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11.07 13:36최종 업데이트 22.11.07 13:36

제보

이태원 참사로 '응급의료체계' 도마 위..."재난의료팀 늦은 출동과 현장 컨트롤타워 문제"

유관기관 간 정보 공유 미비로 DMAT 출동 늦어져...대규모 사상자 발생하며 보건소장 환자분류∙이송 결정 등 역부족

7일 오전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 사진=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중계 영상 갈무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7일 오전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이태원 참사 발생 시 응급의료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특히 유관기관 간 신속한 정보 공유 시스템 미비, 환자 분류 및 이송을 지휘할 현장 컨트롤타워의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복지위 위원들은 이 외에도 희생자의 유족, 부상자, 대응인력 등에 대한 지속적인 의료∙심리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매뉴얼에 따른 대응을 했지만 대규모의 사상자 발생으로 인해 미흡한 점이 많았다며 개선 필요성을 인정했다. 

현장 출동 15개 DMAT팀 중 자정 전 도착 3팀 불과...119신고∙DMAT 출동 연계
 
사진=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영상 갈무리

이날 여야 의원들은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이 119 등으로부터 현장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적시에 전달되지 못해 재난의료지원팀(DMAT)이 신속하게 출동하지 못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당시 총 14개 병원에서 15개 DMAT팀이 출동했지만, 대부분 이미 골든타임이 훨씬 지난 시점에서야 현장에 도착했다는 것이다.

119 상황관리센터는 참사가 발생한 지난 10월 29일 밤 10시 38분에 "이태원에 사람 10여명이 깔려있다"며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 병상정보를 요청했다. 10분 뒤인 10시 48분에는 다시 환자가 15명 이상이고 추가 발생가능성이 높다며 DMAT팀의 출동이 필요하다고 연락했다.

하지만 그날 밤 12시 이전에 중앙응급의료상황실로부터 출동 요청을 받은 DMAT팀은 총 15개팀 중 3팀뿐이었고, 결과적으로 12개팀이 자정이 넘어서야 현장에 도착했다. 가장 빠른 서울대병원이 출동요청을 받은 것은 11시였고, 현장에 도착한 건 이미 사건 발생 후 1시간여가 지난 11시 20분이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은 “재난대응을 위한 부처 간 소통이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의문이 든다”며 “119에 그런 연락이 오면 자동으로 DMAT이 출동하는 프로토콜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도 “10시 38분에 10여명이 깔렸다고 했을 때 바로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 연락해 DMAT 출동 요청을 했었어야 한다”며 “그런데 23분이 지난 시점에서야 출동을 요청하면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조규홍 장관은 “현재는 119상황관리센터가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 요청하면 다시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이 DMAT팀 요청을 하는 두 단계로 돼있다”며 “119의 요청이 있어야 출동하는 게 아니라 자동으로 출동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장 지휘 보건소장 권한, DMAT팀에 일부 위임해야...사망자 특정병원 이송 쏠림도 지적

현장 컨트롤타워에 대해서도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현재는 해당 지역의 보건소장이 중증도에 따른 환자 분류 등 현장 지휘를 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번 같은 대규모 사상자 발생 시에는 대응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의당 강은미 의원은 “재난상황에서 현장 응급의료와 관련해선 보건소장이 지휘를 하게 되는데, 사상자가 대규모인 상황에선 현실적으로 보건소장이 혼자서 모든 상황을 통제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순천향대서울병원 등 현장에 가까운 병원으로 사망자 등이 몰리면서 실제로 시급한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들이 적시에 치료를 받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민주당 김원이 의원은 “사건 당시 사상자 이송 현황을 보면 중환자 20~30명 정도는 대부분 거리가 꽤 있는 병원으로 이송됐다. 반면 가장 가까운 순천향대서울병원에는 50여명의 사망자, 10여명의 심정지 환자가 이송됐다”며 “소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근거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는 매뉴얼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이에 조규홍 장관은 “최근 재난의료지원팀과 간담회에서 DMAT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고, 보건소장이 모든 걸 지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DMAT팀에게 적절하게 권한을 위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나왔다”며 “대규모 사상자 발생시 현 대응체계가 미흡한 점이 있다는 게 판명난 만큼 조속히 보완하겠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특정 병원으로 사망자가 쏠린 문제와 관련해선 “당일 밤 10시 36분에 순천향대서울병원의 최초로 4명의 CPR 중환자가 도착했고, 이는 당시 그 병원의 응급실 병상과 역량을 감안했을 때 최대치가 이송된 것으로 안다”며 “따라서 76구의 시신이 순천향대서울병원에 몰린 건 사실이지만, 그로 인해 병원의 중환자 응급치료에 차질이 발생했던 건 아니다”라고 했다.

200여명 사상자 발생한 대참사...유족∙부상자∙대응인력 등 심리 지원 중요

2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국가적 참사인 만큼 유족, 부상자, 현장대응인력, 국민들 대상 심리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도 여야 의원들이 공감대를 이뤘다.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은 “재난 피해자의 심리 회복은 개인차가 있지만 통상 1~2년에 걸쳐 이뤄지고, 특히 초기 1~3개월이 매우 중요하다”며 “코로나 백신 이상 피해자 등 유사사례를 보면 사회 재난 상황에서 전형적인 공무원식 대응이 피해자들에게 가장 큰 상처를 주는 만큼 유족과 정부 간 불필요한 갈등이 없도록 하면서 맞춤형으로 꾸준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민주당 전혜숙 의원은 “현재 심리지원 대책이 빈약하다”며 “찾아가는 것은 물론이고 당사자가 괜찮다고 하더라도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직장에 병가를 낼 수 있게 한다거나 치료받을 수 있게 여비 지원을 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검토해야 한다”며 “현장에 투입된 의료인력, 경찰관, 소방관 등도 트라우마가 심각하다. 이들에 대한 심리상태도 복지부가 신경써야 한다”고 했다.

조 장관은 “유가족, 부상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뿐 아니라 구조, 응급인력, 현장 목격자 등에 대해서도 의학적으로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지원한다는 방침”이라며 “병가나 여비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