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정다연 기자] 암 진단 이후 수술까지 대기하는 기간이 1달 이상인 위암 환자가 2013년 27%에서 2017년 37%로 증가해 암환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12주 이후 수술환자가 4주 이내 수술환자보다 사망위험률이 최소 1.9배에서 최대 2.6배 까지 높다는 2013년 암센터 연구 결과에 비췄을 때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 달이 지나 수술을 받은 위암 환자가 2007년 36%에서 2013년 27%로 감소했지만 지난해에는 다시 37%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분석 결과, 특히 광주, 전남, 경북, 강원 등 지역이 최근 몇 년 사이에 '한 달 이상 대기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병원 위주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영국과 캐나다 등 국가는 2000년대 초반부터 대형병원 쏠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암 계획을 수립했고 이에 따라 영국은 2018년 2월 기준 암환자의 97.6%가 치료 결정 후 31일 이내에 치료 받았다는 사실을 발표한 바 있다. 꾸준한 모니터링이 암환자의 치료 대기 시간을 단축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역시 지역암센터가 설립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수도권 솔림 현상이 여전하고 환자의 치료 대시기간을 줄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센터는 지난 2010년부터 전국 1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위암환자 코호트 연구’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자료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의 암 생존율이 70%에 이르고 있지만 선진국처럼 암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는 지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는 부재하다"며 "현재 암환자 등록사업이 존재하지만 암진단 환자를 등록하고 완치 일자 혹은 사망 일자를 체크하는 것이 전부"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도 암환자들의 통증과 불안을 해소하고 수술대기기간을 파악해 수술대기기간을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 방안이 필요하다"며 "권역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을 국립암센터와 복지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