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의료정보 주권 병원→개인, 앞으로의 사회 변화는
개인 건강정보 관리 능력, 데이터 표준화, 의료정보 소외계층 등 넘어야할 산 많아
[메디게이트뉴스 정다연 기자]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를 맞아 개인의 의료정보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개인의 의료정보 주권이 세계적인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의료 질을 높이기 위한 의료 정보의 시스템 구축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를 대비해 다양한 시범사업을 시행하는 등 준비를 해왔다. 하지만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 의료정보의 소유권, 데이터 표준화, 의료정보 소외계층, 개인정보 보호 문제등 여전히 넘어야할 산이 많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세연 의원(자유한국당)은 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인의 의료정보 주권 구축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의료정보학회,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등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개인 의료정보의 활용 방법부터 의료정보 활용시 우려되는 점 등 다양한 주제의 논의가 나왔다. 개인 의료정보 주권으로 전 생애주기 걸쳐 질병 관리하고 응급 치료에 활용 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