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PIA-KOTRA, 국내 의료·바이오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와 KOTRA가 11일 서울 서초구 KOTRA 본사에서 국내 의료·바이오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주요 내용은 의료·바이오 분야의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스타트업 역량강화 교육 ▲기본 역량이 확보된 스타트업 대상 글로벌 제약사 제휴 지원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위한 연계사업 등에 대한 장기적 협력관계 구축이다. 양 기관은 이미 지난 3월부터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글로벌제약사-스타트업 공동 인큐베이팅’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KRPIA 회원인 글로벌 제약사의 실무 전문가가 직접 국내 유망 의료·바이오 스타트업의 교육과 멘토링을 진행해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길러주고 있다. 회차별 평균 100여명이 참가하는 등 스타트업의 반응이 뜨겁다. 이번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양 기관은 의료‧바이오 스타트업의 역량확충 및 글로벌 제약기업과 스타트업간 제휴관계 구축사업을 더욱 강 2018.04.11
마이23헬스케어 유전자 분석 서비스 패키지 판매 개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마이23헬스케어가 유전자 분석 서비스 및 건강 솔루션을 판매하는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오픈하고 본격적인 대 고객 서비스에 들어갔다.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유전자 분석 기업인 테라젠이텍스와 협업을 통해 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 검사(DTC)로 허용된 12가지 항목을 고객 니즈에 맞게 구성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 상품을 판매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유전자 분석 서비스는 신체특성12 유전자 검사, 다이어트/건강 유전자 검사, 피부/탈모 유전자 검사 등 총 3가지 카테고리로 판매된다. 신체특성12 유전자 검사는 체질량,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색소침착, 피부탄력, 피부노화, 탈모, 모발굵기, 비타민C, 혈압, 혈당, 카페인대사 등 12가지 항목을 통해 자신의 체질을 유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이어트/건강 유전자 검사는 자신의 유전형에 맞는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를 위한 유전자를 확인하는 검사로 체질량,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 등 6가지 항목에 걸쳐 분석 2018.04.11
면역항암제간 조합 옵디보+여보이, 적응증 어떻게 확대될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최근 면역항암제의 다양한 병용요법이 눈길을 끌고 있는 가운데, 면역항암제간의 병용요법인 옵디보와 여보이 조합에 대한 임상 결과가 속속 나오면서 적응증 확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노약품공업과 BMS제약의 면역관문억제제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와 여보이(성분명 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은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 치료제로 국내외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다양한 임상 결과가 계속 보고되면서 두 약물의 병용요법에 대한 적응증이 점차 추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장 먼저 기대되는 적응증은 신세포암이다. 최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는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진행성 신세포암 환자에서 표준치료와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을 비교한 3상 임상 CheckMate-214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연구에서 중등도~고위험군 환자를 중앙값 25.2개월 추적 관찰한 결과 병용요법은 전체 생존기간과 객관적 반응률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2018.04.11
노바티스, 9조원에 美 유전자치료제 회사 인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지난해 첫 CAR-T 치료제인 킴리아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 받으면서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던 노바티스가 이번에는 척수성 근위축에 대한 첫 유전자 대체요법에 도전한다. 스위스 제약사인 노바티스는 9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사인 임상 단계 유전자 치료제 개발 회사 아벡시스(AveXis)를 주당 218달러 또는 현금 총 87억 달러(약 9조 3151억 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 거래는 두 회사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아벡시스는 단일 유전자 결함에 의한 유전성 신경퇴행성 질환인 척수성 근위축(SMA) 치료에 대한 여러 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후보물질인 AVXS-101은 유아 10명 가운데 9명이 2살까지 살지 못하거나 영구적으로 호흡기에 의존하는 유아 사망의 가장 큰 유전적 원인인 SMA 유형 1 치료에서 강력한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노바티스 바스 나라시만(Vas Narasimhan) CEO는 "이번 아벡시스 2018.04.10
키트루다, 폐암 1차 치료제로 자리매김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PD-L1 발현율이 1% 이상인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에서도 키트루다 단독요법이 전체 생존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SD는 9일(현지시간) 종양 세포의 PD-L1 발현율이 최소 1%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서 1차 치료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단독요법을 평가한 3상 임상 KEYNOTE-042 연구 결과 일차평가변수인 전체 생존(OS)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MSD에 따르면 독립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가 수행한 중간 분석에서 PD-L1 발현율이 1% 이상인 환자에서 키트루다 치료는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비해 유의하게 전체 생존기간을 연장시켰고, DMC의 권고에 따라 향후 이차평가변수인 무진행 생존(PFS)을 분석할 예정이다. 머크연구소 회장 로저 펄머터(Roger Perlmutter) 박사는 "KEYNOTE-042에서 키트루다는 PD-L1 발현율이 1% 이상인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 2018.04.10
