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행 지방 환자 2024년 79만 7000명...2년 전 대비 11.8% 급증
서울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이 최근 2년 사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원정온 환자들은 진료비 외에 교통비와 숙박비까지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대전 서구갑)이 서울 주요 5개 상급종합병원(빅5 병원)의 진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환자 수는 2022년 71만2848명에서 2024년 79만7103명으로 2년 사이 11.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수도권 환자 증가율(4.7%)의 2.5배에 달하는 수치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불균형이 시간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비수도권 환자의 경제적 부담은 더욱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비수도권 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비는 약 341만원으로, 수도권 환자의 255만 원보다 무려 116만원(51.6%)이나 높았다. 장 의원은 지방에서 상경하는 환자일수록 중증 질환을 앓고 있을 2025.10.09
의원급 방문진료 시범사업 참여율 2020년 31.2%→올해 21.6%, 오히려 후퇴
일차의료 의과 방문진료(재택의료) 시범사업이 올해 종료를 앞두고 있으며, 정부는 향후 사업 연장 및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중증 재택환자 등의 의료 접근성을 제고하겠다는 목표 달성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방문진료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제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의원(더불어민주당, 남원장수임실순창)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의 의원급 참여율은 2020년 31.2%에서 올해 6월 기준 21.6%로 크게 하락했다. 한의원의 방문진료 시범사업 참여율도 2022년 25.4%에서 올해는 20.3% 로 낮아졌다. 시범사업에 대한 지역별 참여율 격차도 컸다. 올해 6월 기준 의과(일부 지방의료원 포함)의 경우 울산(66.7%)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대전(57.5%), 광주(53.1%), 강원(52.9%) 순으로 참여율이 높았다 . 반면 전남(10%), 인천(26.9%), 세종(28.6%), 전북(29 2025.10.09
권역외상센터 중증환자 1000명당 사망률 충북대병원 229.9명 vs 아주대병원 37.8명
권역외상센터별 중증외상환자의 전원율 격차는 최대 39배, 사망률은 6배로 센터간 격차가 극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비례대표)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권역외상센터 내원환자 중증도별 전원·사망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2020년부터 2025년 6월까지 전국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환자는 총 18만4806명으로, 전원율은 6.6%(1만2153명), 사망률은 2.8%(5155명)였다. 이 중 중증환자는 6만6523명으로, 전원율 4.4%(2951명), 사망률 7.6%(5079명)를 기록했다. 권역외상센터별로 살펴보면, 중증환자 1000명당 전원 현황은 경상대병원(194.2명)이 가장 높았고, 경북대병원(127.9명), 목포한국병원(116.3명)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주한라병원(5.0명)과 아주대병원(5.1명)은 가장 낮았으며, 경상대병원과 제주한라병원의 격차는 무려 약 39배에 달했다. 중증환자 1000명당 사망 현황은 2025.10.07
급성심장정지 10명 중 1명만 생존...생존율 서울 12.4% vs 전남 5.4%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지만, 생존율이 낮고 생존 시에도 뇌기능 회복률이 한 자리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방의 경우 더 생존율이 낮아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해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남원장수임실순창)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급성심장정지 환자수는 지난 2015년 3만771건에서 2023년 3만3586 건으로 9.1% 증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2015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최근 10년간 총 30만1459건이 발생했으며, 이 중 남성이 19만3437건(64.2%) 으로 여성 10만7946 건 (35.8%)에 비해 1.8 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이 20만8716건으로, 전체의 69.2%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015 년 6.3%에서 2024년 상반기 기준 9.2%로 다소 높아졌으나, 여전히 10건 중 9건은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 2025.10.04
달빛어린이병원 지역 불균형 심각....수도권에 46%, 경북은 0곳
달빛어린이병원이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지역 편중과 운영 불안정성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빛어린이병원은 야간·휴일 소아 경증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제로도, 2020년 17개소에서 2025년 7월 말 기준 121개소로 7배 이상 급증했다. 현재 전국 126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서구갑)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달빛어린이병원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지역별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전체 121개소 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만 절반에 가까운 46.3%(56개소)가 집중된 반면, 경상북도는 올해 7월까지 단 한 곳도 지정되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4개소가 지정됐다. 제도의 안정성 역시 도마 위에 올랐다. 신규 지정이 급증하는 동안 운영의 어려움 등으로 문을 닫는 지정 취소 병원도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지정 취소 병원은 2022년 1곳, 2025.10.04
35개 지방의료원 3년 연속 재정 악화...올해 상반기만 484억 5500만원 적자
