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4.06.14 17:22최종 업데이트 24.06.14 17:50

제보

서울의대 비대위, 행정처분 취소·상설협의체 구성시 휴진 재검토

전공의들 수련받기 좋은환경 되면 돌아오지 말라고 해도 돌아올 것…수련환경개선·진료혁신 필요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14일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14일 "전공의들이 수련 받기 좋은환경이 되면 돌아오지 말라고 해도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전공의 관련 행정처분 취소와 더불어 향후 단기 특별위원회를 통해 미봉책만 남발할 것이 아니라 '상시 의정협의체'를 통해 지속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 수 있다면 서울의대 교수 집단 휴진 여부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서울의대교수 비대위 강희경 위원장은 이날 오후 4시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처분이 철회되면 순진하게 젊은의사들의 마음이 돌아설 것이라고 생각했다. 처벌 받을 가능성이 없으니 그렇게 생각했는데 취소 혹은 철회가 되도 돌아오지 않겠다는 이들도 있다"며 "이젠 취소만으로 돌아오리라 기대하지 않는다. 우선 (이들이) 존중받고 신뢰받는 상황이 되면 다시 (복귀를) 생각해보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강 위원장은 "어떤 이들은 빨리 필드(개원가)로 나가고 싶어서, 더 이상 염전노예로 일하고 싶지 않아서 등 다양한 이유로 병원을 떠났다. 이들을 다시 받기 위해 병원과 정부도 준비해야 할 것이 많다. 병원은 수련환경개선 태스크포스(TF), 진료혁신TF를 가동하고 있고 진료체계, 수련체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본다"며 "의료개혁특위에서 단기간에 할 것이 아니라 정부는 상시적 의료정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을 서둘러 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1년짜리 의료개혁특위에서 현실성 없는 설익은 정책을 쏟아내는 대신, 효과와 부작용, 비용을 고려하며 공유자원인 건강보험재정이 고갈되지 않게 신중히 결정해달라"며 "각종 규제로 의료계를 옥죄는 대신 의료 선진국들과 같이 의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존중해 달라"고 전했다. 

비대위는 전공의 복귀를 최우선 목표로, 정부 측에 행정명령 취소와 수련체계 개선 등 요구사항을 전달한 상태다.  

오승원 비대위 홍보팀장은 "전공의들이 복귀하길 굉장히 바란다. 우리가 생각할 때 (행정명령 취소와 수련체계 개선이)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봤다. 100% 전공의들을 대변하진 않지만 최소한의 (복귀) 조건이 (행정명령) 취소 등 그런 것이 아닐까 싶어서 정부에 입장을 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 팀장은 "다른 것을 다 차치하고 일단 의료인력이 돌아오지 않으면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 그것(행정명령 취소와 수련체계 개선이)이 최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느끼고 있어서 앞으로 의료정책을 해결할 수 있는 협의체를 제안한 것"이라며 "잘 되면 기존과 다르게 여러 문제들이 (협의체를 통해) 해결될 것이라는 바람을 갖고 있다. 어떤 의사들이든 좋은환경이 되면 돌아오지 말라도 해도 돌아올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가 향후 집단휴진 철회 등에 있어 대한의사협회와 발을 맞춰 함께 갈 것인지'에 대한 질의에 비대위는 의협과 단일대오로 가는 것은 맞지만 오늘 제시한 휴진 재검토 조건은 의협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오승원 팀장은 "우리가 의협과 (휴진 재검토 등 요구안을) 다 논의했던 것은 아니다. 우리가 먼저 휴진 얘기도 했다. 조건이나 이런 부분은 상의해서 결정된 것은 아니고 우리들(비대위) 입장"이라며 "중요한 것은 이 상황이 마무리되고 해결되려면 어떻게든 전공의들이 돌어올 수 있는 환경이 돼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우리들의 합리적 조건을 말한 것이다. 의협 입장하곤 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13일 의협과 연석회의에 참석했던 강희경 위원장은 "의협이 전체 의료계 대표이고 단일 창구인 것이 맞다. 어제 연석회의에서도 의료계 전체가 내걸어야 할 요구 조건 등을 논의했고 우리 의견도 많이 반영됐다"며 "의협이 말하는 것은 18일 휴진 건이고, 우리는 17일 서울대병원 휴진 조건이다. 뜻은 비슷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의협에서 제시한 조건은 우리도 다 동의한다"고 전했다. 

이어 강 위원장은 "정부와 수시로 소통하고 있다. 심지어 화요일엔 총리도 만났다. 복지부에서 정책하시는 분들과도 소통하고 있고 진전도 이루고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