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기업 넘어 항암제기업으로…바이오엔테크, ADC 개발 본격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코로나19 백신 개발사로 유명한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BioNTech)가 항체-약물 접합체(ADC)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바이오엔테크는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매출이 크게 감소하자 암 치료제에 집중하던 초심으로 돌아가 새로운 수익원을 모색하고 있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바이오엔테크의 파트너인 중국 듀얼리티바이오(DualityBio)가 최근 HER2(사람 표피성장인자 수용체2) 표적 ADC 후보물질 'DB-1303' 3상 임상시험 계획을 발표했다. 바이오엔테크는 4월 듀얼리티바이오와 국소이성질화효소-1 억제제 기반 ADC 후보물질 DB-1303과 DB-1311의 전세계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두 자산의 라이선스에 대해 선급금으로 1억7000만 달러를 지불하고, 추가 개발, 규제, 상업적 마일스톤에 따라 총 15억 달러 이상을 지급하는 조건이다. ADC는 항체의 선택성과 화학요법 또는 기타 항암제의 강력한 세포 사멸 특성을 결합한 2023.09.06
사노피 듀피젠트, 영유아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1년 연구 데이터 발표
사노피 한국법인이 최근 열린 2023년 국제아토피피부염학회(ISAD, International Society of Atopic Dermatitis)에서 만 6개월~5세 영유아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듀피젠트 프리필드주(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의 효과와 안전성 데이터를 확인한 1년(52주) 연구 데이터가 공개됐다고 5일 밝혔다. 아토피피부염의 85~90%는 만 5세 이하에 발병하며 이는 종종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 증상이 심한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은 국소치료제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전신치료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지만 국내외 주요 아토피피부염 치료 가이드라인은 피부 위축, 감염, 전신 부작용 등의 위험으로 인해 영유아를 포함한 소아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국소 및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전신 면역억제제의 지속적인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듀피젠트는 지난해 11월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만 6개월 이상의 영유아에서 국소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2023.09.05
애스톤사이언스, 난소암 치료 백신 'AST-201' 美FDA 임상 2상 IND 승인
애스톤사이언스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난소암을 적응증으로 한 암 치료백신 AST-201의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5일 밝혔다. CornerStone-004 프로그램으로 알려진 이번 2상 임상시험에서는 난소암 진단을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후 시행하는 항암 치료에 플라스미드 기반 백신인 AST-201의 병용 투여군과 위약군의 대조 임상을 통해 임상적 효과와 약물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미국과 유럽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로써 애스톤사이언스는 유방암과 위암으로 적응증을 나눠 다국적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는 AST-301에 이어 AST-201까지 다국적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한 파이프라인이 2개로 늘어났다. 임상 단계로 진입한 파이프라인으로 확대해 보면 총 4개 약물을 확보하고 있다. 애스톤사이언스가 개발중인 암 치료백신 약물들은 특정 항원에 대한 T세포 면역원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하며 암세포 사멸 효과와 안전성 뿐만 아니라 장기 기억 면역력을 증가시 2023.09.05
엔트레스토,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회의서 신장 관련 연구결과 발표
한국노바티스가 최근 열린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회의(ESC Congress 2023)에서 노바티스의 심부전 치료제 엔트레스토(성분명 발사르틴/사쿠비트릴)의 신장 관련한 혜택을 확인한 PARAGLIIDE-HF와 PARAGON-HF의 추가적인 통합 분석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 5일 밝혔다. PARAGLIDE-HF 와 PARAGON-HF는 다기관,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 연구로, 좌심실 박출률이 40%를 초과하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엔트레스토와 발사르탄 단독요법 간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다. 하버드의대 브리검여성병원(Brigham and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무티아 바두가나단(Muthiah Vaduganathan) 박사가 발표한 이번 연구에서는 두 연구에 참여한 심부전 환자 총 5262명(PARAGLIDE-HF 466명, PARAGON-HF 4796명)을 대상으로 신장 관련 복합사건(기준점 대비 eGFR(사구체여 2023.09.05
한국얀센 '임브루비카', 1차 치료제로 급여 확대
한국얀센이 혈액암 치료제 임브루비카캡슐(성분명 이브루티닙)이 보건복지부 개정 고시에 따라 1일부터 일정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65세 이상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chronic lymphocytic lymphoma)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SLL, small lymphocytic lymphoma) 환자의 1차 치료제로 급여가 적용됐다고 5일 밝혔다. 65세 이상의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환자에서 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CIRS) 점수가 6점보다 크거나 또는 사구체 여과율(Creatinine Clearance)이 70mL/min 미만인 경우 임브루비카를 1차 치료에 단독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번 급여 확대는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65세 이상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 환자 대상의 무작위 배정, 공개 라벨, 다기관 3상 임상연구 RESONATE-2 및 이를 최대 8년까지 장기간 추적한 임 2023.09.05
