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A형 간염 환자와 관련해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공개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4년 1307건이던 A형 간염 발병 건수는 2015년 1804건, 2017년에는 419건으로 두 배 이상 크게 늘었다. 지난해에는 436건으로 줄었으나 올해 다시 급증하면서 지금까지 이미 지난해 수준을 훌쩍 넘긴 3579건을 기록했다. 지난달 30일 현재 지역별 환자 수는 경기도가 1100명으로 가장 많았다.
A형간염이란?
A형 간염은 발열, 황달, 식욕부진, 구역 등의 증상을 동반한 급성 감염성 질환이다. 6세 이전에 감염은 무증상 또는 경증으로 나타나서 감기처럼 쉽게 지나가지만 6세 이상에서는 감기처럼 시작해 식욕이 떨어지고 기력이 떨어지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는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전격간염으로 진행되며 간 이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기존의 간 질환자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나 만성간염으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최근 들어 A형간염이 문제되는 이유
A형간염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식수, 음식물 등으로 인해 감염이 될 수 있는데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에서는 위생상태가 좋지 않아서 오염된 음식물과 식수로 인해 어린 시절에 많이 감염되지만 증상이 심하지 않아서 쉽게 낫는다. 또한 항체가 형성돼 성인이 된 후 바이러스에 노출돼도 감염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최근에 환경이 좋아지면서 어릴 때 A형간염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이 사라져 감염될 확률이 줄어들었다. 따라서 항체를 가지는 경우도 줄어들게 됐다.
이후 성인이 되어서도 A형간염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 노출돼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점차 집단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해 2000년 이후 폭발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A형간염의 증상
A형간염은 평균 28일(15~50일)의 잠복기 후에 무증상으로 지나가거나 간염의 임상증상이 생기게 된다. 전형적인 증상은 감기 몸살 처럼시작해 열, 구역 및 구토, 암갈색 소변, 권태감,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황달 등이다.
이러한 증상은 대체로 2개월을 넘지않으나 환자의 10~15%에서는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만성화되는 경우는 없다.
A형간염 증상의 발현은 환자의 연령과 관련이 있어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약 70%에서 증상이 없으며 설사, 기침, 코감기, 관절통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주로 발생하며 황달이 생기는 경우는 10% 이하다. 그러나 성인에서는 76~97%가 증상이 생기는데 이 중 40~70%에서 황달이 동반된다.
치료와 예방법
치료는 바이러스를 직접 치료하는 약물은 없다. 대증치료를 해야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간 이식을 할 수 있다. 예방법으로는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먹지 말아야 하지만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감별하기가 불가능하므로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며 백신접종을 해야 한다. 접종의 기록이 없거나 면역성이 있다는 증거가 없다면 접종을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을 해야한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향후 A형간염 유행을 대비해 방역 당국에서 A형간염 접종력이 없거나 면역원성이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A형 간염 백신접종이 많이 이뤄지도록 전문가 단체와 협조하여 노력해야 한다. 직장 입사 시에 A형 간염 항체를 검사를 해서 항체가 없는 경우에는 A형 간염 백신 접종을 의무화해야 한다.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는 A형간염 접종력이 없거나 면역원성이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접종을 의무화해야 한다. 군대에서 입대 시 A형간염 접종력이 없거나 면역원성이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접종을 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