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11.04 12:16최종 업데이트 21.11.04 16:02

제보

1차·2차 접종은 같은 요일에 추가접종 예약은 불가…개원가 '요일제' 혼란에 혼란

질병청, 요일 설정 연장하고 미선택요일 잔여백신 열어줬으나…복잡하고 까다로운 조건에 의료계 불만 토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의료계가 정부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주3회 요일제 운영에 따라 난감함을 밝히고 있다. 가뜩이나 힘겹게 정부의 공지를 부랴부랴 쫓아가는 상황에서 요일제로 복잡함만 가중됐다는 것이다. 의료계의 불만 제기로 정부가 요일제 등록기한을 연장하고 일부 잔여백신을 열어줬지만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4일 질병관리청과 공지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요일제가 시행된 이유는 10월 이후 접종 대상자가 감소한데 이어 이달 들어 접종자수가 하루 7명 이하로 떨어지자 백신 폐기 최소화를 위해서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1바이알에는 10회분, 화이자는 6회분, 모더나는 10회분 또는 15회분(2종), 얀센은 5회분씩 들어있다.

의료기관에는 예약자가 적은 요일에 예약된 대상자들을 일일이 전화 안내해 양해를 구하고 변경, 잔여 발생시 소진의 어려움 등의 애로사항이 발생했다. 동시에 같은 요일에 일반진료, 독감, 코로나19 예방접종 등이 병행될 경우 안전접종에도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질병청은 백신 폐기 최소화와 안전접종을 목적으로 백신접종 효율화를 내세운 ‘요일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각 위탁 의료기관은 최대 주3일까지 접종이 가능한 요일을 지정하고 이를 접종시스템에 입력하면 된다. 만약 접종 가능일을 '월화수'로 입력했다면 나머지 요일에는 접종을 진행하지 않는다.

질병청은 “아직 백신을 예약하지 않은 사전예약 대상자들에게 의료기관에서 선택한 요일로만 예약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의료기관에서 선택한 요일로 접종 예약, 관리될 수 있도록 요일제를 운영한다"라며 "요일 미설정 의료기관들은 보건소를 통해 안내하면 대리 설정을 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질병청이 요일제 시행을 갑작스럽게 발표하면서 요일을 등록을 진행하지 않은 의료기관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청은 오는 7~8일과 14~15일에도 접종 요일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기한을 연장했다.

또한 질병청은 공지를 통해 미선택요일에는 잔여백신 예약을 가능하도록 일부 열어줬다. 하지만 1차 접종에서는 미선택요일에 잔여백신 예약을 모두 금지시켰고 2차 잔여백신 예약은 열어놓은 대신 추가접종 SNS 당일 예약이 불가능하다고 공지하면서 혼란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질병청은 “2일 조치한 미선택요일(휴진)에 1차 접종대상자의 잔여백신 예약이 가능하게 한 조치는 임시 조치다. 1차 접종 대상자들이 잔여백신을 접종하고자 할 경우 그날이 선택요일로 설정된 의료기관에서만 접종 가능하다”라며 “가령 '월화수'요일이 선택요일로 설정된 의료기관에서 '목금토'요일에 잔여백신을 올리면 1차 접종 대상자는 당일 신속예약이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선택요일에도 1차 예약이 가능하게 하면 2차 접종예약일도 자동 미선택요일로 예약되기 때문에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특정요일로 하고자 하는 운영취지에 부합되지 못한다”라며 공지를 따라달라고 했다.

서울의 한 개원의는 “정부 지침이 수시로 바뀌고 제대로 공지조차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문을 보고 부랴부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아 대비하기도 힘들다”라며 “이런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아 의사는 물론, 환자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른 개원의도 “코로나19 백신에 독감백신까지 접종하는 상황에서 업무가 가중되는데 문의전화는 쇄도하고 현장의 혼란은 여전하다”라며 “의료계가 코로나19 예방접종률을 끌어올리는데 협조하는 만큼 의료계 현장을 반영하고 실질적으로 폐기백신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의협 이필수 회장은 지난 1일 질병청 정은경 청장 등과의 간담회를 개최하고 현장에 맞지 않는 일선 개원가의 혼란을 지적했다. 이 회장은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위원회 중 국내 최고 전문가단체인 의협의 추천 위원이 포함돼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다. 국가의 질병 관리 주요 시책 마련에 있어 의료계와의 정보 공유 및 소통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질병청의 의료관련 공식적인 위원회 및 협의체에 의협 추천 위원이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현재 백신접종률이 70%를 넘어서고 있는 부분은 고무적이나, 그렇다고 백신 배송방식 변경을 급작스럽게 변경해 각 의료기관들이 보건소에 아이스박스를 들고 가서 백신을 직접 수령토록 한 점은 불합리하다”며 “일방적인 백신 배송방식 변경 도입을 중단하고 접종기관들에 대한 과도한 행정조치를 즉시 완화해달라”고 건의했다.

또한 이 회장은 예방접종 시행비와 관련해서도 “백신의 특성 및 접종 상황을 고려해 예방접종 시행비 인상이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건강보험 재정유지를 위해 건보재정이 아닌 국비 및 지방비로 예방접종 예산이 편성돼야 한다”며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경영난과 인력난 등을 감안해 감염수가를 별도로 책정하는 등 추가 지원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