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텔릭바이오, 155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ntisense Oligonucleotide, ASO) 기반 혁신 신약을 개발 중인 오토텔릭바이오가 스톤브릿지벤처스 등 투자사로부터 155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B에는 기존 투자사인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및 메가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중소기업은행, 세종벤처파트너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코로프라넥스트(Co-GP), 우리은행, 마그나인베스트먼트·드림스톤프라이빗에쿼티(Co-GP), LSK인베스트먼트,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등이 FI로 참여했다. 확보한 자금을 통해 면역표적항암제와 고혈압 당뇨 하이브리드 신약의 임상 연구 및 글로벌 사업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오토텔릭바이오의 핵심 파이프라인은 췌장암 타겟의 ATB-301이다. 서울대병원 및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췌장암 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영국 클리니젠그룹의 IL-2 제제(제품명 Proleukin)와 병용하는 임상 1b상을 진행하고 있다. 고혈압과 당뇨 2022.03.28
화이자 백신 3차접종, 2차접종에 따른 방어력 외 코로나 예방 효능 95% 이상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화이자(Pfizer)와 바이오엔텍(BioNTech)의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Comirnaty, 성분명 토지나메란, 코드명 BNT162b2)를 3차 접종하면, 2차까지 완료했을 때의 모든 잔여 보호 외에도 95% 이상의 코로나19 예방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다국적 연구팀이 코로나19 백신 BNT162b2 3차 접종의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논문을 2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진행 중인 위약 대조 무작위 3상 임상시험으로 최소 6개월 전 BNT162b2 백신의 30㎍ 용량을 2회 접종 받은 참가자를 BNT162b2의 세 번째 용량 또는 위약을 주사하도록 배정했다. 3차 접종 후 7일째부터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총 5081명이 3차 접종을 받았고, 5044명이 위약을 받았다. 2회 접종과 3회 접종 사이의 기간 중앙값은 백신군 2022.03.26
美FDA, 릴리·이노벤트 PD-1 억제제 신틸리맙 승인 거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릴리(Eli Lilly and Company)와 중국 파트너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가 개발한 면역관문억제제가 결국 미국 허가관문을 넘지 못했다. 릴리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신틸리맙(sintilimab) 허가신청서(BLA)에 보완요구서한(complete response letter, CRL)을 발행했다고 밝혔다. 검토 기간이 완료됐으나 FDA의 의견은 2월 자문위 회의 결과와 일치하며, 현재 형식의 신청서를 승인할 수 없다는 내용이다. 신틸리맙은 중국에서 타이비트(Tyvyt)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PD-1 억제제로, 비편평성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페메트렉시드 및 백금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처음 미국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러나 올해 2월 열린 FDA 항암제자문위원회(ODAC) 회의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하면서 승인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 전망됐다. 자문위 회의 전 공개된 FDA 2022.03.25
가톨릭대 산학협력단, 파로스백신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은 22일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장기육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심근경색 치료용 면역관용 수지상 세포 및 그 제조방법' 기술을 파로스백신에 양도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수지상 세포는 T세포에서 항원제시 기능을 수행하는 전문적 항원제시 세포의 일종으로 T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관용 수지상 세포(Toletogenic DC, 이하 tDC)는 자가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 T세포의 증식을 억제해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암 또는 면역관련 질환의 치료법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양하게 발표돼 왔으나, 심근경색 치료에 적용한 것은 장 교수 연구팀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심근경색 마우스 모델에서 추출한 항원으로 수지상세포를 배양해 면역관용 수지상 세포를 얻었다. 수술 후 24시간 이내 정상대조군과 tDC 투여군, tDC 미투여군을 비교한 결과 tDC 투여군에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더 많이 2022.03.25
마크로젠 임원진, 자사 주식 7억원치 매수…책임경영 의지 드러내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의 주요 임원진들이 자사 주식을 장내 매수해 책임경영 의지를 드러냈다. 마크로젠은 25일 사내 임원진이 회사 주식 약 1000~2000주를 장내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임원진이 매수한 주식 총액은 약 7억원이다. 마크로젠은 회사의 경영성과를 모든 구성원과 공유하고 임직원 오너십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임직원 주주 참여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며 임직원의 선택에 따라 성과급을 자사주로 지급했다. 마크로젠 임원진의 이번 주식 매수는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에 대한 확신과 향후 주가 상승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마크로젠은 최근 랩지노믹스와의 업무협약 체결, 인천 송도에 아시아 최대 글로벌 지놈 캠퍼스 건립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마크로젠 김창훈, 이수강 대표는 "임원진 스스로가 경영에 책임감을 더하고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위한 결정이다"면서 "임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주주 참여 프로그램을 앞으로도 지속 확대해 2022.03.25
