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온, 미국암연구학회서 표적항암제 ABN501 비임상 연구 결과 발표
정밀항암신약 개발기업 에이비온이 8~13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Cancer Research, AACR)에서 ABN501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클라우딘은 다양한 유형의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세포 간 접합단백질로 유력한 항암 바이오마커이며, 이미 클라우딘18.2는 대규모의 글로벌 기술거래가 다수 발생했다. ABN501은 클라우딘 단백질 중 주요한 고형암에 원인이 되는 클라우딘3를 표적 하는 혁신신약이다. 위암 등 한정적인 암종에만 활용 가능한 클라우딘18.2와 비교했을 때 클라우딘3는 여러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장할 수 있어 유망한 바이오마커로 알려져 있으나, 특이적인 항체를 찾아내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많은 바이오 기업들이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AACR에서 에이비온은 클라우딘3에 특이적인 항체에 대한 고유 항암 유효성 증진성과 다양한 약물 플랫폼이 적용된 ABN501 2022.04.14
미국암연구학회에서 눈길 끈 새로운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임상시험 4건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세계 최고 권위의 암 학회 중 하나인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가 8~13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연례학술대회를 열었다. 올해도 면역항암제에 대한 많은 연구 데이터가 발표된 가운데 12일(현지시간) 임상시험 본회의 세션에서는 소규모지만 의미 있는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임상 결과가 공개됐다. 옵디보+여보이, 흑색종 환자의 항PD-1 내성 역전 가능성 시사 항PD-1 요법은 흑색종 치료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지만 많은 환자에서 내성이 발생한다. 이번 AACR에서는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요법으로 내성을 돌파하기 위한 임상연구 2건의 데이터가 공개됐다. 먼저 미국 웨스트암센터(West Cancer Center) 아리 밴더왈드(Ari VanderWalde) 박사는 SWOG1616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항PD-1 또는 항PD-L1에 불응성인 진행성 진행성 흑색종 환자 2022.04.14
프리모리스, '창상치료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 사업 최종 선정
기능강화 엑소좀 및 약물전달 플랫폼(DDS) 기반 신약개발 기업 프리모리스가 창상치료제로 2022년도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의 신규 지원 대상과제 최종 대상자에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와 임상 연계를 통한 재생의료치료제·치료기술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프리모리스가 선정된 사업의 규모는 17억8900만원으로, 정부로부터 4년간 약 11억8300만원을 지원받는다. 프리모리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체 개발한 ExoPlus(기능강화 엑소좀)를 원료로 하는 창상치료제의 비임상 결과 확보 및 GMP내 생산 공정 구축과 함께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및 임상 1상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한다. 프리모리스의 파이프라인 중 가장 빠른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창상치료제는 국내 최대 화상전문병원인 베스티안 병원과 공동개발 중이다. 베스티안 병원을 통해 임상이 진행되며 승인 즉시 제품 사용도 이뤄질 예정이고, 2022.04.13
다원메닥스,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위한 기술성평가 신청
다원시스의 자회사인 다원메닥스가 한국거래소에 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 신청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코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기술성 평가 신청에서 다원메닥스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2곳에서 기술 완성도와 인력 수준, 성장 잠재력 등을 평가받게 될 예정이며 기술특례상장을 위해서는 각각 A등급과 BBB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다원메닥스는 이르면 상반기내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성 평가 심의를 통과한 후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해 연내 코스닥 상장을 완료할 계획이다. IPO 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DB금융투자증권이 공동주관사로 참여한다. 다원메닥스의 붕소중성자포획 치료는 붕소의약품과 의료용 가속장치를 이용해 암세포만 선별적으로 사멸시키는 암 치료법으로 교모세포종 동물효력시험에서 높은 종양억제효과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완료했다. 현재 의료기술로 치료가 어려운 뇌종양, 두경부암, 피부 흑색종 등에서 뛰어 2022.04.13
테라젠바이오, 질병예측 개인유전자검사 서비스 헬로진 4.0 출시
글로벌 유전체 분석서비스 및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기업 테라젠바이오가 질병예측 개인유전자검사 서비스 '헬로진 4.0'을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2017년 한국인 유전자 및 마커들을 보완해 출시한 헬로진 3.0 버전 이후 5년만의 변화다. 헬로진 4.0은 의료 기관에 의뢰해 혈액채취 서비스를 진행하고 의뢰한 기관에서 유전자 검사결과를 의료전문가에게 받아볼 수 있는 질환 예측 유전자 검사다. 한국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유전자 분석 알고리즘을 가지고 다양한 인종의 연구집단에서 반복적으로 보고돼 유의미한 유전자를 선정해 진행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각 질병 별로 3개 이상의 다중마커를 사용해 질병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기존 검사 대비 한국인과 아시아인에서 검증된 마커 수와 유전자 수가 약 2배 가까이 증가하고 검사항목 역시 97개에서 141개로 이전 버전 대비 약 69% 증가했다. 