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빔테크놀로지, 하버드의대 연구기관과 생체현미경 공급계약
최첨단 생체현미경 (Intravital microscopy) 기술 기업 아이빔테크놀로지가 하버드의대(Harvard Medical School) 내 줄기세포연구소(Harvard Stem Cell Institute)에 이광자 생체현미경 주력모델인 'IVM-MS2' 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하버드의대 내 줄기세포연구소의 Kara McKinley 박사팀은 미니장기 배양기술을 이용해 장과 자궁의 재생 과정을 관찰하고 결함 발생시 어떻게 암과 자궁내막증이 발생되는지에 관한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이외에도 손상된 조직의 복구를 위한 재생 메커니즘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IVM-MS2는 생체 내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들을 고해상도로 이미징하기 위해 하나로 집약시킨 올인원(All-in-one) 생체현미경 제품이다. 기존 이광자 현미경의 모든 기능을 최고도로 구현함과 동시에 집약된 기술력으로 고해상도 영상성능과 사용자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이번 공급 2022.07.15
삼성바이오에피스, 다채로운 리크루팅 프로그램 진행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지난해에 이어 올 여름에도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직무 멘토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리크루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여름에 뭐하니?' 라는 주제로 '멘토링 in 에피스쿨', 'EPISode in 에피스', 'EPIS DAY' 등 다채로운 리크루팅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멘토링 in 에피스쿨'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입사 4~5년차 직원 40여명이 멘토로 나서 직무 소개, 필요 역량, 취업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EPISode in 에피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개발, 임상, 커머셜 직무의 하루 일과를 소개하는 브이로그 영상으로 해당 영상들은 회사 홈페이지,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8월 4일부터 순차적으로 업로드 될 계획이며, 'EPIS DAY'는 회사 및 바이오 산업을 소개하는 온라인 설명회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멘토링 in 에피스쿨'은 오는 15일부터 'EPIS DAY'는 8월8일부터 삼성바이오에피 2022.07.14
길로 연구소, 연골 및 뼈 분화 과정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고령화 시대 만성 난치성 골관절질환인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연골/뼈 손실의 치료를 위한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가 연구소장을 겸임하는 재단법인 길로 연구소는 연세대학교, 일본 츠쿠바대학교, 테라젠이텍스, 메드팩토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MAST4 단백질이 중간엽 줄기세포(MSC, Mesenchymal Stem Cell)의 연골 세포나 뼈 세포로의 분화를 결정하는 핵심 단백질이라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7월호에 게재됐다. 중간엽 줄기세포의 연골 및 뼈 분화는 Sox9, Runx2와 같은 핵심 전사 인자, TGF-beta, Wnt/beta-catenin 신호 전달 체계에 의해 정교하게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개별 분화의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해 실제 세포 치료로 구체적으로 응용하는데 어려움이 2022.07.14
신테카바이오, NGS 기반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보정 알고리즘 'RDscan' 논문 게재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유전 변이 정확도 보정 알고리즘 '알디스캔(RDscan, Read Depth Scanning)' 성능평가 연구 결과가 SCIE급 국제 저널 '컴퓨테이셔널 바이올로지(Computational Bi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14일 밝혔다. 신테카바이오는 기존 유전 변이 검출 알고리즘의 오류를 보정해 변이 검출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킨 알디스캔을 신규 개발했다. 알디스캔은 표준 유전체 염기서열에 정리된 리드뎁스(Read Depth)들의 분포를 고려해 위양성 변이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향상시킨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검출 알고리즘이다. 성능평가는 인하대병원 정밀의료분석지원센터 김루시아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진행됐다. 기존 변이 검출 알고리즘을 단독으로 적용했을 때와 대비해 알디스캔을 추가 적용하고 변이 검출 결과를 보정했을 때 2022.07.14
올리패스, OLP-1002 호주 임상2a상 2단계 조기 진입
RNA 치료제 플랫폼 기업 올리패스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OLP-1002에 대한 호주 임상2a상 시험 2단계 '위약대조 이중맹검' 평가를 위해 윤리위원회(HREC)에 임상시험 계획서를 제출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임상2a상 시험 1단계 오픈 라벨 평가는 아직 완료되지 않았지만 말초 신경 제어에 특화된 임상 용량인 1마이크로그램 OLP-1002 투약 시 일차 요법 치료제에 부합하는 강한 진통 효능과 긴 약효 지속력이 관측되었기 때문에 2단계 평가에 조기 진입하기로 결정했다. 2단계 평가에서는 관절염 통증 환자들에 1마이크로그램 OLP-1002, 2마이크로그램 OLP-1002, 혹은 위약을 1회 투약한 후 6주에 걸쳐 환자별 진통 효능을 위약대조 이중맹검 방식으로 추적할 예정이다. 올리패스 측은 "9월부터 투약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2단계 평가에서 OLP-1002의 진통 효능이 통계적으로 최종 확인되면 진통제 신약으로써 OLP-1002의 성공뿐 아니라 OliPass PNA 인공유전 2022.07.14
셀트리온, 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해 다수 ISO 인증 획득