셀트리온, 연 800만 바이알 규모 신규 완제의약품 공장 증설 착수
셀트리온이 늘어나는 매출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송도 캠퍼스 내 제1공장 옆에 연간 약 800만 개의 액상 바이알 생산이 가능한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 증설 절차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해당 DP공장이 증설되면 DP생산의 내재화 비율을 늘려 매출 증대에 따른 제품 공급 안정성과 원가 절감효과를 빠르게 높여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신규 DP공장은 최신 공정 적용으로 기존 DP공장 대비 파트별 생산 인원을 약 20% 축소해도 생산량은 약 1.8배 향상돼 생산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생산비용 및 인원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효과는 상업생산이 본격화될 때 가시화될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DP공장이 가동되면 현재 CMO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별 단가 대비 약 30%의 비용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른 원가경쟁력은 고스란히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져 보다 공격적인 해외 입찰시장 참여나 미국-유럽 외 기타 지역에서의 매출 증대로 이 2023.09.05
박셀바이오, 암세포 식별 및 살상력 키운 CAR 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박셀바이오가 8월 31일부터 9월 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7차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국제학술대회(ICBMT 2023)에서 이중 표적 나노 항원 인식 기술을 채용한 BCMA CAR(Anti-BCMA Dual Epitope-Binding CAR)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암세포 살상효과를 포스터와 구두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5일 밝혔다. CAR 치료제의 암 식별 능력은 CAR의 항원인식부위가 암 항원을 얼마나 잘 인식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과거 개발된 CAR는 주로 scFv(Single-chain variable fragment)라는 항원인식부위가 하나인 항체를 사용했다. 박셀바이오의 BCMA CAR는 나노바디 기술을 적용해 scFv의 항원인식부위보다 더 작은 두개의 항원인식부위를 연결했다. 이에 따라 암세포 인식력이 향상됐고, 암 살상력은 높아졌다. 집적도를 높인 반도체 나노 기술과 같은 원리이다. 박셀바이오는 이번 ICBMT에서 BCMA CAR-T 데이터를 포스터로 공개하고, 2023.09.05
랩지노믹스, 복지부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정부사업 컨소시엄 참여
랩지노믹스가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지원하는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연구과에서 5차년도에 걸쳐 진행하는 과제다. 이번 연구개발 사업을 위해 랩지노믹스는 중앙대학교 설우준 교수, 마크로젠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한다. 랩지노믹스는 일루미나 장비를 이용한 메타 샷건 시퀀싱(META shotgun sequencing)생산 등을 수행한다. 질병관리청 주관 하에 3년간 피부, 소화기 등 각 병원 및 연구기관에 배당된 메타 과제를 해당 컨소시엄을 통해 샘플을 수거하고 데이터 생산을 진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과제에서 표준화된 병원 기반 인간 마이크바이옴 시료 및 유전체 데이터를 수집·분석한다. 이를 통해 국내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인프라 기반을 마련하고, 치료가 어려운 감염 및 비감염질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새로운 진단치료제 개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헬스케어, 화장품, 식 2023.09.05
엔클로니, 화이자에 제약 자동 선별 및 인쇄 장비 공급
엔클로니가 독일 법인을 통해 화이자와 자동 선별 및 인쇄 장비 ‘PLPI(PLANET Laser Printing & Inspection)’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제약 외관검사 및 인쇄겸용 장비(PLPI)의 첫 해외 수출 사례다. PLPI는 비전 머신을 활용한 정제 검사와 함께, 레이저 인쇄 작업까지 가능한 자동 선별 및 인쇄 통합 장비로, 시간 당 35만 정을 처리할 수 있다. 이는 2019년 엔클로니가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엔클로니 관계자는 “화이자는 2018년 자동선별기, 2021년 대용량자동선별 장비를 구매한 기존 고객사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지속적인 계약은 엔클로니의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는 결과다”면서 “화이자는 이번에 장비가 납품될 예정인 독일 공장 외 이미 중국에서 엔클로니의 장비를 사용 중이다. 화이자의 글로벌 생산 거점이 36곳에 달하는 만큼, 지속적인 추가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2013년 설립된 엔클로니는 의 2023.09.05
메드팩토, ACR 2023서 뼈 질환 치료 신약 데이터 포스터 채택
메드팩토가 미국류마티스학회 2023(ACR,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2023)에서 뼈 질환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MP2021’의 전임상 데이터가 포스터로 채택됐다고 4일 밝혔다. MP2021은 메드팩토가 개발중인 항암 신약 백토서팁에 이은 차기 파이프라인으로 공식적으로 전임상 데이터가 공개되는 것은 이번 학회가 처음이다. 인간 뼈의 골수에는 파골세포가 있다. 파골세포는 분화를 거쳐 다핵 파골세포를 형성한다. 이 다핵 파골세포가 뼈를 갉아먹으면서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등 뼈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MP2021은 단핵 파골세포가 뼈를 갉아먹는 다핵 파골세포로 변하는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타깃하는 약물이다. 휴미라 등 기존 치료제는 염증을 억제해 증상을 완화시켜 간접적으로 뼈의 손실을 막는 반면, MP2021은 염증을 억제할 뿐 아니라 뼈를 녹이는 다중 파골세포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막아 골손실을 억제하는 유일한 약 2023.09.04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