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가 보건소에 근무하는 공보의가 X-ray판독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은데 이어, 교정시설에서의 공보의 단독 X-ray 판독 또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3일 발표했다.
현재 교정시설에서는 수용자의 건강검진과 결핵관리, 부상의 정도 확인 및 기타 내과진료, 치과진료 등의 목적으로 X-ray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교정시설에서 근무하는 공보의 절반 이상이 X-ray를 촬영 및 판독하고 있지만, 전문성이 부족해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
게다가 교정시설에 근무하는 공보의 중에는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한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이하 대공협)는 "X-ray 검사 오판독 시, 수용자 및 관계자 등 국민 보건에 중대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대공협은 수용자의 건강권 보장과 교정시설 근무 공무원의 2차 감염 관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0월 교정시설의 X-ray 검사 촬영 및 판독현황 실태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교도소, 구치소, 지소, 외국인 보호소, 치료감호소 등 전체 52개 교정시설 중 45개 시설의 근무 의료진이 해당 설문에 답했다.
그 결과 43개(95.6%) 기관에서 X-ray 촬영 및 판독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고, 평균 촬영 및 판독량은 주당 73장이었다.
X-ray를 필름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20곳을 대상으로 '질'과 관련해 문의한 결과, '기계가 낡아 촬영자와 기계의 상태에 따라 촬영의 질이 천차만별'이라고 답한 기관이 15곳(65.2%)으로 가장 많았고, '필름 현상 결과가 흐려 판독에 한계가 있다'고 답한 기관도 4곳(17.4%) 있었다.
반면 '깔끔하고 전문가가 충분히 판독 가능한 촬영이 이루어진다'고 답한 비율은 7곳(30.4%)에 지나지 않았다.
대공협은 "이외에도 방사선사의 부재로 흉부 외의 X-ray 촬영은 판독이 불가하다고 답변한 곳도 있어 전반적으로 촬영의 질이 판독에 충분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45개 시설 중 22개 시설만이 방사선사가 X-ray 촬영을 하고 있으며, 영상의 전문적인 판독을 위해 외부기관, 외부의료진에 의뢰한다고 답한 시설은 11개(24.4%)에 불과했다.
26개(57.8%) 시설은 자체 의료진이 판독한다고 답했으나 이 중 상시근무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0명이었다.
대공협은 "조사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교정시설의 x-ray 촬영 및 외부 판독의뢰 시스템 미구축, 전문 방사선사 부재, 기계 낙후 등으로 적절한 보건의료 제공을 위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