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전공의 모집] 대구가톨릭대병원
메디게이트뉴스 정은별 인턴기자 원광의대 본3 2023.12.06
[2024년도 전공의 모집] 원광대병원
메디게이트뉴스 정은별 인턴기자=원광의대 본3 2023.12.06
휴일·야간 비대면진료 초진 확대, 동네 의원을 '대형마트 앞 수퍼마켓'처럼 말살시키는 꼴
[메디게이트뉴스] 보건복지부가 의대정원 증원 문제로 의료계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현 시점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을 의료계와 사전 협의조차 없이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총선선거용 정책으로 급조된 것으로, 의대증원 정책을 반대하는 의사들에 대한 압박카드로 활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복지부는 오는 15일부터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의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응급의료취약지와 휴일·야간 등의 예외적 허용도 확대하기로 했다. 복지부 발표안에는 비대면 진료 허용 대상을 ▲질환에 관계없이 6개월 이내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환자 ▲섬·벽지, 응급의료 취약지(98개 시군구) 거주 환자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휴일(토요일 오후 1시 이후) 및 야간(평일 오후 6시 이후)에는 '기존 18세 미만 소아나 대면진료 경험 환자' 제한을 풀어 누구나 진료 이력과 상관없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의대정원 증원 반대 압박카드? 이번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확대는 의료계 파업을 대비하는 방법인 동시에 앞으로 2023.12.06
의대정원 확대는 망국의 지름길이다
[메디게이트뉴스] 대한민국의 의사수가 14만명을 넘으면서 의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에 따라 의사들의 직업적 환경도 아주 많이 다양해지고 의사들 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과거보다 훨씬 더 심해졌다. 따라서 이제 더 이상 누군가의 개인 경험이 전체를 대변하지 못한다. 더 이상 누군가 의사라는 이유로 현실을 이야기해도 그것이 전체 의사를 대변하지 못하는 시대에 들어섰다는 뜻이다. 의사들이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를 판단하려면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한 판단이 아니라 다양한 통계에 기반해 정밀하게 분석해야 한다. 그런데 아무도 의사들이 실제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알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의료정책학자들은 좌우를 가리지 않고 진료비 증가폭만 바라보며 어떻게 하면 의사들의 수입을 떨어뜨릴 것인지에 대해서만 관심을 두고 의사들이 실제로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 몰라라 하고 있다. 의료정책학자들이 의사수급을 이야기하면서 진료비 대비 의사수를 수요와 공급이라고 말하면서도 정작 수 2023.12.05
Expansion of Leclaza’s First-Line Treatment Indications Offers Significant Benefits to Patients
"Leclaza’s excellence is evident not only in clinical trials but also in clinical practice. Reimbursement coverage is essential from both the patient's and the medical professional's perspective." [National lung cancer drug 'Leclaza'] ① "Yuhan Corporation's EAP program has been very helpful, a continuous usage environment without financial burden is needed." Expectations for the results of the global Phase III clinical trial (MARIPOSA) with combination therapy... Ultimately, the increase in trea 2023.11.30
"필수의료 위기는 병원의 위기일 뿐, 개원가의 위기는 아니라는 복지부"
[메디게이트뉴스] 보건복지부는 의대정원 증원을 확실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의료계 각개격파를 시도하려고 하고 있다. 의료계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대한병원협회가 29일 개최한 '제14회 코리아헬스케어 콩그레스(Korea Health care Congres, KHC 2023)'에서 '한국 병원의 대위기, 이대로 주저 앉을 것인가'를 주제로 패널토론이 열렸다. 이날 보건복지부 박민수 2차관의 발언 내용을 보면 향후 의료계와 많은 정책적으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주목해야 한다. 첫째, 복지부는 현재의 필수의료 위기를 '병원 위기'로 규정짓고 있다. 개원가는 큰 문제가 없다면서 의료정책 논의 대상이 대한의사협회로 국한된 의정협의체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여러 형태 병원과 각 층위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구조로 개편할 계획을 밝힌 것이다. 복지부는 의정협의체를 통해 기본적인 토의는 하되, 전문병원, 중소병원 등 다양한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개선 2023.11.30
