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8.07.12 06:00최종 업데이트 18.07.12 06:00

제보

응급의료인 55% "근무 중 생명의 위협 느꼈다"

의사·간호사·응급구조사 63% 폭행경험, 97% 폭언 경험

응급의학회 응급실 폭력실태긴급조사결과, 월 1회 폭행 발생

사진 : 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이형민 교수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대한응급의학회가 긴급으로 조사한 응급실 폭력실태 조사결과, 응급의료인 97%가 폭언을 경험했으며, 63%는 폭행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이들은 월 1~2회 이상 폭언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현재 근무지에서 평균적으로 월 1회 폭행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들 중 55%는 근무 중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고 밝혀 심각성을 보여줬다.
 
응급의학회는 11일 오후 2시 백범김구기념관에서 '현장의 소리, 응급실 폭행' 긴급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공청회는 최근 익산에서 발생한 응급의학과 전문의 폭행사건이 불씨가 됐다. 이번 기회를 통해 그동안 만연했던 응급실 폭행현황을 알아보고,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학회는 이날 공청회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 긴급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의사뿐 아니라 간호사와 응급구조사 모두 참여한 최초의 조사로, 3일 만에 총 1642명이 답변했다. 종사자로 나눠보면, 응급의학과 전문의 514명, 전공의 375명, 간호사 632명, 응급구조가 119명이었다.
 

해당 조사결과에 대해 발표한 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이형민 교수는 "이번 조사는 전체 응급의학과 전문의 3분의 1이 참여했으며, 전체 응급의학과 전공의 70%가 답변했다"며 "설문에 응답한 응급의학과 전문의 평균 경력은 8년이었으며, 간호사의 경우 4년이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번 조사결과에서는 상대적 약자의 입장인 전공의와 간호사, 구조사들의 참여가 높았다"며 "본인이 일하는 응급실이 얼마나 안전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5점 만점에 평균 1.7점이 나왔다. 특히 간호사와 응급구조사의 경우 매우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고 답변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1달에 1~2회 폭언을 듣는다는 응급의료인은 389명이나 됐다. 1주일에 1~2회 듣는 경우도 370명에 달했다"며 "병원에서 발생하는 폭언 횟수는 더 많았다. 1주일에 1~2회라고 답한 건이 449건이었고, 1일에 1~2회도 418건에 달했다"고 말했다.
 
본인이 당한 폭언의 횟수

업무 중 1~2회 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792명이었고, 1년에 1~2회가 237명이었다.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폭행의 빈도는 1년에 10회 미만이 503건으로 가장 많았고, 1달에 1~2회인 경우가 396건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2015년 실시한 조사와 비교해 보면 절반 이하로 급락했다. 이 교수는 "2015년 실시한 응급실 안전성의 경우 5점 만점에 4.3점이 나왔다. 그러나 3년 만에 절반 아래로 급락했다"며 "여성 응급의료인의 경우 남성보다 불안감이 더 크다"고 밝혔다.
 
또한 본인이 일하는 응급실이 지역응급의료기관인 경우, 권역응급의료센터보다 더 큰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그러나 종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덜 불안하다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조사결과 답변자 62%가 속한 병원에서만 안전요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인들은 안전요원이 병원에 있는 경우 불안감이 좀 덜하다고 답변했으나, 안전요원이 폭언과 폭행으로부터 의료진 안전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중간이라고 답했다.
 
이 교수는 "모든 응급실에 필수적으로 보안안전요원이 상주해야 한다는 질문에는 당연하다는 답변이 다수였다"며 "경찰이 응급실에 배치돼 폭언과 폭행으로부터 의료진을 보호하는데 필요하다는 응답도 높았다"고 말했다.
 
응급의료인 중 폭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40%였고, 36%는 그냥 참는다고 답변했다. 보고 등 소극대응은 16%였다. 폭력에 대해서는 적극 대응하는 경우가 43%로 조금 더 높았지만, 20%는 여전히 참는다고 답했다. 보고 등 소극대응은 25%였다.
 
이 교수는 "폭언에 대한 대응지침이 있는지를 묻자 37%만 '예'라고 답했으며, 폭력에 대한 대응지침은 44%만 '예'라고 답했다"며 "그러나 답변자들은 대응지침이 크게 도움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조사결과, 응급의료인들은 이러한 폭력사건이 발생했을 때, 경찰의 역할에 크게 실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폭력상황 해결에 경찰이 도움이 됐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신고를 해도 이에 대한 사고접수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응답자 중 893명(53%)은 폭언·폭행을 이유로 신고를 했다고 답했으며, 사건접수를 해본 응급의료인은 617명(37%)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사건 접수가 매우 복잡하고, 이에 대한 결과가 기대 이하로 나오면서 응답자들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며 “경찰에 신고 해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도 많다"고 밝혔다.

#의사 # 간호사 # 응급구조사 # 대한응급의학회 # 조사 # 긴급실태조사결과 # 응급실 # 폭력 # 폭행 # 환자 # 보호자 # 근무 # 생명 # 위협 # 폭언 # 공청회 # 익산 # 응급의학과 # 전문의 # 전공의 # 병원 #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jhhwang@medigatenews.com)필요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