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대병원에도 '전공의 노조' 설립…"찻잔 속 태풍 아니다"
의정 갈등 계기 '각성'한 전공의들 다수 수련병원서 지부 설립…정부∙병원과 교섭 및 파업 가능해져
보건의료단체장 만난 정은경 장관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가 새 정부 최대 정책 과제"
정책 정책 국민참여의료개혁위·의료혁신위, 투트랙 가동해 국민·의료계와 사회적 합의 이뤄갈 것
“전공의는 배우기 위해 존재한다” 전공의 교육의 전문직업성
정책 정책 [칼럼]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장·고려대 의대 명예교수
병원 앞 피켓시위에 병원은 맘카페 악플 세례…법원 "의료업무 방해 300만원 배상"
정책 정책 '백내장 수술한다더니 멀쩡한 내눈 봉사만들어', 수 차례 병원 앞 시위…합의금 협상 과정서 유리한 위치 점하기 위한 시도
[미래 헬스케어 트렌드] "환자가 있는 곳이 곧 병원"…韓 최초 HIMSS 이사가 전망한 스마트 병원 미래
기기.IT 의료IT 삼성서울병원 손명희 교수 "기술 발전 속도 예상보다 더 빠를 것…디지털 기술, 단순한 '장신구' 아냐"
[미래 헬스케어 트렌드] 동아에스티·뷰노·에어스메디컬·코어라인소프트·온코소프트·에이슬립·솔티드
기기.IT 의료IT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한자리에…AI 소프트웨어부터 수면무호흡증 사전선별 진단보조 디지털의료기기, 인솔 기반 보행 솔루션까지
이주영 의원 "한국이 헬스케어 기술 혁신 어려운 이유…감축에만 치중된 의료시스템 때문"
기기.IT 의료IT 당연지정제·전국민 건강보험·국가 결정 수가 상황서 의료 신기술은 즉시 재화로 변환되지 않아
제약바이오 (1/2)
국내외 제약.바이오 뉴스를 심층적이고 발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전체보기
2025년 비급여 가격조사 공개…한방병원 도수치료·접종비 모두 '최고가'
693개 비급여 항목 가격 공개…한방병원 도수치료 최고 금액, 상급종합 2배 넘는 30만원 기록
"한국, 바이오 산업의 진화 선도…아반토, 아시아 전역의 차세대 바이오 생태계 지원에 전념할 것"
[K-바이오 성공 파트너들] 세포·유전자 치료제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분야서 기술 협력 기회 적극 모색
日 의약품 특허 분쟁 사례로 본 제도의 복잡성…한국 제약·바이오 기업 진출 걸림돌
다나카 야스코 대표, 세미나서 일본 특허 전략과 분쟁 사례 소개…불확실성으로 커진 리스크에 사전 대응 전략 수립 중요
코로나19 팬데믹, 국내 불면증 환자 수면제 사용 증가시켜
개원의가 많이 본 기사
차원태 부회장, 차바이오텍 CSO 선임
의대 교수가 많이 본 기사
K-MEDI 허브-파이메드바이오 공동개발 항암제 美FDA 1상 IND 승인
초기단계 기술이전부터 후속연구 지원까지...신약개발 우수사례
단신
병원·기업·의료계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과 실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한국비엔씨, 진메디신과 공동연구개발 및 라이선싱 계약 체결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와 비강투여 알츠하이머병 또는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예정
멥스젠, 고려대 정석 교수 연구팀과 신장 모델 공동개발 연구협약 체결
멥스젠의 ‘미세생리시스템’ 배양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 활용해 신장 모델 공동 개발
'2025 LSK Global PS, 창립 25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최신 임상시험 전략과 데이터 활용법 공유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카카오헬스케어와 비만·당뇨병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당뇨병 질환 인식 제고 및 환자 관리 솔루션 개발에도 협력 예정
내년 통합돌봄 실행 준비 박차…참여 지자체 98개 시·군·구 추가 선정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전국 229개 지자체 시범사업 참여…지방자치단체 추진 기반 마련과 역량 강화 기대
종합소견 자동생성 AI, 온톨 스크라이브 기능 업데이트
원텍, '올리지오 키스'로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2년 연속 수상
"인공와우수술 부작용 크게 줄인 이식체 개발"
대전선병원 김기덕 전문의, 대한비만건강학회서 '수면 부족과 비만의 상관성' 발표
마이크로트 '에이스트림', 누적 시술 2000건 달성... 빅5 병원 코드인 완료
에스지헬스케어, 우즈벡 의료기기 추가 수주
MRI로 근감소증 진단?...측두근 두께로 가능성 확인
토큐
메디게이트뉴스를 포함해 여러 매체에서 화제가 된 내용을 한 눈에 보여드립니다.
의대증원 놓고 의∙정 갈등 최고조
정부가 발표한 의대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의료계 반발이 거세다. 전공의들이 사직하고, 의대생들이 휴학하는 가운데 정부가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면서 의∙정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박민식 2024.02.21
의대증원 의∙정 강대 강 대치 장기화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밝힌 뒤로 전공의와 의대생을 필두로 정부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한 달이 넘도록 이어지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연일 강도를 높여가며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 조운 2024.03.19
이재명 서울대병원 전원 논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초 이송된 부산대병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수술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특히 최근 공공의대법, 지역의사제 통과에 힘썼던 민주당의 대표인 만큼 그의 이송 소식은 의료계의 공분을 샀다. 이지원 2024.01.12
전체 뉴스 순위
의사를 위한 맞춤 기사
제약 중심 맞춤 기사
의료 중심 맞춤 기사
칼럼/MG툰
“전공의는 배우기 위해 존재한다” 전공의 교육...
[디지티의 미국의사일기] 전공의의 시간은 빠르...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