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0710:29

"의쟁투, 의협 집행부 비판 목소리 탄압하고 면피용 투쟁 코스프레만 하려면 해체하라"

병의협 "의협에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병의협 추천 위원 거부, 대의원회 추천 위원 사퇴 종용" “투쟁을 할 의지가 없는 사람들이 중심이 된 투쟁 조직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대한의사협회 집행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탄압하고 면피용 투쟁 코스프레로 일관하면서 회원들을 기만하는 행위를 지속하는 의료개혁쟁취투쟁위원회(의쟁투)는 반성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행태가 지속된다면 의쟁투는 사라져야 마땅하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7일 성명서를 통해 “의협 집행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탄압하고 면피용 투쟁 코스프레로 일관하면서 회원들을 기만하는 의료개혁쟁취투쟁위원회(의쟁투)는 반성하라”라고 했다. 지난 2월 말 의협 집행부는 진찰료 30% 인상과 처방료 부활 등의 의료계의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자, 의쟁투를 만들어 대정부 투쟁에 임할 것임을 선포했다. 의쟁투는 전체 의사 직역을 아우르는 조직으로 구성했다. 실질적인 투쟁 기구로서 역할을 다 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병의협은 “지난 1년간 의협 집행부의 행보를 보았을 때 적극적인 투쟁의 의지를 신뢰할 수 없다. 하지만 전체 의료계의 위기 상황

2019.05.0311:50

값싼 인력으로 이용되는 공보의... 의료취약지 아닌 민간병원 배치 검토 및 실태조사 필요

대공협 조중현 회장 "공보의 2명으로만 민간병원 응급실 운영 등 빈번... 연 2회 정기 평가해야" [메디게이트뉴스 정다연 기자] 보건의료 취약지역이 아닌 곳에 배치된 민간병원 공중보건의사들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지 않다. 공보의들은 공중보건의사제도의 취지에 맞게 의료취약지가 아닌 지역의 민간병원에 대한 공보의 배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민간병원이 수익창출을 위해 공보의들을 이용하는 사례가 많은 만큼, 공공의료의 확립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정확한 실태 파악에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공보의들은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해 마련된 보건복지부의 공중보건의사제도 운영지침에 따라 민간병원에 배치된다. 이 지침은 보건의료정책을 수행할 때 배치가 필요한 기관 또는 시설로서, 군 지역 및 의사 확보가 어려운 중소도시의 정부지원 민간 의료기관 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응급의료 관련 기관 등에 공보의를 배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공보의를 배치하는 민간병원의 기준과 배치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게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