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4.07.15 08:27최종 업데이트 24.07.18 21:14

제보

AI 활용 의료 서비스 필요성 느끼지만, 현장 도입까지 '산 넘어 산'

의료 현장 안착시키려면 정부·의료기관·개발자·환자 등 이해관계자 간 논의 필요

(왼쪽부터) 연세대 원주의대 고상백 교수, LG유플러스 CSO 부문 이영아 헬스케어전문위원, 법무법인 율촌 정상태 변호사,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나군호 소장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생성형 AI 등 기술 발전으로 산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의료산업의 경우 이해관계자가 많아 기술을 적용하고 활성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정부와 의료기관, 개발자, 환자 등 이해관계자 간의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바이오협회와 RX코리아가 개최한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4(BIX 2024)에서 '생성형 AI 시대,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 전망'을 주제로 한 세션이 진행됐다.

이날 LG유플러스 CSO 부문 이영아 헬스케어전문위원은 "AI 기술은 헬스케어 분야에도 접목할 수 있다. 의료 경영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보면 AI를 활용한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진단이나 처방 등의 효율을 기대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네이버는 의료진의 업무 효율화를 위해 AI 회의록 관리 서비스 '클로바노트'를 의료 기술에 접목했다. 이뿐 아니라 의무기록 차트를 스캐닝하는 기술 역시 개발 중이다.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나군호 소장은 "일반 클로바노트는 실제 의료 현장의 이야기를 알아들을 수 없다. 이에 네이버는 의료용 클로바노트를 개발하기 위해 서울 순천향대병원 간호사들의 실제 음성 파일을 AI에 학습시켰다. 이후 테스트를 진행했고, 현재는 삼성의료원 응급실에서 실증 사업을 하고 있다. 빠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에는 더 많은 병원에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기술 활용은 진료 현장의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현장 도입에는 일부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전문위원은 "(의료계에서도 AI 기술에 대한 기대가 있지만) 의료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이해관계자가 많아 기술을 활성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이 전문위원은 "(일례로) 생성형 AI는 의료진의 의사결정과 관리 업무 등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의료기관은 초기 비용을 투자한 만큼 이에 따른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면 정부는 해당 기술을 오래 사용했을 때, 운영 효율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예상한다. 이 때문에 정부가 생각하는 적정 보상과 의료기관이 생각하는 적정 보상 수준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AI가 기존의 모든 기술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 결국 AI는 의료인이 하는 의료행위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라며 "개발자 입장에서는 이렇게 기존 기술을 지원·보완하는 AI가 어떻게 좋은 수가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수 있다. 환자는 기존에 의사가 잘 진단·치료해 왔고, 이에 따른 비용을 지불했다. 그런데 AI가 도와준다고 해서 돈을 더 내야 하는 상황이다. 이를 환자가 수용할 수 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시 말해 각 기관의 입장차로 생성형 AI 등의 기술을 현장에 빠르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를 ​일부 규제나 가이드라인이 따라잡지 못하는 점 역시 문제다. 이에 이 전문위원은 적정 보상을 위해 정부와 의료기관, 개발자, 환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헬스케어는 AI를 활용한 다른 산업보다도 이해관계자가 많다. 이 때문에 적정한 보상에 대해 정부와 개발자, 의료기관, 환자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지원 기자 (jwlee@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