지방의료원별 당기순이익, 당기순손실 현황 (단위: 백만원) 기관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6월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4,051 4,396 -26,889 -37,955 -19,203 -249 부산광역시의료원 3,608 29,025 -3,686 -17,850 -17,948 -1,514 대구의료원 4,482 22,476 13,482 -11,670 -10,408 1,676 인천광역시의료원 13,712 20,461 6,317 -11,370 -6,851 -3,967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4,962 25,005 10,072 -4,210 3,497 -637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1,923 9,636 2,626 -11,388 -4,502 -3,097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1,239 10,406 1,701 -9,576 -5,962 -5,465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3,518 20,913 446 -10,037 -6,033 -4,828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2, 2025.10.04
신경과 전문의들 "신경계 질환 환자, 한방병원·한의원 진료 불필요"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신경과 전문의들이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환자들에게 한방병원과 한의원의 진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강력하게 권고했다. 4일 신사동(신경과를 사랑하는 동료들)에 속한 57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100%가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한방병원·한의원의 진료와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응답자의 98.2%는 강력한 부정적 의견을 보였고 긍정적 응답은 전무했다. 또한 응답자의 96.5%가 의·한방 교차 고용 전면 금지에 찬성했고, 이 중 91.2%는 매우 강력한 찬성 의견을 보였다. 앞서 대한병원의사협의회 조사결과, 의·한방 교차고용이 법률적으로 허용된 이후 한의사가 의사에게 협진을 의뢰하는 비율은 98.33%에 달하는 반면 의사가 한의사에게 협진을 의뢰하는 비율은 1.6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사동 김정민 대표는 "한의학 전문영역 진료에 대해 특정 전문의들의 의견이 나온 것은 이번 조사가 최초일 2025.10.04
"감사원 감사 한창인데, 2024 보건복지백서 '의대 정원 확대 추진' 주요 성과로 명시"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2024 보건복지백서가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주장을 그대로 옮겨 적어 성과로 기록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시 갑)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 8월 29일 발간한 2024 보건복지백서에서 '의대 정원 확대 추진'을 지난해 보건분야 주요 성과로 명시했다. 백서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영석 박사(2035년 의사 9654 명 부족), 한국개발연구원 KDI 권정현 박사 (1만 650명 부족), 서울의대 홍윤철 교수(1만 816명 부족 ) 의 연구를 인용해 2035년 최대 1만명의 의사 부족을 전망하며 증원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또한 의료계와 협의체 27회, 정책심의위 전문위원회 19회 논의를 거쳤다며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반면 의대생 집단 휴학, 전공의 집단 사직, 의료공백과 비상진료체계 가동 등 국민 불편은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 의대 정원 증원과 2025.10.03
이수진 의원, 필수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 대표발의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 중원)이 2일 필수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 의원이 발의한 이번 개정안은 ▲ 응급의료, 중환자 치료, 분만, 수술 등 의료행위 중 정지·폐지되거나 방해되는 경우 환자의 생명·건강 또는 신체의 안전을 현저히 위태롭게 하거나 위태롭게 할 우려가 있는 의료행위를 필수유지의료행위로 정의했다. 이어 ▲ 정당한 사유 없이 필수유지의료행위의 유지·운영을 정지·폐지 또는 방해하는 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하며, ▲ 보건복지부 장관이 의료인단체 , 의료기관단체 , 환자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필수유지의료행위 유지기준을 정하도록 하고, ▲ 이에 따른 단체행동은 필수유지의료행위를 유지·운영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간주하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를 위반하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현행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은 이번 개정안에 담긴 필수유지 2025.10.03
김윤 의원 "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 실질 해결률 2%...무대책 콜센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비례대표)이 3일 보건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터에 접수된 피해신고 957건 가운데 피해가 실질적으로 해결된 사례는 단 20건에 불과, 형식적 조치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2월 19일부터 의사 집단행동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피해신고지원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진료 거부, 수술 연기, 수술 취소 등 의료이용 불편을 해소하고 피해자의 법률상담 및 소송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윤 의원실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피해신고센터 현황에 따르면, 2024년 2월 19일부터 2025년 8월 31일까지 센터에 접수된 총 상담 건수는 7866건이었다. 이 가운데 957건은 신고자가 ‘피해신고로 접수해 달라’고 요청한 사례였으며, 복지부는 이를 관할 지자체에 이첩해 조사·처리하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자체가 회신한 결과를 반영해 956건을 종결 처리했다. 김 의원실이 복지부가 종결 처리한 956건을 자세히 2025.10.0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