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투쟁으로 선회한 수도권 5개 의대 대표자, 윤 탄핵에도…"의대 방향성 존중·투쟁 지속"
가톨릭의대, 고려의대, 성균관의대, 연세의대, 울산의대 타 의대생에 사과…"정부, 실질적인 해결 방안은 제시된 바 없 없어"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정부의 미등록 시 제적 압박에 등록 후 투쟁으로 선회한 연세의대, 고려의대, 울산의대 등 수도권 의대 대표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에도 투쟁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들은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 것 역시 '협박'에 불과하다며 잘못된 정책에 대한 책임 및 해결을 위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 투쟁 방향성을 존중하고 함께 투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9일 가톨릭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울산대 의과대학 학년 대표자들이 공동성명서를 통해 투쟁을 지속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 3월 7일 교육부와 대학 총장들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3월 말까지 수업에 복귀하면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히며 미등록 시 제적 등으로 의대생들을 협박혔다. 이에 가톨릭의대, 고려의대, 성균관의대, 연세의대, 울산의대 등 5개 의대들은 등록 후 투쟁으로 방향성을 선회하는 선택을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대표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