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부광약품이 2022년 첫 적자를 기록한 이후 3년만에 연결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부광약품은 6일 2024년 실적 발표회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 1601억원, 영업이익이 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연구개발(R&D)에 투자한 비용은 237억 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14.8%를 차지하는 수치다. 별도기준 누적 매출액은 2023년 대비 25.9% 증가한 1576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70억 원으로, 흑자전환을 달성했다.
실적 성장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인 '덱시드(성분명 알티옥트산트로메타민염)'와 '치옥타시드(티옥트산)'가 견인했다. 이 외에도 중추신경계(CNS) 전문의약품(ETC) 매출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CNS전략품목의 매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42%를 기록했다. 주목할만한 CNS 의약품은 지난해 8월 출시된 항정신병 신약 '라투다(루라시돈염산염)'다. 라투다는 지난해 서울대병원 등 26개 이상 종합병원에서 처방하며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강북삼성병원 등 94처 종합병원에서 약사 심의를 통과했다. 현재는 삼성서울병원, 충남대병원, 전북대병원, 경북대병원 등 전국 주요 상급종합병원 접수·심의를 진행하고 있다.
라투다 외에도 기존 CNS 제품군인 ▲불면증 치료제 잘레딥(잘레플론) ▲ 우울증 치료제 익셀캡슐(밀나시프란염산염) ▲뇌전증 치료제 오르필(발프로산나트륨) 등의 매출이 증가했다.
이날 부광약품은 R&D 전략도 제시했다. 신약 개발 자회사 콘테라파마는 지난해 12월 R&D 혁신과 투자 유치를 강화하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성과 경력을 갖춘 새 이사진을 영입했으며, 파킨슨병 아침무동증 치료제 CP-012는 임상1b상을 진행 중이다. 이 외 리보핵산(RNA) 기반의 저분자화합물 개발 플랫폼 구축·신규 프로젝트를 도출했다.
부광약품 이제영 대표이사는 "2024년은 전략적 영업활동과 업무효율화 등을 통해 기반을 다지는 해였다"며 "'2023년은 부광 역사의 마지막 적자의 해'라는 약속이 허언이 되지 않도록 2025년에는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한 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장기 성장 전략은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성장과 혁신이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존 비즈니스의 강화와 새로운 성장동력의 확보라는 두가지 핵심전략을 병행 추진하되,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겠다"며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전략은 개량신약과 퍼스트 제네릭 발매, 집중적인 파트너링 활동을 통한 오리지널 신약 확보이며, 내실 성장과 체질개선이 안정화되는 올 하반기 이후에는 신약 도입과 신규 사업 진출도 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