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오케스트라, 2022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참가
바이오오케스트라가 13~16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2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2022 BIO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석한다고 8일 밝혔다. 바이오 인터내셔널은 1만5000명 이상의 생명 공학 및 제약 업계 리더 및 관계자들이 모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행사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최근 2년 연속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나 올해는 전면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만큼 다수의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오케스트라 류진협 대표는 바이오 인터내셔널에서 16일 오후 12시부터 15분 동안 진행되는 기업소개 발표 세션(Company Presentations)에 발표자로 선정돼 개발 중인 RNA 기반 알츠하이머 치료제(BMD-001)와 약물전달체(BDDS)에 대해 소개한다. 바이오오케스트라는 현재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1:1 파트너링 미팅 요청을 받고 있어 미팅 일정을 조율 진행중이며,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파트너링 미팅을 통 2022.06.08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챌린지' 공동 개최
존슨앤드존슨이노베이션(Johnson & Johnson Innovation)과 한국얀센(Janssen Korea)이 서울시,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과 공동으로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챌린지: 내일의 과학 발전(Scientific Advancements of Tomorrow)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 이노베이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올해 여섯 번째로 열리는 이번 퀵파이어챌린지는 개인, 기업, 학계, 생명공학자, 스타트업 등 전 세계 혁신가들을 초청해 종양학, 면역학, 감염병, 신경과학, 심혈관 및 대사 질환, 망막 질환, 폐고혈압, 시력 등 다양한 중점 분야에서 과학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 또는 기술을 모집한다. 수상자들은 최대 1억5000만 원의 지원금과 서울바이오허브 2년 입주권, 상하이 JLABS 전용 워크스테이션 1년 이용권을 포함한 아태지역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인프라 접근 및 멘토십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JLABS 글로벌 2022.06.08
모더나,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후보 물질 'mRNA-1010' 3상 임상 첫 투약 완료
mRNA 치료제 및 백신 분야 바이오테크 기업 모더나가 7일 자사의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후보 물질 mRNA-1010 임상 시험 3상의 첫 참가자들에게 투약을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임상 시험은 남반구 국가에 거주하는 약 6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이미 허가된 계절 인플루엔자 백신과 비교해 mRNA-1010의 안전성과 면역학적 비열등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이번 3상 임상 시험은 무작위 배정, 관찰자 눈가림으로 이뤄진다. 참가자들은 1:1 비율로 투약군 및 활성대조군에 무작위로 배정돼 단일 용량의 mRNA-1010 또는 단일 용량의 현재 사용 중인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투여 받는다. mRNA-1010은 인플루엔자 A/H1N1, A/H3N2, 인플루엔자 B/야마가타 및 B/빅토리아 계통 등 세계보건기구(WHO)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권고한 4가지 인플루엔자 균주의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 당단백질을 2022.06.08
ONO-BMS,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두 가지 임상연구 추적조사 결과 발표
한국오노약품공업과 한국BMS제약은 3~7일(현지시간)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ASCO 2022)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두 가지 임상연구의 추적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옵디보-여보이+2 사이클의 화학요법 병용을 평가한 3상 임상연구 CheckMate-9LA의 3년 추적 결과와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을 평가한 CheckMate-227 파트 1의 5년 추적조사 결과다. CheckMate-9LA는 PD-L1 발현율 및 종양 조직학적 특성과 관계없이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옵디보-여보이+2 사이클의 백금 기반 화학요법 병용을 화학 단독요법과 비교 평가한 오픈라벨, 무작위 임상 3상 연구다. 최소 3년 이상(36.1개월) 추적 관찰 결과, 옵디보-여보이+2 사이클의 화학요법 병용 치료를 받은 환자의 27%가 생존한 반면, 화학 단독요법 치료를 받은 환자는 19%가 생존했다(HR 0.74; 95% CI: 0.62-0.87). 3년 장기 유효 2022.06.08
알지노믹스, 372억 시리즈 C 투자유치…누적 609억원 달성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신약 개발 기업인 알지노믹스가 372억 원의 시리즈 C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산업은행과 AON 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 인베스트먼트, IBK 캐피탈, 쿼드벤처스, SBI 인베스트먼트, 신한벤처투자, UTC 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지금까지 시리즈 A, B에서 237억 투자액을 포함하여 누적 합계 총 609억원의 투자액을 달성했으며, 국가신약개발과제 등으로 80여억원의 정부출연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알지노믹스는 리보핵산 치환효소(Trans-splicing ribozyme) 라는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RNA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치료 RNA를 발현시키는 기전이다. 이를 활용해 간암, 교모세포종, 알츠하이머, 유전성 망막색소변성증 등을 대상으로 혁신 신약을 개발 중이다. 나아가 치료제 및 백신 등 다양한 분야로 적용될 수 있는 고유의 원형 RNA 구조체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2022.06.08
