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2507:31

약이 아닌 게임으로 ADHD 치료?…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치료제를 주목하는 이유

식약처, 제품화 가이드라인과 빠른 상용화 추진....과기부, 정서장애 280억·자폐성 장애 300억 등 대규모 과제 예정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아직 국내에 생소한 개념인 디지털치료제(DTx)를 적극 받아들여 국내 헬스케어와 의료수준에 접목해 시너지를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디지털치료제 개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개발 지원과 함께 정확한 규정과 처방 기준, 라이센스 보호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학 약물로 해결 어려운 한계 극복…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기술 선정 디지털치료제는 게임 등 소프트웨어 기술을 치료 약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수단으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인 치료와 환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통적인 화학적 약물 치료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한계를 메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디지털치료제는 화학 약물의 보조 치료제 역할을 하면서 환자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AI 기반 디지털 맞춤형 치료법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중독치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2021.03.2507:30

AI·정밀의료·디지털치료제 등 급여 등재 위한 '혁신의료기술평가' 안전성·혁신성 필수

나군호 네이버 소장·송영조 복지부 과장 등 안전성 강조..."제도 개선 요구 잇따르지만 의료기기는 공산품과 달라"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인공지능, 3D 프린팅, 로봇 등 혁신의료기술이 허가를 받은 다음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해 의료현장에서 빠르게 쓰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혁신의료기술은 안전성은 인정되지만 임상적 효과에 관한 근거가 부족한 기술 중, 잠재적 가치(potential value)가 인정된 신의료기술을 의미한다. 보통 이전에 없던 기술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다음 건강보험 급여 또는 비급여 등재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신청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2019년 3월부터 시행한 혁신의료기술평가 제도는 의료기기 규제혁신 및 산업육성방안의 일환으로, 최소한의 안전성이 확보된 미래유망 혁신의료기술의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기 위해 도입됐다. 복지부는 신의료기술평가 제도에서 혁신의료기술 별도평가트랙을 마련해 문헌 고찰을 통한 유효성 평가 외에 의료기술의 임상적 가치, 의료기술에 대한 환자들의 요구도, 환자 만족도 개선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한 혁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