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코로나19 환자 1487명 중 0.4%가, 코로나19 중환자 169명 중에선 3.6%가 발작 증세를 보였다. 사진=New-Onset Seizures in Patients With COVID-19: A Case Series From a Single Public Hospital in Korea, JKMS.
연구팀은 2020년 6월과 2021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국립중앙의료원에 코로나로 인해 입원한 환자 1487명의 증세를 분석했다. 정확한 발작 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에 간질이나 발작 병력이 있는 환자들은 연구에서 제외됐다.
연구결과, 1487명 중 0.4%인 6명이 발작 증상을 보였다. 6명 모두 인공호흡기 등 중환자 진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특히 기존에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던 코로나19 환자군에서 발작 빈도가 높았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코로나 환자 169명 중 새롭게 발작을 일으킨 환자는 6명으로 3.6%나 됐다. 발작을 일으킨 6명 중 3명이 사망했다.
발작을 일으킨 환자 중 66%가 60세 이상이었고 83%가 남성이었다. 또한 모든 발작 환자군이 코로나19 중증도 분류에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진단에서 발작 발병까지의 기간은 최소 7일에서 최대 56일 사이로 1명의 환자를 제외하면 모두 급성 호흡곤란과 패혈증 증상을 보였다.
발작 증세를 보인 코로나19 환자의 뇌 영상 및 뇌파검사(EEG) 결과. (A, B) 중간 대뇌 동맥 영역의 내부 경계와 왼쪽 후방 경계 영역 모두에서 다중 급성 경색 소견을 보였다. (C) 환자의 뇌파검사에서 느린 삼상파(slow triphasic waves)가 관찰된 모습. 사진=New-Onset Seizures in Patients With COVID-19: A Case Series From a Single Public Hospital in Korea, JKMS.
모든 발작 환자가 다발성 발작을 경험했으며 한 환자는 간질 지속 상태에 대한 기준 또한 충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가 근간대성 발작 증세를 보였다.
연구팀은 코로나로 인한 발작이 매우 드문 증상이라고 밝히며 신경학적 합병증이 이유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아직 코로나 발작이 발현되는 정확한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신경학적 합병증으로 인해 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연구에선 코로나 발작 환자의 사후 뇌 샘플 분석에서 40명 중 21명의 뇌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단백질이 관찰됐다는 보고도 있다"며 "다만 해외에선 1% 정도만이 코로나 발작을 경험한다는 연구가 대부분"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소아와 청소년 등 나이가 어린 환자군에서 코로나 발작이 더 자주 발생한다는 연구도 존재한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