릴리 신약 티제파티드 비만 임상 상세 데이터 공개…72주 치료로 체중 평균 16~24㎏ 줄어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참가자의 체중을 20㎏나 줄인 릴리(Eli Lilly and Company) 신약 티제파티드(tirzepatide, 미국 제품명 Mounjaro) 3상 임상시험의 구체적인 데이터가 공개됐다. 8일 의학계에 따르면 비만 또는 과체중 치료제로 티제파티드를 평가한 3상 SURMOUNT-1 임상시험의 자세한 결과가 최근 미국당뇨병학회 연례학술대회(ADA 2022)와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동시 발표됐다. 이 연구에서 티제파티드는 임상시험 시작점 대비 우수한 평균 체중 변화율과 최소 5% 이상 체중 감소를 달성한 참가자 비율 두 가지 공동 1차 평가변수를 모두 충족시켰다. 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가 30이상이거나 27이상이면서 당뇨병을 제외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중 관련 합병증을 가진 성인 2539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티제파티드의 세 가지 용량(5㎎, 10㎎, 15㎎) 또는 위약군에 1:1:1:1 배정돼 2022.06.08
셀레믹스 타겟 캡쳐 기술 활용한 벼 유전자형 대량 분석 기술 개발 성공
유전자분석 기술플랫폼기업 셀레믹스가 국내 최초 개발해 공급한 벼 패널 및 타겟 캡쳐 결과를 활용해 농촌진흥청 주도로 벼 유전자형 대량 분석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벼 품종들을 활용해 병충해와 기상재해에 저항성을 가진 신품종 벼의 빠른 육종을 시도해 왔으나 일부 품종에 대한 유전자형 대량 분석 기술이 없어 연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농촌진흥청 산하의 국립농업과학원은 셀레믹스와 1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셀레믹스의 NGS기반 타겟 캡쳐(Target Capture) 기술을 활용해 우리나라 주류 벼 품종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벼 유전자형 대량 분석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 이번 협업을 통해 개발에 성공한 기술은 기존 품종의 단점을 보완한 신품종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업적 의미가 있는 동시에 그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도 개제하며 정부기관과 산업체의 기술을 융합한 성공적인 협력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셀레믹스가 개발한 벼 패널은 동 2022.06.07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세 자매의 뼈 있는 수다' 유튜브 다큐영상 질환 캠페인 전개
대한골대사학회가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식 제고를 위한 ‘2022 골(骨)든타임 사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질환 교육 영상 시리즈 ‘뼈문뼈답 시즌3: 다큐편’을 제작해 유튜브 질환 캠페인을 6월부터 전개한다고 7일 밝혔다. 학회는 2020년 ‘골다공증 바로알기편’, 2021년 ‘골다공증 관리 실전편’ 영상 시리즈에 이어 올해는 골다공증을 진단받은 세 자매 환자들의 실제 치료와 관리, 생활 스토리를 생생하게 담은 ‘다큐편’을 선보인다.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해 지금부터 뼈를 든든하고 튼튼하게 잘 관리하자’는 의미의 ‘골(骨)든타임 사수 캠페인’은 대한골대사학회가 2018년부터 5년째 골다공증 질환 인식 개선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캠페인이다. 대표 프로그램인 ‘뼈문뼈답’ 영상 시리즈는 학회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지금이 바로 당신의 뼈 건강을 위한 골(骨)든타임’이라는 주제로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에 대한 생생하고 실용적인 정보를 전달해왔다. 대한골대사학회 하용찬 이사장은 “골다 2022.06.07
에이비엘바이오, 2022 BIO USA 참석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2022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BIO USA)'에서 여러 다국적 제약사들과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와 이를 활용한 파이프라인에 대한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BIO USA는 전세계 3000개 이상의 기업들과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행사로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만난 다국적 제약사들과 후속 논의를 이어가는 한편, 새로운 기업들과의 비즈니스 미팅도 진행할 계획이다. 뇌혈관장벽(Blood-Brain-Barrier, 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는 물론 ‘그랩바디-T(Grabody-T)’와 ‘그랩바디-I(Grabody-I)’에 대한 관심도 역시 높아 퇴행성뇌질환과 면역항암 분야 모두에서 진전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22.06.07
테라젠바이오, 질병관리청 주관 '한국인칩 유전체정보 생산 사업' 진행
글로벌 유전체 분석서비스 및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기업 테라젠바이오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미래의료연구부 유전체연구기술개발과에서 개발 중인 한국인칩 2.0 시범 칩 대량 생산사업을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2018년 한국인칩(버전 1.1) 기술이전을 통한 상용화 진행 이후 정밀의료 연구 활용성을 높인 한국인칩 2.0 개발을 위한 시범칩 데이터 생산 사업으로 올해 연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기존 유전체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DNA칩이 서양인 중심으로 설계돼 있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인에 최적화된 DNA칩 개발에 힘써왔으며 2015년 한국인칩 1.0을 개발했다. 현재 개발 중인 한국인칩(KBAv2.0)은 한국인 유전자를 대표하는 200만개 이상의 임상 활용성이 높은 마커를 다수 포함하는 차세대 칩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유전체칩과 달리 더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스크리닝 할 수 있게 된 것이 특징이다. 2022.06.0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