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09.19 16:28최종 업데이트 22.09.19 16:28

제보

대구·경북 의료체계 '빅체인지' 시작됐다…"경북대병원 이전하고 제2의료원은 무산"

동구 등 의료접근성 떨어지는 지역 대형병원 유치 가능성 있어…의료시설 편향 문제도 해결되나?

경북대병원은 그동안 좁은 진료 공간 등을 이유로 이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사진은 경북대병원 전경. 사진=경북대병원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 취임 이후 대구·경북 지역 의료체계의 큰 변화가 예상된다. 

제2대구의료원 설립 백지화와 더불어 경북대병원 이전이 겹치면서 지자체 의료 수요·공급망 등 의료 체계 자체가 달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의료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에 대형병원 유치 가능성도 점쳐진다.  

경북대병원 이전 기정사실화…수성구 군부대 후적지 유력 

19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우선 경북대병원 본원 이전이 기정사실화된 상태다. 기존 중구 삼덕동에 위치해 있던 경북대병원은 진료 공간 부족과 주차난 등으로 인해 이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대구시는 지난달 25일 경북대병원 이전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본원 이전 추진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TF는 향후 이전 후보지 선정과 입지 조건 분석, 이전에 따른 행정 지원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현재 이전 후보지 1순위는 수성구 군부대 후적지다. 홍준표 시장은 후보 시절부터 수성구 육군 제2작전사령부 이전을 공약했고 최근 경북 칠곡군이 수용 의사를 밝혔다. 

수성구와 동구 등 대구 동남권역은 상급종합병원이 없어 그동안 의료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를 듣던 지역이다. 

현재 대구시내 상급종합병원은 5곳으로 중구에 경북대병원, 남구에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달서구에 계명대 동산병원, 북구에 칠곡경북대병원이 위치해 있다. 

경북대병원 관계자는 "현 단계에서 의료 수요와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정 조건 만족 등 여러가지를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확정된 것은 없다. 다만 수성구 군부대 후적지가 적합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반대 의견도 있다. 이들은 홍준표 시장이 시민과 의료기관 구성원들의 의견을 전혀 수렴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는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홍준표 시장은 시민과 구성원들의 의견을 전혀 듣지 않는다. 경북대병원 이전도 일방적으로 발표됐다. 홍 시장의 행보가 심히 우려된다"고 질타했다. 

'대구 의료 불균형 타파' 올인하겠다는 조명희 의원…대형병원 유치되나?

경북대병원 이전과 아울러 이번 기회에 대구지역 의료 불균형을 타파하자는 정치권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다. 그 대표주자는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합류한 국민의힘 조명희 의원이다. 

조 의원은 19일 국회 복지위 전체회의에서 "후반기엔 의료시설의 균형적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올인하겠다"고 말했다.
 
조명희 의원은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료시설 균형발전을 위해 올인하겠다고 밝혔다. 사진=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조 의원이 의료시설 균형 발전을 위해 눈여겨 보고 있는 지역은 대구다. 조명희 의원이 대구에 집중하는 이유는 해당 지역의 의료 불균형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2020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대구 치료 가능 사망률은 전국 평균 43.34명에 비해 3.37명이 높은 46.71명이다. 이는 서울(37.50명)에 비해선 9.21명이나 높은 수치다. 

이같은 불균형의 이유로 조 의원은 의료시설 편향을 꼽았다. 그는 "대구는 상급종합병원 시설이 특정 지역에 치우쳐져 있어 시민들이 지속적으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첨복단지의 경우도 오송의 경우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굵직한 국책기관 12개와 의료기업 109개사가 입주해 있다. 반면 대구는 국책기관의 개수는 건립중인 것까지 포함하면 15개로 많아 보이지만 오송보다 규모가 작은 기관들이 들어와 있고, 입주기업도 89개사로 더 적다.

문제 해결을 위해 조 의원은 오는 21일 국회토론회 개최까지 예정하고 있다. 

대구시의사회 이상호 부회장은 "의료기관 분포도로 따지면 동남권이 의료접근성이 떨어진다. 수성구는 전문병원 체계가 잡혀 있어 그나마 낫다. 그러나 인구 34만인 동구에 파티마병원 외엔 갈만한 병원이 없고 상급종합병원급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향후 지리적 여건과 더불어 경제력 등 더 많은 조건들까지 함께 고려해서 의료시설 불균형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2대구의료원 설립 무산됐다…"홍준표 시장 의지 매우 확고"
 
홍준표 대구시장이 지난 7월 대구의료원을 찾아 간부들과 의료 서비스 기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대구시청

제2대구의료원 설립 얘기도 백지화됐다. 

아직까지 찬반 여론이 팽팽하지만 메디게이트뉴스 취재결과, 제2대구의료원 추진이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시는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경북대병원, 대구의료원 등과 업무협약(MOU)를 맺고 기존 대구의료원 서비스와 의료의 질적 상승을 위한 개선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의료원 기능 강화를 위한 의료진 확보와 처우개선, 장비 확충 등 대안이 세워지고 있는 상태다. 

구체적으로 MOU를 통해 경북대병원은 올 하반기부터 필수진료과 공공임상교수 등을 파견할 예정이다. 특히 현재 36명인 대구의료원 전문의를 2026년까지 60명 이상 규모로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확보된 의료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건비 등 재정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결국 의료진 확보는 경북대병원이, 관련한 재정적 투자는 시가 지원하는 협업 형태로 공공의료 확대와 제2의료원 설립 여론을 정면 타파하겠다는 심산인 것이다. 

앞서 제2의료원 설립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급물살을 탔다. 2020년 2월 대구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했고 대규모 집단 감염 사태를 겪으며 공공병원의 역할이 부상된 것이다. 이후 2022년 3월 제2의료원 추진이 공식화되고 8개월에 걸친 타당성 조사도 진행됐다. 

제2의료원 사업이 한순간에 백지화되면서 노조·시민단체와 더불어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반대 의견이 있다. 대구시의회 이재숙 시의원(국민의힘)은 최근 제294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의료 자원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공공의료 자원이 부족하다. 현재 대구의료원 기능을 정상화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240만 대구시민의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기엔 대구의료원만으론 부족하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나 홍준표 시장 본인의 의지가 매우 확고하고 이미 기존 대구의료원을 중심으로 기능 확대 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제2의료원 추진이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봐야한다는 게 정설이다. 

익명을 요청한 홍준표 시장 측근은 "홍 시장이 재임하고 있는 동안엔 제2의료원 추진이 매우 어렵다. 거의 안 된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이미 공공의료 강화 방향을 대구의료원 활성화 쪽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경북대병원 이전이나 상대적으로 의료접근성이 취약한 곳에 대학병원을 설립하는 방향이 더 유력하다"고 말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