편도 오가노이드 활용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 모델, 세계 최초 국제학술지 게재
차의과학대학교 및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유종만 교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임영창 교수, 한국화학연구원 김미현 박사 공동 연구팀이 편도(Tonsil,톤실) 오가노이드의 SARS-CoV-2의 감염성 및 전염성 연구와 항바이러스 평가 플랫폼 활용에 대한 논문을 최근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에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사람의 편도 조직과 구조적, 유전적으로 유사한 편도 상피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인 SARS-CoV-2에 대한 생체외(ex vivo) 모델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편도 오가노이드에서도 마찬가지로 SARS-CoV-2 감염에 필수적인 ACE2 세포 수용체와 spike 단백질의 분절에 중요한 TMPRSS2와 퓨린이 발현돼 감염 환자에게 나타나는 유전자들의 증가 및 감소를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가노이드가 SARS-CoV-2 및 기타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적용 및 기초 연구를 위한 매력적인 생체 2022.03.25
"엔트레스토, 심부전 입원 초기부터 장기적 예후 및 삶의 질 개선 기여 기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한국노바티스가 24일 자사 만성 심부전 치료제 엔트레스토(성분명 사쿠비트릴/발사르탄)의 입원 환자 급여 확대와 가장 넓은 범위의 만성 심부전 적응증 추가 확대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 의미와 엔트레스토의 차별적 치료 혜택에 대해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엔트레스토는 국내 최초 안지오텐신 수용체-네프릴리신 억제제(ARNI) 계열 치료제이자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유일한 기전의 혁신 신약이다. 두 가지 경로로 심장 신경 호르몬에 작용하며, 심혈관계에 이로운 NP 신경 호르몬은 활성화하는 동시에 심혈관계에 해로운 RAAS는 억제한다. 이번 급여와 적응증 확대로 입원 초기부터 쓸 수 있는 치료제이자 국내에서 가장 넓은 범위의 만성 심부전 치료제가 됐다. 심부전 가이드라인 권고 사항 국내 치료 환경 반영돼 이날 간담회에서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강석민 교수는 '국내 심부전 치료 환경 개선 시급성과 엔트레스토 입원 환자 급여 확대 의미'를 주제로 발표했다. 2022.03.24
메드팩토, 글로벌임상전문가 '티모시 R. 알렌' 부사장 영입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가 글로벌 임상 전문가를 영입하면서 글로벌 임상 역량 강화에 나선다. 메드팩토는 최근 카리오파마(KaryoPharma)에서 수석 임상의를 지낸 글로벌 임상 전문가 티모시 R. 알렌(Timothy R. Allen) 박사를 미국법인 메드팩토 테라퓨틱스(MedPacto Therapeutics)의 임상 총괄 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 )으로 영입했다고 24일 밝혔다. 알렌 임상 총괄 부사장은 독일 머크, BMS, GSK, 로슈,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등 글로벌 제약사에서 20여년의 임상 경험 노하우를 가진 종양 분야 임상 전문가다. 그는 최근에 종양학 약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상장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인 카리오파마에서 임상 개발 담당 부사장을 역임했다. 알렌 박사는종양학, 면역 종양학 및 다양한 악성 종양을 대상으로 하는 면역 조합/제형 요법 개발의 연구개발(R&D) 분야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 2022.03.24
큐라티스, 기술성 평가 통과하며 코스닥 상장 청신호
큐라티스가 한국거래소 지정 기술성 전문 평가 기관인 이크레더블과 NICE평가정보가 진행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술성 평가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첫 관문으로 기술력이 뛰어난 유망 기술 기업을 선별하는 제도다. 올해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 기준이 엄격하게 변경돼 평가 항목이 35개로 세분화하는 등 기술성, 사업성의 객관적 검증이 강화됐다. 큐라티스는 이번 기술성 평가 통과를 통해 백신 개발 플랫폼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코스닥 상장 예비 심사 청구 자격을 갖추게 됐다. 이른 시간 안에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하고 올해 안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업 공개(IPO)에 진입할 계획이다. 큐라티스 관계자는 "이번 기술성 평가 통과로 회사의 우수한 백신 개발 플랫폼 기술력을 입증받았으며 결핵 전문가인 김천태 전문위원 영입을 통해 결핵 백신 연구 분야에 전문성을 더 공고히 하게 됐다"며 "앞으로 코스닥 상장을 통해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확립하고 꾸준한 연구 개발 2022.03.24
셀트리온헬스케어, 브라질 연방정부 입찰서 '램시마' 수주 성공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중남미 최대 제약시장인 브라질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입찰 수주에 성공하며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와 함께 3개 주요 제품 모두 공공 시장에 공급하게 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브라질 연방정부 입찰에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경쟁사들을 제치고 단독 수주에 성공했으며, 향후 1년 간 브라질 연방시장에 ‘램시마’를 독점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브라질에서 규모가 가장 큰 상파울루주를 비롯한 12개 주정부 입찰에서도 수주에 성공하며 ‘램시마’를 독점 공급하게 됐다. 이로써 램시마는 기존부터 공급되고 있던 사립시장 물량 등을 포함해 브라질 인플릭시맙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의약품 간접판매에서 직접판매(직판)로 전환한 이후 성과를 지속하고 있는데 이미 브라질에서 연방정부와 주정부에 트룩시마, 허쥬마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번에 램시마를 추가했다. 유통구조 2022.03.24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