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료기술 구분 기준 마련
심평원, 기존 검체검사 행위 명확화
'검체·병리검사'의 기존 행위를 명확히 정의하는 교과서가 나와, 신의료기술 평가에 정확한 기준을 제공할 예정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4일 심평원 본원에서 '검체·병리검사 행위정의 설명회'를 열고 3206개의 검체·병리검사 행위를 일일이 정의한 이유와 내용을 소개했다. 이번 작업은 서로 다른 고시에서 중구난방으로 정의돼 있거나 아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행위를 정리·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의 행위 건강보험목록 항목은 1996~1999년 의료보험 수가구조 개편연구를 근간으로 한 것으로, 일부행위는 목록표에 고시명만 나와있어 구체적인 검체나 검사방법을 알기 어렵다. 특히 이번 행위정의는 신의료기술 평가에 유용하게 쓰일 예정이다. 검체·병리검사는 신의료기술 신청 건 중 64.2%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큰데, 기존 행위를 모두 한 곳에 정리했기 때문에 이 정의에 없는 내용은 신의료기술 평가 대상이 되는 것이다. 심평원 수가등재부 정영애 부장은 "이번에 마련된 행위정의는 검체·병리검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