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노바이오가 3~5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World ADC London 2025'에서 이중 페이로드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의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World ADC는 ADC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 등을 공유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 컨퍼런스로, 피노바이오는 3년 연속 행사에 참가해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World ADC San Diego’에서 자체 개발한 이중 페이로드 ADC 플랫폼을 공개한 데 이어, 이번 학회에서는 해당 플랫폼의 효력과 안전성을 입증한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된 이중 페이로드 ADC 기술은 피노바이오가 개발한 토포아이소머레이즈 I 저해제(Topo1 inhibitor)인 PBX-7016 페이로드와 다양한 ADC에 활용되고 있는 미세소관 저해제(Microtubule inhibitor) MMAE를 최적 비율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PBX-7016과 MMAE를 1개의 항체에 위치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균일한 ADC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확보했다.
발표에 따르면 피노바이오의 이중 페이로드 ADC는 생체 내 실험(in vivo) 및 시험관 실험(in vitro)에서 단일 페이로드 ADC 대비 우수한 효력을 나타냈다. 또한 안전성 측면에서 TOP1 저해제 단독 투여와 비교해 동등 이상 수준의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했다. 영장류 모델 독성 평가에서 고용량까지 이상반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양호한 혈중 약동학적 거동을 확인했다.
피노바이오 정두영 대표는 "이중 페이로드 ADC의 안정적인 제조와 우수한 효력, 높은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써 당사의 ADC 플랫폼 기술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기존 단일 페이로드 ADC의 한계를 극복하여 ‘안전성’은 유지하되 '효력'은 향상시킨 ADC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피노바이오가 개발한 페이로드 PBX-7016이 적용된 셀트리온의 ADC 항암 신약물질 'CT-P70'도 순조롭게 임상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임상 연구를 준비 중이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