테라젠바이오 관계자는 "기존 3.0 버전보다 유전자 분석 결과 보고가 2022.04.13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4세대 폐암 표적치료제 'BBT-207' 전임상 연구 포스터 발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8~13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2022 미국 암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AACR Annual Meeting 2022)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 등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를 표적 치료하는 신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로 개발되고 있으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자체 발굴한 첫 개발 후보물질이다. 브릿지바이오는 행사 닷새째인 12일 포스터 세션을 통해 ▲세포 및 동물실험 기반 BBT-207의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저해능 ▲동물 모델에서의 BBT-207의 약동학적 평가 결과 등을 중 2022.04.13
셀트리온, 미국암연구학회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3상 결과 첫 공개
셀트리온은 최근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에서 아바스틴(Avastin, 성분명 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CT-P16의 임상 3상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AACR은 세계 최고 권위의 암 학회 중 하나로, 매년 열리는 학술회의를 통해 암 치료와 항암제 개발 동향, 임상결과, 혁신의료기술 등 연구정보를 발표하고 관련 논의를 진행한다. 올해는 8~13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3년 만에 대면 행사로 열렸다. 셀트리온은 이번 AACR 포스터 발표를 통해 아바스틴의 대표 적응증 중 하나인 비소세포폐암에서 환자 689명을 대상으로 피험자를 두 개 그룹으로 나눠 각각 CT-P16과 아바스틴을 병용 항암제와 함께 3주에 한 번씩 최대 6회에 걸쳐 투약(유도 시험기간: induction study period) 이후 최대 3년 동안 단독 투약하는 3상 결과를 최초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에서는 임상의 1차 평가 변 2022.04.13
1분기 국내 제약사와 VC들이 투자한 바이오사는…대기업도 전략적투자자로 적극 참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국내 바이오 시장에서 1분기 보타메디(BotaMedi)가 벤처캐피탈(VC)로부터 약 8000억원을 투자 받으면서 가장 큰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타메디 투자금은 나머지 기업 전체 투자금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바이오오케스트라(Biorchestra)와 오가노이드사이언스(Organoid Sciences)가 뒤를 이었다.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메디게이트뉴스가 2022년 1분기 국내 바이오헬스 벤처 투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약 50개 기업이 1조5000억원 가량을 투자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들은 항암제 개발 바이오사 투자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국내 제약회사도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투자 TOP3는 천연물 신약·오가노이드 기반 의약품·마이크로바이옴 CDMO 기업 투자 유치 금액 상위 기업을 살펴봤을 때, 보타메디는 투자 규모도 가장 크지만 모든 금액을 해외 투자자로부터 유치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보타메디에 따르면 올해 2022.04.13
노화질환 치료제 개발 美턴 바이오, 대웅·한올·아스텔라스 벤처 등으로부터 투자 유치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턴 바이오테크놀로지스(Turn Biotechnologies)가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 아스텔라스 벤처 매니지먼트(Astellas Venture Management LLC) 및 기타 벤처캐피털로부터 모집 금액을 초과한 펀딩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턴 바이오는 세포 수준에서 조직을 복구하는데 중점을 둔 전임상 단계 기업으로 현재 치료할 수 없는 노화 관련 질환에 대한 mRNA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독점적인 mRNA 플랫폼 기술인 ERA는 후성유전체에서 노화의 영향에 맞서 최적의 유전자 발현을 복원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고, 조직을 치유하거나 재생하는 세포의 능력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피부과학 및 면역학 적응증을 표적하는 맞춤형 치료에 대한 전임상 연구를 완료하고 있고, 안과와 골관절염, 근육계에 대한 치료법을 개바랗 2022.04.12
MET 변이 항암제 타브렉타 "국내 비소세포폐암 치료 미충족 수요 해소 기대"
한국노바티스주식회사가 12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MET 엑손 14 결손(skipping)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타브렉타TM(Tabrecta, 성분명 카프마티닙)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김상위 교수가 발표자로 참석해 국내 비소세포폐암 치료환경과 타브렉타 임상연구 및 효과에 대해 소개했다. 폐암은 국내 암 발생 순위 3위인 암종으로, 그 중에서도 비소세포폐암은 원격 전이 시 5년 상대생존율이 8.9%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다. 김 교수는 "대표적인 MET 변이에 해당하는 MET 엑손 14 결손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3~4% 차지하는데, 예후가 불량해 충족되지 않은 의료적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고 설명했다. 타브렉타는 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전의 약물로, 세포 내 수용체의 인산화효소 영역에 결합해 MET 인산화 반응을 차단하고 MET이 주요 하위 신호 전달 경로를 비정상적으로 활성 2022.04.1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