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서울대 연구팀이 개발한 배터리가 없는 이식형 인슐린 주입 펌프(서울대병원 제공)
당뇨환자들이 인슐린 투입을 위한 주사바늘 통증과 배터리 교체를 위한 재수술로부터 자유로워질 전망이다.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최영빈 교수팀(이승호 연구원)이 '배터리 없이 구동되는 이식형 인슐린 주입 펌프'를 개발한 덕분이다.
하루에 두 번에서 많게는 다섯 번까지 주사로 인슐린을 주입해야 하는 고통과 불편함을 덜기 위해 이식형 펌프가 개발됐지만, 대부분 펌프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돼 부피가 크고 정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재수술이 불가피했다.
하지만, 이번에 최 교수팀이 개발한 이식형 펌프는 자석 구동 방식을 선택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이식된 펌프 부위에 (몸 밖에서) 자석을 접촉함으로써 원하는 시기에 정확한 양의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해 재수술이 필요 없어졌다.
효과면에서도 혈중 인슐린 농도와 혈당 조절 정도가 기존 인슐린 주사 방법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서울대병원 내과 조영민 교수, 병리학과 이철 교수가 함께 참여한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 최근호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메디게이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슐린
# 당뇨
# 이식형
# 인슐린 주입 펌프
# 배터리
#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