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0413:28

상급종합→중증종합병원 변경, 일차의료는 만성질환관리·교육상담 등 역량 강화…전문병원 내실화·종합병원 지역우수병원 지정

복지부 의료전달체계 단기대책, 상급종합 중증환자 30%로 상향· 경증 외래환자 종별가산율 0% 【보건복지부, 의료전달체계 개선 단기대책 주요내용 】 ①[상급종합병원] 중증환자 위주로 진료하도록 평가·보상체계 개선 ○ (지정기준) 중증환자 비율(중증 입원환자21%→30%) 상향, 경증환자 비율 하향 ○ (수가보상) 경증 환자 수가(의료질수가, 종별가산 등) 인하, 중증 환자 수가(중환자실 등) 인상 ○ (중증심층진료) 중증 심층진료 위주로 운영 시 별도 수가체계 적용 ○ (명칭 변경) 상급종합병원 ⇒ 중증종합병원 ②[병의원→ 상급종합병원 등] 적정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도록 의뢰 내실화 ○ (의사 직접 의뢰) 환자 선택이 아닌 의사가 판단하여 적정 의료기관으로 직접 의뢰, 예약까지 종합적으로 지원 ○ (종이의뢰서 단계적 폐지) 상급종합병원 의뢰 시에는 종이 의뢰서가 아닌 의뢰․회송시스템 전면 적용 추진* * 의뢰․회송시스템으로 의뢰 시, 의뢰수가 지원 및 시스템 의뢰 환자 우선 진료, 중장기적으로 종이의뢰서 폐지 또는 환자본인부담 부과 검토 ○ (다양한 의뢰 인정) 의원 간 의뢰

2019.09.0406:21

디지털헬스 스타트업 고려 사항은…"쓰이지 않으면 무용지물, 수가화 고려하고 개발 단계부터 의사들과 상의하라"

디지털헬스 산업 확장 추세에서 안정성·유효성 검토 위해 임상시험 확대될 예정 [메디게이트뉴스 정다연 기자] 디지털헬스 분야 웰니스(개인용건강관리) 제품·의료기기 등 관련 제품에 대한 임상시험이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헬스 산업이 커지는 가운데 관련 의료기기 제품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시험을 늘릴 예정이다. 의료기기·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의료 현장에서 기회 발굴 사례와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동향, 헬스케어 임상시험 지원 플랫폼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서울바이오허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서울특별시는 3일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의료기기/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 임상시험에 대한 모든 것' 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했다. "의료기기 만들 때 수가화 방안까지 고민해야"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 내과 김재현 교수는 임상 현장에서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의료기기 등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제품을 출시해도 수가로 연결되지 않으면 병원에서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가화 방안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