셀트리온이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제정한 다수의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신민철 셀트리온 관리부문장과 임성환 BSI(영국왕립표준협회)코리아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13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ISO 통합인증 수여 행사를 진행했다. 셀트리온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제약·바이오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37001(반부패경영시스템), ISO 22301(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 등 5개의 국제표준 인증을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취득했다. 높은 수준의 품질 향상과 고객만족을 위해 세계에서 가장 널리 채택된 대표적인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을 도입했다. 품질 경영시스템 운 2022.07.14
한국MSD 키트루다, 삼중음성 유방암 수술 전후 보조요법 적응증 허가
한국MSD는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고위험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치료를 위한 수술 전후 보조요법 적응증을 허가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이로써 키트루다는 지난해 7월 획득한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재발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적응증에 이어 이번 고위험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수술 전후 보조요법 적응증에 이르기까지 삼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면역항암 치료 전선을 구축했다. 이번 허가로 치료 경험이 없는 2기 또는 3기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들에게 ▲수술 전 보조요법으로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 독소루비신 또는 에피루비신+사이클로포스파미드) 병용투여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키트루다를 단독투여할 수 있게 됐다. 수술전후 보조요법에 키트루다를 사용할 시 PD-L1 발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가 필수적이지 않아 더 많은 환자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 2022.07.14
中허치메드 c-MET 억제제 사볼리티닙, 타그리소와 병용 글로벌 2상 데이터 첫 공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중국 바이오기업 허치메드(HUTCHMED)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8월 열리는 2022 세계폐암학회(IASLC 2022 WCLC)에서 SAVANNAH 글로벌 2상 임상시험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한다. 허치메드는 8월 6~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세계폐암학회에서 발표될 SAVANNAH 연구 결과 초록이 학회 홈페이지에 공개됐다고 13일 밝혔다. 이 임상연구는 비소세포폐암에서 내성 메커니즘을 해결하기 위해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선택적 억제제 사볼리티닙(savolitinib)과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EGFR-TKI) 타그리소(TAGRISSO, 성분명 오시머티닙)를 병용해 시험하는 연구다. 총 294명이 연구에 등록됐고, 사볼리티닙 300mg 1일 1회 또는 300mg 1일 2회, 600mg 1일 1회를 투여받도록 무작위 배정됐다. 이번에 발표되는 초록은 데이터 마감일인 2021년 8월 27일가지 2022.07.14
암젠 루마크라스, 키트루다·티쎈트릭 병용요법 초기 데이터 최초 공개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암젠(Amgen)의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표적 치료제 루마크라스(Lumakras, 성분명 소토라십)와 MSD의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로슈(Roche)의 티쎈트릭(Tecentriq, 성분명 atezoliuzumab) 병용요법에 대한 초기 데이터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국제폐암연구협회(IASLC)가 12일(현지시간)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8월 6~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2022 세계폐암학회(WCLC 2022) 발표 초록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학회 이튿날인 8월 7일 구연발표 세션에서 'CodeBreaK 100/101: 진행성 KRAS G12C 비소세포폐암에서 펨브롤리주맙 또는 아테졸리주맙과 병용한 소토라십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첫번째 보고서' 초록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루마크라스는 폐암 발생에 관여하는 KRAS G12C 돌연변이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첫 경구용 치료제 2022.07.14
네오이뮨텍, NT-I7 뇌암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네오이뮨텍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교모세포종에 대한 희귀의약품 지정(ODD, Orphan Drug Designation)을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NT-I7이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것은 진행성 다발초점성 백질뇌병증(2020년 미국), 특발성 CD4 림프구감소증(2017년 유럽, 2019년 미국)에 이어 네 번째다. 교모세포종은 생존율이 낮고 표준 치료인 화학/방사선 치료로 인한 림프구 감소증과 같은 한계가 있어 치료가 어렵다. NT-I7은 화학/방사선 치료로 인해 파괴된 T 세포를 증폭시켜 환자의 생존율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공개한 신규 교모세포종 1/2상 임상 중간 결과 표준치료와 NT-I7 병용 시 1년 이상 생존율이 94%(표준 치료 시 1년 생존율 25%)에 달했다. 네오이뮨텍은 NT-I7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해 향후 임상 시험에 대한 세금 공제, 사용자 수수료 면제를 받는다. 또한 향후 신약으로 승인을 받을 2022.07.1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