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4.08.12 19:26최종 업데이트 24.08.13 02:01

제보

코로나19 재유행, 치료제 품귀현상까지…전공의 이어 전문의 이탈 응급실, 위기감 '최고조'

코로나19 8~9월 2달 간 유행 예상…코로나19 감염 환자 몰리면 "응급실 마비될 것"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종식이 선언됐던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의료 현장에는 치료제 품귀현상까지 벌어지면서 응급실은 코로나19의 악몽을 떠올리며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19 입원환자 수가 6월 말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이달 첫째 주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861명으로 4주 전(148명)보다 6배나 늘었다. 

손영래 질병청 감염병위기관리국장은 이날 열린 정례 백브리핑에서 "앞으로 1~2주 정도 확진자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최근 유행하고 있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KP.3는 기존에 형성된 면역을 회피하는 특성이 있어 감염자가 소폭 증가할 수 있지만, 미국과 유럽의 사례를 보면 치명률 증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치료제 사용량이 입원환자 수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재고가 남아 있지만 빠른 증가 추세가 계속되면 공급에 애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추가 구매 절차에 착수한 상태"라고 전했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치료제 재고가 없어 병원들이 일반 감기약을 대신 처방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설명대로 치명률이 높진 않더라도 노약자에게 코로나19는 여전히 위험하다. 의료 현장에서 위기가 감지되자 이제야 움직임을 보이는 정부를 향해 의료계는 쓴소리를 내고 있다.

모 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외래와 응급센터를 방문해 확진을 받은 환자 중 고위험군들은 항바이러스제 투여가 필요한데 이미 오래전부터 품절 상태였다"며 "초기에 항바이러스제가 투여되지 않으면 중환자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해당 교수는 "병원에서 직접 물량을 확보해 겨우 고비를 넘기고 있다”며 “지난 6월부터 꾸준히 환자가 늘었지만 의정갈등 대응 때문인지 정부의 대책이 너무 안일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정재훈 교수는 지난 8월 2일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코로나19가 2022년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 이후 훙토병화가 진행됐다며 올 8~9월 6번째 대유행이 있을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정 교수는 당시 "우리나라 인구의 대부분은 중복 감염과 백신 접종으로 기초적인 면역은 확보하고 있지만, 코로나19는 여전히 연령에 비례한 위험을 가지며 특히 60세 이상부터는 대부분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보다 높은 질병 부담을 가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유행은 약 2달 이상 지속되고 건강한 성인과 청소년, 소아에서 위험은 지난 유행보다 크지 않으리라 예상된다. 문제는 고위험군이다. 여전히 코로나19는 60세 이상에서 중요한 사망의 위험요인 중 하나"라며 "이러한 고위험군이 집중돼 있는 의료기관과 요양기관에 피해가 집중될 것"이라고도 우려했다.

이처럼 8~9월 코로나19 유행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9월 추석 연휴를 앞둔 응급실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암울' 그 자체다.

모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관계자는 "코로나 유행 당시 방호복을 입고 환자들을 돌봤던 기억은 악몽과 같다"며 "전공의도 떠나고 동료 의사들도 떠난 상황에서 감염 안전을 지키며 코로나 환자들을 돌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이미 응급실은 인력 부족으로 엄청난 로딩에 걸려 있는데 코로나 환자들까지 들이닥치면 그야말로 응급실은 마비가 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실제로 현재 응급실은 주로 당직을 서던 전공의들이 미복귀하면서 50~60대 교수들이 당직을 서고 있다. 이에 응급의학과 전문의들마저 사직 행렬에 가담하면서, 충청·전남·대구·경북 등 지역응급의료기관은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아예 응급실 운영을 중단한 곳도 나오고 있다.

해당 관계자는 "환자들은 길어지는 업무 로딩을 병원 탓, 의사 탓을 하겠지만 실제로 환자들의 응급실 이용을 불편하게 만든 원인을 제공한 것은 정부"라며 "전공의 이탈 이후 전문의들마저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의료대란 이후 발생할 코로나19 대유행에서 의사들이 이전과 같이 희생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조운 기자 (wj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