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제점 수준의 당뇨병관리 실태…교육 시간 확대·급여화·아이쿱 '닥터바이스' 대안될까?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당뇨병은 합병증, 사망 등으로 이어지지 않게 적극적인 예방·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지만, 국내 당뇨병 환자의 관리 성적은 낙제점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차원에서 이를 개선하고자 '당뇨병 교육자' 양성과 '당뇨병 교육 인증병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별도의 수가가 없어 개별 병원들이 지속적으로 이행할 동력은 없는 실정이다. 대한당뇨병학회 김난희 교육이사(고려의대 안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조재형 정보이사(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최근 제약바이오기자단 인터뷰를 통해 사업을 보다 체계적·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관리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급여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라는 입장이다. 현재 30세 이상 성인 6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유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당뇨병은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고 혈당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양한 만큼 평생에 걸쳐 환자 스스로 관리가 필요하다. 혈당 2023.03.20
"세살 비만 여든까지 간다…조기 개입 없으면 당뇨병·사망위험 급증"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살이 키로 간다는 말은 틀렸다. 소아청소년시기 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비롯 합병증과 사망 등의 위험을 높이는 만큼 조기에 개입해 치료를 해야 한다." 대한비만학회 홍용희 소아청소년이사(순천향대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한국소아당뇨인협회 교육이사(경일대 간호학과 교수)는 대한비만학회와 대한당뇨병연합이 개최한 공동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생활습관 교정·치료제·CGM 적용 등 지원과 법제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순천향의대 소아청소년과 홍용희 교수는 '소아청소년 비만 실태'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3분의 1 이상이 과체중이며, 특히 남아에서 두드러졌다"면서 "중·고등학생 비만 유병률 역시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증가했다. 복부비만 역시 심각한 수준으로, 남자고등학생의 30%가량이 복부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소아비만을 판정하는 정확한 기준은 확립돼 있지 않지만, 흔히 체질량지수(BMI) 2023.03.18
지씨씨엘, 말초혈액단핵세포(PBMC) 자원관리시스템 구축
임상시험 검체분석기관 지씨씨엘(GCCL)은 말초혈액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이하 PBMC) 자원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7일 밝혔다. PBMC 자원관리시스템은 모검체의 도착에서부터 원심분리, 자검체 PBMC의 바이알 제작, 보관, 반출 맵핑(Mapping) 및 폐기에 걸친 전 과정을 2단계 바코드 시스템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산 프로그램이다. 이번 개발을 통해 모검체의 바코드와 맵핑(Mapping)된 자검체의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고 전 과정을 전산화함으로써 기존의 수기 입력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고 고객 요청 시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희주 지씨씨엘 연구소 운영 총괄 본부장은 "면역항암제 등 바이오의약품 신약개발 임상시험에서 세포매개 면역원성 분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PBMC 제작과 자원 관리에 대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이를 통해 검체 자원 관리에 효율성과 안전성, 신뢰성을 높일 것으 2023.03.17
휴젤, 미용기기·차세대 필러·스킨부스터 스타트업 모집 "오픈이노베이션 추진"
휴젤이 신한금융그룹과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한다. 휴젤은 신한금융그룹의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 '신한 스퀘어브릿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오는 30일까지 휴젤과 전략적 연계 가능성이 있는 기술 또는 혁신적 활용 방안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17일 밝혔다. 모집 분야와 기술은 ▲에너지 기반 미용의료기기(Energy Based Device) ▲차세대 필러 및 스킨부스터(Bio Stimulators)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이다. 서류 심사와 심층 인터뷰를 거쳐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과는 약 11주간 사업화 방안 및 비즈니스 모델 검토, PoC(기술 검증, Proof of Concept) 등 각종 협업 논의를 진행하게 된다. 휴젤은 지난 2016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를 통해 오픈 이노베이션 경험과 노하우를 쌓아왔다. 바이오 특화형 운영사로 선정된 후 현재까지 10개 벤처기업을 지원하며 총 2023.03.17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1차 치료 적응증 추가 변경 허가 신청
국산 폐암신약 렉라자가 1차치료제로의 적응증 확장에 나선다. 유한양행은 17일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로 렉라자®(영문 제품명: LECLAZA®, 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의 적응증을 추가하기 위한 변경 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렉라자는 지난 2021년 1월 18일 식약처로부터 EGFR T790M 돌연변이 양성 2차 치료제로 허가 받은 제품이다. 지난해 10월 EGFR 활성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로 수행한 다국가 임상 3상 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무진행 생존기간(PFS, progression-free survival) 개선을 확인했으며, 지난해 12월 싱가폴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아시아 총회(ESMO Asia)에서 상세한 임상 시험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국내 적응증 확대를 위한 변경 허가를 2023.03.17
