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06.10 06:38최종 업데이트 22.08.16 15:47

제보

"얼어붙은 제약바이오 투자…정부가 나서서 메가펀드 조성·대기업 연계로 장기적인 지원"

새 정부에 디지털치료제·유전자치료제 등 맞춤형 제도 마련과 지속적 투자 강조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증했던 제약바이오산업 투자가 최근 임상실패, 주가조작 등 부정적인 사건과 정부 R&D 지원 축소, 국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포기 등의 이슈가 이어지면서 대폭 축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포스코기술투자 안구영 실장은 지난 9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중앙대 의약바이오융복합연구소가 주관하고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가 마련한 신정부 신약개발 육성 정책토론회에서 "제약바이오업계 투자금이 거의 끊긴 상태다. 정부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약산업 전환점, 국가 차원에서 글로벌 리딩하는 절호의 기회로 활용해야 

안구영 실장은 "1년전인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분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 좋았다. 자금이 몰리면서 연구개발(R&D)도 활성화되고 회사 창업도 증가했다"면서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엔데믹화되면서 급격히 분위기가 바뀌고 있으며, 여러 부정적인 사례들로 인해 제약바이오산업에 엄격한 잣대로를 들이대고 투자자 입장이 보수적으로 바뀌었다"고 운을 뗐다.

안 실장은 "일부 기업들은 얼어붙은 투자 열기 속에 신약개발을 중단하거나 대폭 줄이고 생존전략으로 가야 한다는 분위기"라며 "코로나19로 R&D 투자가 확대됐는데, 글로벌로 나갈 중요한 시기에 생존을 목적으로 기업이 운영되면 국내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현재 의약산업이 전환점에 와 있는 시기다. 바이오시대가 도래하는 모멘텀을 이용, 국가차원에서 전략적 접근을 한다면 국내 산업계가 글로벌을 리딩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많은 이슈가 있었지만 정부가 나서서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투자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주도의 R&D 지원 강화와 함께 현장 맞춤형 제도 개선 등 정책적 지원, 메가펀드 조성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안 실장은 "기존 제약바이오 제도는 제약을 중심에 두고 마련돼 있어 바이오 의약품과 맞지 않아 승인절차가 매우 어렵다. 앞으로는 유전자, 항체, 줄기세포 등 바이오 관련 시장이 주가 될 것이기 때문에 임상시험 관련 개정과 함께 바이오 맞춤형 인허가 규정 마련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신약개발 기간이 15~30년까지도 걸리는데, 정부와 기업이 합심해 임상 프로세스를 개선해 나가야 한다"며 "비임상단계에서 독성테스트와 효능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하거나, 1상과 2상을 병행 진행하는 방식 등 리스크와 소요 기간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무엇보다도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기간이 최소 10년 이상인 점을 감안, 15년 이상 자금 공급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해주면서 5조원 이상의 정부 메가펀드를 조성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업형 지주회사 관련 법 개정에 따라 대기업 CVC펀드와 연계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안 실장은 "대기업 펀드와 메가펀드를 연계해 정부가 40%, 대기업지주회사가 60% 투자를 하게 되면, 전략적이고 장기적 관점을 투자가 실질적으로 가능해질 것"이라며 "대부분 국내사들이 상용화까지 가지 못하고 라이센스아웃(기술수출)이나 M&A 등으로 우회하는데,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업계가 우위를 확보하도록 정부와 대기업, 바이오텍이 힘을 합쳐 진정한 글로벌 신약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신약개발 관건은 임상 3상의 높은 허들 극복, "5조원대 메가펀드 조성 시급"

메가펀드 조성을 비롯한 정부주도의 지원책 마련에 대해 제약바이오 학계, 산업계 모두가 목소리를 높였다.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한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미국 정부와 공공기관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서 많은 점을 배웠다.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과감하게 투자하는 것은 물론, 선제적으로 팬데믹 대응체계를 준비한 후 정부부터 탑다운 방식으로 개발하면서 성공 속도를 대폭 높였다"면서 "백신 밸류체인 등 생산과 유통방식도 미리 준비한 것은 물론 자사를 비롯해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인력과 디지털인프라에 대해서도 선행적인 투자를 추진해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안 사장은 "수천억원의 투자 비용이 들어가는 3상에서 상용화 성공률은 50% 정도에 그친다"며 "성공 가능성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적정규모의 메가펀드가 반드시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 역시 "메가펀드 조성을 통해 2~3상에 머무른 임상 파이프라인을 상용화까지 성공시켜야 한다. 이를 잘 운영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거버넌스와 로드맵 마련이 필수"라며 "임상단계별 성공률, 질환별 성공률 등을 고려한 제도적으로 보완을 해야 하며, 쉽게 사업화할 수 있도록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디지털치료제 등 미래 기술들에 대한 준비를 추진, 산업화에 용이한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허경화 대표는 사이언스와 비즈니스의 연결, 즉 개발역량과 글로벌 사업화까지 생각하면서 메가펀드를 조성해야 하며, 3상에 들어가는 비용을 고려해 최소 5조원대의 과감한 정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