옵디보+여보이 신세포암 1차치료 효과 NEJM 게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와 여보이(성분명 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을 신세포암 1차 치료제로 사용하면 표준치료보다 치료 결과를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 로버트 모쩌(Robert Motzer) 박사팀은 병용요법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한 3상임상 연구인 CheckMate-214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과거 파일럿 연구에서 옵디보와 여보이 병용요법은 진행성 신세포암 환자의 객관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3상 임상에서는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진행성 신세포암 환자에서 표준치료인 수텐(성분명 수니티닙)과 두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요법을 비교했다. 총 1096명이 등록됐고, 옵디보+여보이군(n=550)과 수텐군(n=546) 가운데 각각 425명, 422명이 중등도~고위험군 환자였다. 중등도~고위험군 환자를 중앙값 25.2개월 추적 2018.04.10
메디블록, 한양대의료원과 업무협약 체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한 개인의료정보 플랫폼 메디블록과 한양대의료원이 9일 의료기록 체계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오라클 메디컬 그룹, 경희대치과병원에 이은 세 번째 병원과의 파트너십이다. 이날 협약식애서 한양대의료원과 메디블록은 블록체인 기반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구축을 위해 상호협력하고, 플랫폼 구축과 관련된 기술 및 플랫폼에 대한 인프라 지원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 밝혔다. 메디블록 이은솔 공동대표는 "협력사로서 플랫폼 구축을 위한 포괄적인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의료정보 통합 플랫폼 제공을 시작으로 메디블록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연동시켜 한양대의료원 환자들이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디블록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의료정보 통합 플랫폼이다. 환자의 진료기록과 라이프로그 등 통합된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의료기관 방문 시 의사에게 진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메디블록을 통해 특정 2018.04.09
프라닥사, 대규모 리얼월드연구 유럽부정맥학회서 발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베링거인겔하임이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경구용 항응고제 사용에 대한 대규모 글로벌 전향적 연구 중 하나인 GLORIA-AF 등록 임상 프로그램의 새로운 데이터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유럽부정맥학회 연례학술대회(EHRA 2018)에서 발표됐다고 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프라닥사(성분명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치료를 받고 잇는 심방세동 환자 약 5000명을 대상으로 2년간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한 2상 임상으로 주목 받는 연구(Late-breaking science - Registries) 세션에서 발표됐다. 연구 결과 주요 출혈(0.97%) 및 뇌졸중(0.65%)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닥사의 일관된 안전성과 유효성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 기타 리얼월드 및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에서 관찰된 장기간 안전성 프로파일과도 일치했다. GLORIA-AF 등록 임상 프로그램 운영위원회 공동 위원장인 그레고리 립(Gregory Y H 2018.04.09
휴미라, 추가 적응증 승인…총 15가지 적응증에 허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한국애브비와 한국에자이가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의 소아 적응증 추가 및 중증 판상 건선 환자 치료에 대한 허가사항 변경을 승인받았다고 9일 밝혔다. 추가된 소아 적응증은 기존 치료에 적절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거나 해당 치료가 부적절한 2세 이상의 특발성 관절염과 관련된 만성 비감염성 전방 포도막염 치료다. 또한 중증도~중증 판상 건선 성인 환자가 기존 2주 간격 휴미라 투여에 적절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40㎎ 매주 투여로 증량 시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 결과를 반영해 허가사항이 변경됐다. 이번 승인으로 휴미라는 총 15가지 적응증에 허가를 받았고 다섯 번째 소아 적응증 추가했다. 아주대병원 안과 송지훈 교수는 "포도막염은 시력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한 질환으로 특히 소아는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치료가 어려우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외 효과적인 치료제가 거의 없었다"면서 "임상연구를 통 2018.04.09
페링, 마이크로바이옴 회사 리바이오틱스 인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스위스 제약사 페링(Ferring Pharmaceutical)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미국 바이오텍 리바이오틱스(Rebiotix)를 인수한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특정 환경에서 존재하는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정보 전체를 의미하며, 최근 의학계와 산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다. 리바이오틱스은 건강하고 살아있는 인간 유래 미생물을 위장관으로 전달하는 '마이크로비오타 복원 치료(Microbiota Restoration Therapy)' 약물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리바이오틱스의 후보물질 가운데 가장 개발이 많이 진행된 것은 RBX2660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 diff.) 재감염 예방 적응증으로 3상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개발에 성공하면 전 세계에서 첫 번째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RBX2660는 미국 식품의약품(FDA)으로부터 신속심사, 혁신의약품 2018.04.0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