수면장애가 산업계에도 큰 영향...디지털 치료기기 1호 '솜즈', 불면증 치료제로 포문
'세계 수면의 날' 특별기획 세계수면학회(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 WASM)는 수면과 관련된 의료·교육·사회적인 문제를 환기시키고, 수면장애를 예방·치료함으로써 수면질환과 관련된 사회적인 부담을 낮추기 위해 매년 낮과 밤이 똑같아지는 춘분 직전 금요일을 '세계 수면의 날' (World Sleep Day)로 정하고 있다. 올해 세계 수면의 날은 3월 17일이며, '수면은 건강에 필수적이다(Sleep is Essential for Health)'를 슬로건으로 내세워 세계 각지에서 관련 행사가 마련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세계 수면의 날에 발표된 수면건강과 수면산업의 주요 내용을 모아서 다뤄본다. ①경제 불황에 불안·우울로 잠 설치는 사람↑…한국인 85% 수면의 질 저하 증상 경험 ②수면장애가 산업계에도 큰 영향...디지털 치료기기 1호 '솜즈', 불면증 치료제로 포문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국내 1호 디지털치료기기인 에임메드 솜즈(So 2023.03.17
연구개발·인허가·보험약가 등 제약바이오 입문 온라인 교육 강좌 개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달초부터 제약바이오산업계에 종사한지 3년 이내인 입문자를 대상으로 연구개발(R&D)·인허가(RA)·보험약가 등 기본교육 온라인 강좌(e-learning)를 시행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에는 GMP(우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에 대한 온라인 교육을 진행했는데, 이번에 연구개발·인허가·보험약가 3개 과정을 신규로 추가했다. 먼저 연구개발 과정은 연구 기획부터 허가 자료까지 의약품 개발의 전주기를 이해하는 실무자를 목표로 진행한다. 교육은 ▲연구기초 ▲공정개발 ▲분석공정 개발 ▲기술이전 ▲임상 및 허가로 구성됐다. 인허가 과정은 약사법 등 관련 법령 뿐만 아니라 의약품 개발의 전주기, 제제연구, 비임상·임상시험, 동등성시험, 품질관리 등을 다루며 ▲기본개념 ▲규제 관련 법령 ▲비임상 및 임상시험 ▲허가 및 심사 ▲사후 관리로 짜여져 있다. 보험약가 과정은 건강보험정책 및 보험의약품 제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필수적인 보험약가 정책들을 교육하며 ▲기본개 2023.03.16
검찰 간접수출 불구속 기소에 휴젤 이어 한국비엔씨 "부당하다"
한국비엔씨는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의 약사법 위반 혐의에 따른 불구속 기소 결정과 관련해 부당하다는 입장을 16일 밝혔다.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는 지난 14일 휴젤·메디톡스·파마리서치·제테마·한국비엠아이·한국비엠씨 등 6개 보툴리눔톡신제제 제조업체와 12명의 임직원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보톡스나 백신 등 보건위생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생물학적 제제는 품목허가 외에 판매 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가출하승인을 별도로 받아야 하지만, 이들 업체는 2015년 1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식약처의 국가출하승인 없이 보톡스를 국내 수출업체에 판매해온 혐의다. 이에 대해 휴젤은 "의약품을 간접수출하는 과정에서 국내 무역업체에 의약품을 공급한 것을 두고 식약처에서 '국내 판매'로 해석해 품목허가 취소 처분을 함에 따라 제기된 사안"이라며 "간접수출은 국가출하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더라도 약사법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법적 절차에 성실히 임하면서 이와 같은 2023.03.16
유유제약, 해외 의약품 기부로 ESG경영 실천
유유제약은 한국사랑나눔공동체를 통해 캄보디아 헤브론병원에 항결핵제, 골다공증 치료제, 비타민 등 각종 의약품을 기부해 ESG경영을 실천했다고 16일 밝혔다. 유유제약은 유유마이코부틴캡슐(항결핵제), 유유이반드론산정(골다공증 치료제), 유로가바캡슐(뇌전증 치료제), 유로바젯정(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유판씨(비타민), 베노플러스겔(멍 및 부종 치료), 속편아제정(소화제) 등 다양한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기부했다. 헤브론병원은 지난 2007년 김우정 원장 등 한국인 의사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캄보디아 환자들을 위해 무료 진료소를 개설한 것으로 시작됐다. 현재 100여명의 의료진이 12개 진료과를 운영하며 매년 6만여명의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사랑나눔공동체는 2015년 설립돼 열악한 의료 상황에 처해있는 캄보디아,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지속적인 의료 지원활동 및 국내 소외된 계층에도 의약품 및 생필품을 지원하는 NGO다. 유유제약 영업마케팅본부 천경석 본부장은 2023.03.16
보령,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 어린이 구호성금 1억원 기부
보령(구 보령제약)은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피해 입은 어린이 구호를 위해 성금 1억원을 사단법인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 기부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달 튀르키예 남동부와 시리아 북서부를 강타한 규모 7.8의 대지진으로 약 18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잇따른 여진으로 추가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보령은 재난에 가장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어린이를 위해 지진 피해 구호에 동참하기로 했다. 특히 시리아 지역 어린이들은 오랫동안 지속된 내전과 함께 이번 지진으로 더욱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재난 성금 모금에는 보령과 보령홀딩스, 보령컨슈머헬스케어가 함께 참여했으며, 피해 어린이의 심리치료와 교육시설 재건을 비롯한 위생·보건·의료 등 각종 지원을 위해 유니세프한국위원회를 통해 기부가 이뤄졌다. 유니세프는 전 세계 어린이를 돕기 위해 1946년 설립된 유엔기구다. 현재 튀르키예, 시리아 정부와 긴밀한 협력 하에 피해지역에 설치된 상설 사무소와 전문 인력을 통해 어린 2023.03.1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