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엑스, 포브스아시아 ‘100대 주목할 스타트업’ 선정
근골격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에버엑스가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 아시아판이 발표한 ‘2025 아시아에서 주목할 100대 기업(100 to Watch)’에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포브스 아시아의 ‘100 to Watch’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정하는 글로벌 권위 있는 리스트다. 올해 명단에는 핀테크, 인공지능, 지속가능성, 헬스케어 등 미래 산업을 이끄는 기업들이 대거 이름을 올렸으며, 한국 기업으로는 에버엑스가 근골격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 주자로 포함됐다. 에버엑스는 AI 기반 자세 추정 및 동작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근골격계 재활운동 솔루션 ▲의료기관용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디지털 치료기기(DTx) 등을 상용화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으로 공급을 넓혀 나가고 있다. 최근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한데 이어 근골격계 디지털치료기기 최초 혁신의료기기 지정 2025.08.27
일본 병원들은 AI솔루션 어디까지 쓰고 있나...일본 34만 의사포털 'M3' 특별강연 (사전등록 ~8/31)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한국 헬스케어 AI기업들이 일본 시장을 어떻게 공략해야 하나. 이에 대해 실질적인 해법을 소개하는 특별강연과 Q&A세션이 9월 2일 '미래 헬스케어 트렌드 컨퍼런스'에서 마련된다. 일본 대표적인 의료정보 플랫폼 M3는 2017년 'M3 AI-lab'을 설립해 의료 AI 사업을 시작했다. 2022년에는 클라우드 PACS 제조사 PSP와 공동으로 'M3 AI'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M3 AI는 CT, MRI, X-레이 등 다양한 AI 솔루션을 플랫폼에 통합해 클라우드 기반 AI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M3 AI는 단순한 기술 공급을 넘어 임상 현장에서 검증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19 CT AI, 희귀질환 조기 진단 AI, 폐질환 탐지 시스템 등은 실제 병원에서 입증돼 업무 효율과 환자 치료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사용건별 과금(pay-per-use) 모델을 통해 병원들이 초기 비용 부담 없이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주요 2025.08.26
라온파마,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제50차 부산학술대회 참가
탈모치료제 전문기업 라온파마는 24일 시그니엘 부산에서 열린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제50차 부산학술대회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는 피부미용,비만,탈모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 의료인 및 관련 업체들이 지식을 공유하는 단체로, 약 6000여명의 의사 회원과 50여명의 상임 학술이사를 중심으로 학술대회, 심포지엄, 아카데미 등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라온파마는 이번 행사를 통해 자사의 탈모치료제 피나온정1mg(피나스테리드), 두타윈연질캡슐0.5mg(두타스테리드), 판시온캡슐(케라틴 외), 미녹시폼에어로솔5%(미녹시딜), 라온샴푸(비오틴, 카페인 외 탈모샴푸)을 선보였다. 대표 탈모치료제인 피나온정, 두타윈연질캡슐은 연100억원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탈모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부산우리연합의원 이호준 원장의 강의인 ‘Effiacy of 5% Topical Minoxidil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폼형태 제품 리뷰’를 통해 미녹시 2025.08.25
"일주일에 3번 넘게, 3개월 이상 불면증일 경우 만성 불면장애...적절한 치료 필요"
한독과 함께 하는 수면건강 인식 개선 캠페인 인생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수면은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불면증을 겪는 환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 불면증의 약 50%는 우울, 불안 등 정신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 등 특정 수면장애가 원인이 되거나 동반되기도 한다. 올바르지 못한 수면 습관이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 수면장애의 원인이 정신질환인 경우에는 해당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가 병행돼야 한다. 특정 수면장애가 의심될 경우에는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하다. 별다른 원인이 없는 일차성 불면증은 인지행동치료 등 비약물적 치료가 권장된다. 임상 현장에서 다양한 원인이 복합된 형태의 불면증이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접근이 중요하다. 한독과 메디게이트뉴스는 수면의학 전문가들과 함께 2025년 연중 수면건강 인식 개선 캠페인을 마련하며,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올바른 수면장애 정보와 효과적인 치료 방 2025.08.25
