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비소세포폐암 신약 1상 후속 데이터 발표 예정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9월 9일 싱가포르에서 개막하는 2023 세계폐암학회(IASLC 2023 WCLC)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176의 임상 1상 후속 데이터 발표가 확정됐다고 30일 밝혔다. BBT-176는 4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EGFR TKI)로 개발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는 11일 오후 EGFR 및 HER2 표적치료제 세션에서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임선민 교수의 발표를 통해 ▲1일 2회 복용에 따른 BBT-176의 개선된 내약성 및 복약순응도 ▲변경된 1일 2회 용법 투약군에서 종양의 크기가 30% 이상 줄어든 부분관해(PR)를 나타낸 환자 사례 등이 공개된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이정규 대표이사는 "현재 진행중인 BBT-176의 임상 1상의 확장 시험군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과의 임상 2023.08.30
유럽심장학회서 siRNA 치료제 업데이트…노바티스 렉비오·암젠 올파시란 성과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최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ESC 2023)에서 siRNA(작은 간섭 리보핵산) 치료제에 대한 긍정적인 데이터가 공개되며 관련 약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ESC 최신과학세션(Late-Breaking Science Session)에서 노바티스(Novartis)가 6년간 임상 관찰 결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을 약 49% 감소시킨 장기 데이터를, 암젠이 2상 데이터지만 후보물질이 마지막 투여 후 거의 1년이 지난 뒤에도 지질단백질(a)(LP(a)) 수치 감소 효과가 지속됐다는 데이터를 발표했다. 렉비오, 6년 장기 데이터서 LDL-C 수치 49% 감소 노바티스의 렉비오(Leqvio, 성분명 인클리시란)는 RNAi 치료제 분야의 선두주자인 앨나일램 파마슈티컬스(Alnylam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약물이다. 2019년 노바티스가 더메디슨(The Medicines 2023.08.30
사노피 파스퇴르, Tdap 백신 '아다셀프리필드시린지' 국내 출시
사노피 한국법인이 Tdap 백신 '아다셀프리필드시린지'를 국내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아다셀프리필드시린지는 기존 바이알(주사용 유리용기) 제형의 번거로움을 개선한 업그레이드 제품으로 기존 바이알 제형에 비해 접종 전 준비 과정을 한단계 줄일 수 있다. 또한 백신 준비 과정의 간소화로 오염 위험을 줄이고 백신 누출과 바늘 이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새로운 제형의 아다셀프리필드시린지는 루어락(Luer lock) 시스템을 사용해 주사용 백신의 누출을 방지한다. 루어 피팅의 한 종류인 루어락 시스템은 바늘을 나선형으로 돌려서 주사기에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상단에 고정해 바늘을 맞추는 루어 슬립(Luer slip) 시린지보다 더 안전한 연결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주사용 백신의 누출을 방지하고 갑자기 바늘이 빠지는 사고도 예방할 수 있어 의료진의 효율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사노피 백신사업부 한국법인 파스칼 로빈(Pascal Robin) 대표이사는 "아다셀은 전세계적으 2023.08.29
신테카바이오, 美 양자컴퓨팅 기반 AI신약 회사 ‘폴라리스QB’와 MOU 체결
신테카바이오가 미국 폴라리스 퀀텀 바이오텍(Polaris quantum biotech)과 AI와 양자계산을 결합한 AI신약 후보물질 발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자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AI 플랫폼을 활용해 초기 유효물질(Hit) 탐색에 나선다. 각 플랫폼에서 도출된 다수의 초기 유효물질 가운데 개발 가능성이 높은 약물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서비스를 고객사에 제공할 예정이다. 폴라리스QB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위치한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기업이다. 양자 어닐러(quantum annealer)에 기반한 신약 후보물질 생성 플랫폼 쿼드(QuADD)를 보유하고 있다. 10의 30제곱의 거대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고, 점차 양자컴퓨팅 기반의 응용을 넓히고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자체 클라우드 슈퍼컴퓨팅 인프라 기반으로 신약개발 전주기에 걸친 유전체 빅데이터 및AI 신약 플랫폼 서비스를 준 2023.08.29
비만약 위고비, 주요 심혈관 이상 줄이는데 이어 심부전에도 혜택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GLP-1 비만 치료제 위고비(Wegovy, 성분명 세마글루티드)가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에서 주요 심혈관계 이상반응 위험을 20% 줄이는데 이어 심부전 증상도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는 최근 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을 동반한 비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 STEP HFpEF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주 1회 세마글루티드 2.4㎎은 위약과 비교했을 때 심부전 관련 증상과 신체적 제한을 크게 줄이고 운동 기능을 개선시켰으며, 체중도 더 크게 감소시켰다. 이는 25~2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ESC) 학술대회에서 발표됨과 동시에 국제학술지인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게재됐다. HFpEF는 전체 심부전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피로, 호흡곤란, 운동 능력 감소, 사지 부종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및 신체적 제한 2023.08.29
파로스아이바이오, 美존스홉킨스와 PHI-101 병용 요법 공동연구 확대
