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자·노인인구 증가, 문케어 시행...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체계도 개선되나
심평원, 구조·과정 중심 평가→결과지표 중심 통합적 평가 방식 전환 고민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만성질환자와 노인인구 증가 등에 따른 의료비 지출 확대,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 등으로 지난 2000년부터 시작된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제도’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는 건강보험을 통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전반에 대해 요양기관별, 상병별, 진료과목별로 구분해 의약학적·비용효과적 측면에서 평가하는 방식이다. 국내 보건의료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기존 구조, 과정 중심이었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방식을 결과 지표 중심의 통합적 평가 방식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국가 의료 질 관리를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5606억원의 경제적 효과...천식·COPD 등은 개선 필요 29일 심평원이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진행한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효과분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