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약품, SGLT-2 억제제 당뇨병치료제 '에이다파정' 출시
안국약품은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의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치료제 '에이다파정'을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에이다파정은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의 SGLT-2 억제제 제품으로, 5mg은 지난 2022년 12월 2일, 10mg는 2022년 5월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지난 4월 1일자로 혈당강하제에 대한 보험급여 기준이 확대되면서, 기존에 보험급여 적용이 되지 않았던 메트포르민+DPP-4억제제+SGLT-2억제제 병용 처방에 대한 급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에이다파정을 포함한 SGLT-2 억제제의 이점과 DPP-4 억제제의 이점을 모두 보험급여 기준 하에서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이다파정은 5mg 용량을 출시함으로써 혈당강하제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혔다. 에이다파정의 약가는 10mg 334원/정, 5mg 262원/정으로 기존 다파글리플로진 성분 제품보다 54.5%(10mg 기준) 수준이다. 안국약품 관계자는 "기존 글리메피리 2023.04.13
SK바이오사이언스, L하우스 비전 선포식 개최
SK바이오사이언스는 11일 L하우스에서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김훈 Global R&BD대표, 이상균 L하우스 공장장(부사장) 등 임원진 및 L HOUSE 구성원 4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L하우스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One Goal, One Team’을 주제로 열린 비전 선포식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L하우스가 달성한 성과와 주요 마일스톤을 함께 돌아보고, 엔데믹 시대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향후 미래 전략 및 목표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이상균 L하우스 공장장은 인사말을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팬데믹 대응의 중심에 설 수 있었던 것은 L하우스 구성원들의 값진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지난 3년간 대한민국의 공중보건 수호를 위해 쉼없이 달려온 L하우스 직원들에게 감사와 격려의 마음을 전했다. 이어 대한민국 1호 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의 출하식(2022년 9월)을 포함해 문재인 前 대통령 방 2023.04.13
다파글리플로진 특허 만료로 SGLT-2 제네릭 '봇물'…대웅 엔블로의 경쟁력은?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 특허만료가 이어지면서 국내 제약사간 당뇨병 치료제 경쟁이 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 계열에서 SGLT-2억제제 계열로 확산될 전망이다. SGLT-2 억제제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 엔블로 정의 상반기 출시를 앞둔 대웅제약의 경쟁상대가 급증한 것인데, 대웅 측은 적응증 확장과 해외 시장 진출 등을 통해 경쟁우위를 차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다파글리플로진 특허만료에 따라 해당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397개가 품목허가를 받았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포시가 정 2개 품목과 메트포르민과 복합제인 직듀오 서방정 4개 용량, DPP-4 억제제인 삭사글립틴과 복합제인 큐턴 정 등 오리지널을 제외하면 제네릭 품목만 390개인 셈이다. 앞서 지난 7일 다파글리플로진의 물질특허가 만료됐다.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은 제2형 당뇨병 치료 약물인 SGLT-2 억제제 중 하나다. 이 2023.04.13
신약개발‧제조공정 혁신 조명 ‘MIT-코리아 컨퍼런스’ 개최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산학협력프로그램(MIT Industrial Liaison Program, 이하 MIT ILP)과 오는 4월 28일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에서 ‘2023 MIT-코리아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MIT ILP는 헬스케어, 정보통신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MIT의 학문적 연구 성과와 산업계의 상호연계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산학 연계 프로그램이다. 협회는 지난 2020년 6월 14개 회원사와 함께 MIT ILP에 컨소시엄 형태로 가입한 바 있다. 이후 협회와 MIT ILP는 정기적인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 제약바이오산업의 혁신 사례를 조명하고, MIT 연계 기업‧전문가들과 개방형 혁신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3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첫 대면행사로 준비됐으며, ‘신약 개발’(Drug Discovery)과 ‘제조공정’(Manufacturing) 부문에 초점을 맞춰 각 분야 세계적인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뤄질 예정이다 2023.04.12
대웅 IT솔루션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 중기부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협약 연장
대웅 자회사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IDS&TRUST)는 중소기업벤처부에서 주관하는 '2023년도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협약 연장 심의를 통과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선정된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는 사업기간에 제공했던 서비스 상품과 품질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이번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협약 연장 심의를 통과했다. 협약 연장은 4월 1일부터 1년간 적용된다.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의 디지털화 촉진 및 비대면 서비스 분야 육성을 위해 화상회의, 재택근무(협업툴), 네트워크·보안솔루션, 메타버스 사무실 서비스 지원을 하는 중소기업벤처부의 사업이다. 중소기업벤처부는 비대면 서비스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기업'을 선정하고, 해당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기업도 선정한 후 바우처를 지급해 최대 70%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는 비대면 서비스 분야 중 기업용 재택근무 협업툴인 그룹웨어 '스마트러너(SMART RUNNE 2023.04.12
정형·재활 물론 성형·탈모시술 확산으로 주목받는 PRP…굿모닝바이오 국내시장 진출 배경은?