파로스아이바이오(Pharos iBio)가 미국 존스홉킨스의과대학 종양내과 도널드 스몰(Donald Small) 교수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파이프라인 ‘PHI-101’의 병용 요법 확대를 위한 중개연구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1차 치료에 사용되는 아자시티딘(제품명 비다자)이나 베네토클락스(제품명 벤클렉스타)와 PHI-101을 병용할 때의 효능을 시험한다. 현재 진행 중인 PHI-101 임상 시험의 대상은 기존의 다른 약물이 듣지 않거나 치료 이후 질환이 재발한 AML 환자군이며, 다국적 임상 1b상 단계에 있다. 파로스아이바이오 윤정혁 대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PHI-101은 당사의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2024년 상반기를 목표로 미국, 호주 및 국내 포함한 글로벌 임상 2상을 준비하고, 케미버스를 활용해 다양한 적응증 확대 개발을 진행 중이다”며 “존스홉킨스의대와의 병용요법 중개연구 또한 당사의 ‘원 소스 멀티 유스(One 2023.08.28
테라펙스, 비소세포폐암 'TRX-221' 임상 1상 FDA 승인
테라펙스가 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인 ‘TRX-221’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8일 밝혔다.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C797S 돌연변이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4세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4th Generation EGFR-TKI)다. 기존 1, 2세대 치료제로 인한 내성 변이에도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스펙트럼(Broad spectrum) 약물이며, 뇌혈관 장벽(BBB)를 투과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테라펙스는 이번 임상을 통해 EGFR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의 기존 약물, 특히 3세대 EGFR 저해제에 대한 내성으로 발생하는 EGFR C797S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TRX-221의 항종양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의 EGFR 돌연변이에 대한 항종양 효과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TRX-221의 전임상 데이 2023.08.28
엘스비어, 간호 이론과 임상 현장의 격차 해소 위한 '간호교육 협의회' 성료
세계적인 연구논문 출판 및 정보 분석 기업 엘스비어(Elsevier)가 간호대학 교수들을 초청해 지난 24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서울·인천·경기 지역 간호대학을 대상으로 간호교육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서울대 서은영 교수(한국간호교육학회 회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희선 간호교육행정팀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오안나 간호교육수간호사, 엘스비어 코리아 김희란 이사 외 전찬호 팀장, 임규희 팀장과 국내 병원 및 대학 간호교육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행사 1부에서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희선 간호교육행정팀장이 연사로 참여해 ‘간호 이론과 임상 격차 해소를 위한 해결 방안’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엘스비어 간호교육솔루션 널싱스킬(Nursing Skills) 기반 대학 활용 사례 공유 및 네트워크 강화, 간호대학과 병원의 연계성 강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행사 2부에서는 한국간호교육학회 서은영 회장이 ‘디지털 간호교육의 방향: 술기 교육에서 상황 중심의 입체적 간호 2023.08.27
지투이, 글루코메트릭스와 자문계약 체결…"인공췌장 완성 속도 낸다"
당뇨병 관리 통합 헬스케어 전문 벤처기업 지투이(G2e)가 당뇨병 분야 전문 컨설팅 기업 글루코메트릭스와 자문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지투이는 당뇨병 분야 전문가인 글루코메트릭스의 김재현 CEO와 진상만 의학연구개발 최고책임자(Chief Medical R&D Officer)를 연구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김재현 CEO는 삼성서울병원 교수로 내분비대사과 분과장 겸 당뇨병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대한당뇨병학회 및 미국당뇨병학회 등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글루코메트릭스를 설립해 연속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혈당 데이터의 자동 분석을 통한 인슐린 치료 자동화 기술 개발 및 환자 맞춤형 개인별 생활 관리 API 서버 개발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투이는 이번 자문계약 체결을 통해 현재 개발 중인 인공췌장(개발명: ‘디아콘 이지루프’)에 대한 제품 검증 단계부터 식약처 승인 단계까지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글루코메트릭스는 지투이의 디아콘 이지루프 제품 구현방안에 대한 2023.08.22
BMS 레포트렉티닙, ROS1 억제제 베스트인클래스 될까…폐암 데이터 업데이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진행성 고형 종양의 ROS1과 NTRK 발암성 동인을 표적하는 차세대 약물인 레포트렉티닙(repotrectinib, TPX-0005)이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반응률이 높고 지속적이라는 데이터가 발표됐다. BMS(Bristol Myers Squibb)가 ROS1/TRK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레포트렉티닙의 등록 연구 TRIDENT-1의 업데이트된 결과를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결과는 9월 9~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국제폐암연구협회(IASLC) 주최 세계폐암학회(WCLC 2023)에서 구두 발표될 예정이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조병철 교수는 "ROS1 유전자 융합 양성인 환자에서 레포트렉티닙의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근거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TRIDENT-1 임상시험 데이터는 비소세포폐암 연구 분야에 큰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뇌를 포함해 지속적인 2023.08.1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