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명 처방은 정답이 아니다...의약품 수급 불안정, 구조적 실패의 해부
[칼럼] 김재연 대한의사협회 법제이사
지역 의료의 성공 조건 자세히 살펴본 프랑스 ‘다학제 건강센터’
정책 정책 [칼럼]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장·고려대 의대 명예교수
의료계 "의료AI 중요도 발맞춰 의료AI특별법·의료데이터 관리 수가 신설 필요"
정책 정책 의료정책연구원, 2일 '인공지능 시대 의료계 대응 방안' 연구보고서 발간
일본판 공공의대...의무복무 중 사직 의사가 "헌법·법령 위반" 소송 제기
정책 정책 의사에게 3억6000만원 상환 요청에 학교·지자체 상대 소송…국내 추진 공공의대∙지역의사제도 시사점
내년 의과 공보의 0명? 공보의 제도 존속 '위기'
정책 정책 대공협 "복지부 명확한 답 내놓지 않아…해결책은 복무기간 24개월로 단축"
박단, 울릉군 보건의료원 응급실서 근무한다
의료 의료인 1일 SNS에 근황 전해…"피폐와 방황 갈무리하고 다시 나아갈 길 살피려 해"
조원준 전문위원 "성분명처방 도입 좋지만 법률적 의무화·처벌은 입법 과잉"
정책 의료법 정부·여당, 성분명처방 이슈가 의사·약사 직역 갈등으로 번져 우려스러워
제약바이오 (1/2)
국내외 제약.바이오 뉴스를 심층적이고 발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전체보기
원산협, 추석 연휴 전국 260개 이상 의원급 비대면진료 지원
내과∙피부과 등 전국 260개 이상 의원급, 추석 연휴 중 비대면진료 운영
비대면진료, 환자 ‘약 배송’·의사 ‘책임소재’·약사 ‘성분명 처방’ 주문
한국리서치 환자·의사·약사 대상 설문 중간 결과 공개…환자 97% 만족하지만, 의원급으로 제한엔 ‘글쎄’
"65세 이상 코로나19 질병 부담 지속"…모더나, 최신 백신 접종 필요성과 독감 동시접종 강조
코로나19 입원 환자 60%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층…매년 신규백신 접종해 면역력 유지해야
한미약품 경구용 신약기술, 빅파마 '길리어드'에 기술수출 "기술력 입증"
한미·HHP, 길리어드에 ‘엔서퀴다’ 독점권 부여…공급 파트너십 체결
개원의가 많이 본 기사
한국GSK, ‘세계 뇌수막염의 날’ 맞아 임직원 대상 벡세로 접종 지원, 수막구균 감염증 예방 중요성 강조
단체생활 예정 및 영유아 임직원 자녀 대상 벡세로 접종 지원 통해 수막구균 감염증 예방 필요성 강조
의대 교수가 많이 본 기사
단신
병원·기업·의료계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과 실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솔타메디칼코리아, 써마지 500만 시술 달성 기념 드론쇼 개최
젠큐릭스, 글로벌 진단 기업 '바이오래드'와 유럽 공급계약 체결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 디지털 PCR 기반 종양 진단키트 유럽 32개국 독점 공급
한미 세계 첫 '근육 증가' 혁신 비만신약, 美 FDA에 임상 1상 IND 신청
차케어스, K-뷰티 대표기업 제이준코스메틱 최대주주 조합의 최다출자자 지위 확보
K-MEDI hub, 대웅제약 '베르시포로신' 임상용 의약품 생산 지원
서울대어린이병원, 개원 40주년 기념 간호학술대회 성료
올해 ‘자랑스러운한미인상’에 정민숙·안문환 그룹장
루닛, 유럽종양학회서 대장암 '아테졸리주맙 병용요법' AI 연구 구연발표 채택
JW이종호재단, '2025 기초과학자 장학생' 선발
종근당, 바이엘 코리아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 국내 독점 판매
대웅, '붙이는 세마글루타이드' 임상 1상 진입… '패치'로 비만치료 혁신 나선다
한국로슈진단, 신임 서비스 & 서포트 부서장에 채양섭 전무 선임
토큐
메디게이트뉴스를 포함해 여러 매체에서 화제가 된 내용을 한 눈에 보여드립니다.
의대증원 놓고 의∙정 갈등 최고조
정부가 발표한 의대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의료계 반발이 거세다. 전공의들이 사직하고, 의대생들이 휴학하는 가운데 정부가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면서 의∙정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박민식 2024.02.21
의대증원 의∙정 강대 강 대치 장기화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밝힌 뒤로 전공의와 의대생을 필두로 정부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한 달이 넘도록 이어지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연일 강도를 높여가며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 조운 2024.03.19
이재명 서울대병원 전원 논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초 이송된 부산대병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수술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특히 최근 공공의대법, 지역의사제 통과에 힘썼던 민주당의 대표인 만큼 그의 이송 소식은 의료계의 공분을 샀다. 이지원 2024.01.12
전체 뉴스 순위
의사를 위한 맞춤 기사
제약 중심 맞춤 기사
의료 중심 맞춤 기사
칼럼/MG툰
성분명 처방은 정답이 아니다...의약품 수급 ...
[디지티의 미국의사일기] 전공의의 시간은 빠르...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