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한국의 기대수명은 82.1세였다. 소득분위별로는 소득 상위 20%의 경우 85.14세, 소득 하위 20%는 78.55세로 6.59세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5년 전(2011년) 6.10세(상위 20% 83.54세, 하위 20% 77.44세)보다 다소 늘어난 수치다.
기대수명은 0세의 출생아동이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말한다. 소득 분위에 따라 5분위(상위 20%)는 85.14세에 이어 4분위 83.70세, 3분위 83.00세, 2분위 82.45세, 1분위(하위 20%) 78.55세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한국인 기대수명은 남성 79.0세, 여성 85.2세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6.2세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대수명(2014년 3년 주기 조사)은 서울이 83.0세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82.2세, 제주 82.1세, 대전 82세, 인천․광주․대구․전북이 81.4세 순이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으로 80.7세로 가장 높은 서울과 2.3세의 편차를 보였다.
지역별 기대수명 편차는 점차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기대수명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서울이 81.1세, 가장 낮은 지역은 부산(78.4세)으로 두 지역 간 편차는 2.7세였다.
기대수명의 증가율은 전북과 부산이 가장 높았다. 2008년 전북과 부산의 기대수명은 각각 78.8세, 78.4세였으나 2014년에는 각각 81.4세, 81.0세로 2.6세 늘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적게 늘어난 지역은 제주로 2008년 80.7세에서 2014년 82.1세로 1.4세 늘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서울은 2008년 81.1세에서 2014년 83.0세로 증가분이 1.9세였다. 이는 제주 다음으로 낮은 증가율이었다.
인재근 의원은 "의료기술 발달, 영양정보 확산 등 한국의 기대수명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라며 "국민의 건강한 노후를 만들려면 소득별이나 지역별 기대수명의 편차를 줄이려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 의원은 “정부와 지역사회는 물론 기업과 시민사회단체 등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정부는 소득수준에 따라 기대수명이 차이를 보이는 이른바 ‘수명 양극화’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