검체검사 수천건 부당청구로 삭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메디게이트뉴스] 최근에 친한 원장 한분이 수천건의 부당청구를 했다는 심사결정통보서를 받았다. 해당 원장은 평소에 한 건의 부당청구도 용납하지 않을 만큼 꼼꼼하게 청구하고 정직하게 진료하는 만큼 이런 통보서에 깜짝 놀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 이유를 알아보니 검체검사 질가산교육을 이수하지 않아서 교육이수 후에 청구할 수 있는 2%의 가산금액이 부당청구된 것이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삭감된 금액이 수십만원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의원급 의료기관이 검체검사 질가산을 받기 위해서는 상근의사가 대한의사협회에서 실시하는 검체검사 질가산 관련 교육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검체검사 질가산 교육은 이수일로부터 1년간만 검체검사 질 가산 수가 항목을 산정받을 수 있는 규정이 있다. 개원의 입장에선 매년 교육날짜를 일일히 챙겨야 하고 심지어 해마다 날짜를 당겨서 교육받아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다. 이 때문에 교육시기를 놓치는 의료기관이 발생하고 있다. 뒤늦게 교육날짜에 맞춰 교육을 신청하려고 해도 2023.11.29
의대증원이 불러올 '낙수' 효과 아닌 '누수' 효과
[메디게이트뉴스] 존경과 신뢰는 사라지고, 불신과 불안이 가득한 사회다. 의료 현장에서의 문제도 여기서 비롯된다. 환자들이 의사를 믿지 못하고, 의사들도 국민과 국가로부터 상처 받았다.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도 형사 처벌하는 번위기가 가중되며, 필수의료 분야는 잠재적 범죄자의 위험까지 감수해야만 하는 아슬아슬한 줄타기 영역이 됐다. 존경이 사라진 의료현장에서 사명과 보람으로 자리를 지키던 필수의료진들은 ‘돈’과 ‘위험부담’을 놓고 고민에 빠진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이것이다. 소위 ‘현타’와 상대적 박탈감에 빠진 다수의 필수의료진들이 현장을 떠나고 있다. '사람을 갈아 넣어 유지되던’ 대한민국 의료체계에서 필수의료 현장을 지키던 전문 인력의 누수로 인한 파급력과 붕괴 속도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증원을 선택한다면, 정부가 기대하는 ‘낙수 효과’가 작동한다고 해도 의료 현장에 적용되는 시점은 10년 뒤다. 하지만 의대 증원 발표가 젊은 의사 사회에 몰고 2023.11.24
정부가 의대정원 증원 확대 '강행'하면 의료계는 '강경투쟁'만이 답이다
[메디게이트뉴스] 단순히 의사 숫자만 늘린다고 필수 지역의료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니다. 단순히 의사 숫자만 늘리는 것은 전혀 바람직하지도 않고, 아무 의미도 없다. 의대정원은 장기적으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해당하는 문제일 뿐이다. 정부가 신중한 검토 없이 의대정원 정책을 강행하려 한다면 의료계는 최후의 수단을 동원해 강경투쟁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선언해야 한다. 의정협의체 전면 해체와 함께 의대정원 증원이 확대된다면 대한의사협회 집행부 총사퇴와 같은 강수를 둬야 한다. 의미 없는 의대정원 수요조사 전에 필수의료 지원 진정성부터 애초에 의대정원 수요조사는 의대보다는 대학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대학 총장까지 개입해서 원하는 의대정원 수를 더 많이 써내야 불이익이 적다는 분위기로 만들어진 숫자였다. 단순한 수요조사만으로 의대정원 확대 규모를 결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섣불리 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의대정원 증원을 반대하는 의사들을 고립시키려는 불 2023.11.24
의대 정원 확대 속 숨은 거짓말들
[메디게이트뉴스] 2023년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이후 갑자기 논의되기 시작한 의대 정원 확대 이슈는 가을을 넘어 겨울을 맞이해야 하는 대한민국을 뜨겁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우리나라는 40개의 의과대학이 있고 정원은 연간 3057명으로 2006년 이후 17년 동안 동결돼 왔다. 최근 언론에서 집중적으로 조명되는 소아과 대란, 응급실 뺑뺑이, 지방의료 공백, 필수의료 부족사태는 일제히 그 화살을 의대정원을 향하게 했다. 정책 결정은 언제나 과학적 근거가 기본이 돼야 한다. 의대 정원 확대와 같은 국가 보건의 근간이 되는 정책에는 전 세계적 흐름, 통계적 타당성, 정책의 합리성 등이 디테일하게 검토되는 게 당연하다. 그런데 최근 언론을 통해 발표되는 자료들은 오히려 국민들의 눈을 어지럽게 하고, 판단을 흐리게 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의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지역의사 양성, 필수의료분야 의사 양성, 의과학자 양성이다. 그리고 그 근거로 OECD 대비 인구 2023.11.1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