에스리본의원 김도위 원장 "피부미용 트렌드 쫓기보단 제품·솔루션 하나하나 연구하는 게 경쟁력"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서울 에스리본의원 김도위 원장은 의료기기와 솔루션 개발에 관심이 많아 피부미용 의원을 개원한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2011년 일회용 피부단자 검사 시제품을 개발해 삼성메디슨 의료기기 공모전 전문가 부문 대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피부과 예약 자동화 프로그램 ‘부스트리(Boostree)’ 창립멤버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참여하고, 병원에 적용하면서 솔루션을 개선하기 위해 개원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이 진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면서 피부 미용 잡지 D&PS를 통해 'AI에서 색소 조절까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자연과학 이야기' 시리즈를 연재하고 있다. 이런 성향을 바탕으로 김 원장은 피부미용 레이저 텐써마, 텐쎄라, 써펙트, 리쥬비엘, 레스노베, 엑소시아 등의 KOL(Key Opinion Leader)을 맡고 있다. 또한 티엔에이치 베가스CRM의 KOL도 도맡아 다양한 개발과 관련한 의견을 내고 있다. 김 원장은 한양의대를 졸업한 가정 2025.08.25
라온파마, 남성형 탈모치료제 '피나온·두타윈' 상반기 1900만정 판매
탈모치료제 전문기업 라온파마가 올해 상반기 남성형 탈모치료제 '피나온'과 '두타윈'의 1900만정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라온파마는 남성형 탈모치료제 프로페시아정(피나스테리드1mg)의 제네릭(복제약)인 피나온정1mg과 아보다트연질캡슐(두타스테리드0.5mg)의 제네릭인 두타윈연질캡슐0.5mg를 보유하고 있다. 올 상반기 피나온정1mg는 1300만정, 두타윈연질캡슐0.5mg는 600만캡슐 판매를 했으며, 국내 동일제형 제네릭 성분 제품중에서는 높은 판매량으로 전해졌다. 또한 회사 측은 지난 5월에 출시한 미녹시폼에어로솔5%도 탈모시장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미녹시폼에어로솔5%는 로게인5%에어로졸(미녹시딜)의 제네릭 제품이며, 국내에서 미녹시딜 폼타입으로는 제네릭 최초 출시됐다. 폼 타입 탈모치료 외용제이기때문에 액상형 제형보다 두피에 바를 때 흘러내림이 적어 사용이 편리하며, 박하향을 추가해 두피에 적용시 청량감을 줬다. 남성형, 여성형 탈모증 치료 적응증을 2025.08.20
임재영 교수 "아직 치료제가 없는 근감소증, 운동과 영양중재, 디지털 기술까지 연결돼야"
솔티드 AI 보행분석 솔루션 '뉴로게이트' 솔티드(Salted)가 개발한 '뉴로게이트(Neurogait)'는 보행분석 AI 솔루션이다. 스마트 깔창인 뉴로게이트 인솔을 사용해 보행 주기, 지면 접촉 시간, 압력 중심 이동 패턴, 분당 걸음 수 등 보행 정보를 수치화해 환자 맞춤형 분석을 할 수 있다. 특히 '동적족저압 측정 '기능 검사료로 법정 비급여로 등재돼 있으며, 간단 신체 수행 능력 검사(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가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아 고가 장비 도입이나 공간 제한 없이도 디지털로 보행분석을 할 수 있다. ①환자가 스마트 깔창 신발 신고 매트에서 걸으면 AI 분석, 전문의 판독 ②보행 분석으로 근감소증 환자 구별…스마트 인솔과 자세 추정 AI 결합해 정확도↑ ③만성 발목 불안정성(CAI) 환자의 맞춤형 재활 훈련을 어떻게 도울까 ④'뉴로게이트' AI 보행분석을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와 파킨슨병 환자에 사용한다면 ⑤이경민 정형외 2025.08.18
휴온스, '멜라토닌' 성분 '드림멜서방정' 출시
휴온스는 '멜라토닌'을 주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드림멜서방정'을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휴온스는 최근 고령화가 심화되고 노인층의 수면 장애 유병율이 높아진 추세를 감안해 현재 ‘조피스타’(성분명 에스조피클론)를 판매 중이다. 여기에 금번 드림멜서방정을 출시하며 제품군을 확대했다. 휴온스 관계자는 "신제품인 ‘드림멜서방정'이 현대인의 건강한 수면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을 만들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있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2025.08.18
루닛, 2025년 상반기 매출 371억원 기록… "역대 반기 최대 실적"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2025년 상반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370억 7700만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173억 7000만원 대비 113.5% 증가한 수치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상반기 영업비용은 789억 8800만원, 영업손실은 419억 1100원을 기록했다. 올해 2분기 매출은 178억 7500만원으로 전년 동기 122억 3000만원 대비 46.2% 증가했다. 이 중 해외 매출은 161억 7700만원으로 전체의 91%를 차지했으며, 국내 매출은 16억 9700만원을 기록했다. 루닛은 건강검진 수요 및 의료기관, 제약사 예산 집행 패턴 등으로 주로 하반기에 매출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이같은 계절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미 상반기에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이룬 것은 매출의 대부분이 글로벌 지역에서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회사 측은 하반기 매출 집중 특성을 감안할 때 연간 실적 개선세는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 측에 2025.08.13
뷰노, 2분기 매출 93억, 영업손실 1억7000만원…10분기 연속 성장세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는 13일 IR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매출 64억원 대비 45%, 지난 1분기 매출 75억원 대비 약 23% 증가한 수치로, 뷰노는 10분기 연속 매출 증가를 달성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영업이익 측면에서 개선이 두드러졌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손실은 약 95% 감소한 1억7000만원으로 크게 줄었다. 회사 측은 뷰노의 비용 효율화 및 수익성 개선 노력의 성과가 반영된 결과라고 강조했다. 2분기 영업비용은 약 94억원으로 지난 분기 대비 약 14% 개선됐다. 매출 견인은 뷰노의 대표 솔루션이자 2022년 국내 의료AI 최초의 선진입 의료기술로 비급여 시장에 진입한 딥카스(VUNO Med-DeepCARS, DeepCARS)가 주도했다. 현장 도입 4년차를 맞은 딥카스는 일반병동 환자의 ‘24시간 심정지 발생 위험’을 감시하며 환자 안전에 기여하는 AI 도구로 전국 약 5만 병 2025.08.1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