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보건복지부 박민수 2차관이 13일 "의료계나 전공의, 의대생이 대화도 하지 않고 복귀도 하지 않는 것이 의료인 교육 및 양성, 환자진료에 차질을 주고 국민과 정부를 곤란하게 해 집단의 뜻을 관철하려는 생각이 아닌가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박 차관은 이날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그간 정부는 의료를 정상화하고 전공의 개개인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전공의 수련특례나 병역특례 등 조치를 취했다. 그럼에도 의료계와 어떤 협의도 현재 진행되고 있지 않아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 지금이라도 대화와 협의에 나서달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에서는 의료계나 전공의, 의대생이 대화도 하지 않고 복귀도 하지 않는 것이 의료인 교육 및 양성, 환자진료에 차질을 주고 국민과 정부를 곤란하게 해 집단의 뜻을 관철하려는 생각이 아닌가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사실이 아니길 바라지만 혹시 그런 의도로 집단행동을 하고 있다면 이는 수용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오는 14일로 예정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주관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법제화 공청회와 관련해선 '추계위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했다.
박 차관은 "수급추계 과정과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수급추계 논의 기구 법제화 필요성에 공감한다.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되는 여러 의견을 듣고 향후 법안 논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의료사고안전망 강화와 비급여·실손보험 개편 등 정책과 관련해서 그는 "현장 전문가, 소비자 등 각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국민과 의료계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상급종합병원의 긍정적인 변화가 지역·필수의료 생태계 복원이어 이어질 수 있도록 2차병원 구조전환 방안을 마련 중이다. 특히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으로 일반병상 3620개가 감축됐고 중환자실 112개가 증설됐다"고 설명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