수출 중심의 PRP(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농축혈장) 전문기업 '굿모닝바이오'가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출사표를 던졌다. 최근 국내를 비롯 아시아 시장에서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뿐 아니라 미용성형, 탈모, 난임, 안과, 이비인후과 등의 시술에 PRP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높은 성장 가능성이 예측되고 있는 만큼, 국내 의료진과 소비자들에게 보다 합리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굿모닝바이오는 수출중심의 굴지의 PRP 전문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국내 시장 진출에 앞서 PRP 관련 제품 포트폴리오와 특장점, 진출 배경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정형, 난임, 안과, 안티에이징, 탈모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는 PRP PRP는 자신의 혈액 중 혈소판 부분을 선별적으로 추출한 혈장성분을 뜻한다. 일반적인 혈액의 혈소판 농도는 20만/ul 정도인 반면, PRP에는 그 농도가 최소 4배 이상(평균 100만/ul)을 추출해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다 대한슬관절학 2023.04.12
GC녹십자, SGLT-2i 당뇨병 치료제 '네오다파정', '폴민다파서방정' 출시
GC녹십자는 당뇨병 치료제 네오다파 정 5밀리그램과 10밀리그램, 폴민다파 서방정 10/500밀리그램과 10/1000밀리그램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네오다파정은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 성분의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다. 특히 네오다파정 5밀리그램은 다파글리플로진 저함량 제품으로 제2형 당뇨병 치료 시 용량 조절에 용이할 전망이다.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은 제2형 당뇨병 치료 약물인 SGLT-2 억제제 중 하나다. 이는 신장에서 SGLT-2를 억제해 포도당의 재흡수를 감소시키고 포도당을 소변으로 배출함으로써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투여된다. 중등도나 중증 만성신질환을 동반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단계의 2형 당뇨병에서 혈당 저하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폴민다파서방정은 다파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Metformin)성분이 결합된 복합제다. 메트포르민 성분은 간에서의 2023.04.12
"한미약품 로수젯, 노인 환자 LDL-콜레스테롤 관리 효과"
한미약품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의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효과 연구 결과가 란셋(The Lancet, IF : 202.731)에 등재된 데 이어 75세 이상 노인 환자의 LDL-C(저밀도 콜레스테롤)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추가로 나왔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로수젯을 이용한 대규모 임상인 '레이싱 연구'를 토대로 진행된 하위 분석 결과가 국제학술지인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IF : 27.203)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란셋에 등재된 레이싱 연구(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의 두 번째 하위 분석으로, 죽상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이 있는 75세 이상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고강도 스타틴 단독 요법과 ‘중강도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요법’을 비교해 3년 동안 심혈관계 사망, 뇌졸중 발생, 심혈관 사건 발생률을 확인한 연구다. 레이싱 연구와 마찬가지로 부작 2023.04.12
카이스트, 10분만에 진단 가능한 PCR 검사 개발
전염성 높은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료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해 신속하게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현장 진단검사는 신속 항원 검사에 국한돼 진단의 정확성이 낮은 실정이다. KAIST(카이스트)는 최근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교수 연구팀이 나노종합기술원과 오상헬스케어와의 공동연구로, 현장 진단이 가능한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검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감염병 확진을 위한 현장 진단 검사가 부적합한 했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 95% 정확도를 가진 현장 진단에 적합한 초고속 초소형 플라즈모닉 핵산 분석 시스템을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광열 나노소재 기반 초고속 플라즈모닉 열 순환기, 미세 유체 랩온어칩 기반 금속 박막 카트리지, 초박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형광 2023.04.12
매출은 삼바 > 셀트리온 > 유한양행 순…판관비 규모 대웅제약 1위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국내 상위 제약사들의 평균 매출 대비 판관비가 30%를 웃도는 가운데, 지난해 가장 많은 판매관리비를 지출한 기업은 대웅제약으로 무려 매출 대비 40%에 이르는 4600억원대 비용을 투입했다. 이는 잇딴 신제품 출시에 따른 영업마케팅 활동 증대로 풀이된다. 12일 2022년도 별도기준 상위 30위 상장 제약기업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판관비로 불리는 판매관리비(SG&A)는 매출을 올리기 위한 직·간접적인 판매비용과 영업을 위한 관리비용을 모두 포함한 비용으로, 영업이익률과 직결된다. 제품의 생산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직접 비용(COGS에 해당)은 판관비에 포함하지 않는다.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 1위를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판관비로 2322억원을 지출했다. 매출 대비 판관비는 9.53%에 그쳐 업계 평균에 못미쳤다. 1위자리를 바짝 추격 중인 셀트리온은 지난해 1조9375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이에 투입된 판관비는 2665억원을 2023.04.1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