NIT-110 임상 외에도 2건의 임상 데이터 및 현황과 2건의 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 세션에서 공개한다. 먼저 NIT-107(교모세포종)은 안전성과 항암효과에 대한 1상 결과 데이터가 공개된다. NIT-115(두경부 편평세포선암) 1상 임상은 최근 첫 환자 투여 이후 임상에 속도를 2022.10.06
이수앱지스, 파바갈 임상2상 논문 SCI급 국제 학술지 ‘메디슨’에 게재
이수앱지스는 서울아산병원 이범희 교수 등이 참여한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의 임상 2상 결과에 대한 논문이 SCI급 국제 학술지 메디슨(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6일 밝혔다. 이 논문은 2012년, 파브리병 환자를 대상으로 파바갈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된 임상 2상 시험에 대한 결과와 평가에 관한 것이다. 22주간 실시된 임상 시험에서 파바갈을 투여한 대상자 전원에서 중대한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고, 혈장 및 소변에서 파브리병의 원인인 당지질 Gb3(globotriaosylceramide)의 수치가 정상수준에 도달함을 확인하여 파브리병 치료제로써 안전성과 유효성을 모두 확보했다. 논문은 결론적으로 파바갈은 기존 파브리병 치료제와 임상적으로 열등하지 않는 효능을 입증했기에 국내 파브리병 환자들에게 경제적인 약가의 치료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이수앱지스 사업개발 및 라이센싱 총괄 박상호 전무는 "이미 파바갈은 2022.10.0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