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6.14 10:11최종 업데이트 20.06.14 11:54

제보

코로나19 항체검사로 '무증상 감염자' 알 수 있다더니 '지지부진'

지역·계층별 항체 데이터로 장기 대책 마련 VS 우선 방역대책은 거리두기, 신뢰도 따져 신중히 도입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가을철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유행을 앞두고 정부가 추진 중인 전 국민 항체검사가 지지부진 늦춰지고 있는 가운데  항체검사를 둘러싼 실효성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예정된 항체검사 준비에 박차를 가해 무증상 감염추이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속히 장기적 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반면 조사 신뢰도 등이 높지 않아 실효성이 높지 않아 충분한 준비를 통해 시작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효성 논란: 신뢰도 측면 문제제기로 표준 진단시약 결정도 지지부진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 보건당국은 4월 말부터 항체검사 계획을 세우고 항체검사 실시 계획을 밝혔다.(관련기사=코로나19 집단면역 조사한다...국민건강영양조사·대구경북 표본검사 병행) 구체적으로 정부는 매년 조사 중인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연계를 통해 전국 성인 7000명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항체검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대구와 경북지역 주민 1000명의 혈청을 이용해 항체가를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항체검사에 대한 실효성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검사 신뢰도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정부는 시간을 지지부진 끌고 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지난달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진단 시약 결정에 시간이 지연되고 있다"며 "국내 시약은 시료가 막 개발돼 최근에 공급받았거나 해외 시약은 국내 입수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의학계에 따르면 항체검사는 확진 이후 7일 이전에 하게 되면 민감도가 50% 미만으로 7~14일 사이 민감도는 50~70% 수준이다. 이 때문에 위양성 사례가 충분히 나올 수 있고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승인한 4종의 항체 검사기 중에도 5% 내외로 내외로 위양성 사례가 보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성흥섭 교수는 "항체검사 시 위양성이 산출됐을 때 여러 문제점과 위험성이 수반된다"며 "항체검사의 특성을 파악하고 명확한 평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오명돈 위원장도 "현재 개발된 항체검사법은 신뢰도와 정확도가 만족스럽지 않다"며 "정확한 검사법이 확립된 후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맞다"고 전했다.

항체검사를 시행하는 이유 중 하나인 중화항체 생존기간과 집단면역 가능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항체검사를 시행하더라도 항체율이 매우 낮게 나와 집단 면역이 이뤄질 가능성도 매우 낮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에 앞서 항체검사를 시행한 대다수 국가의 평균적 추세다.
 
우선 스웨덴은 철저한 봉쇄 대신 집단면역 정책을 펼친 국가로 스웨덴 정부는 전 국민의 4분의 1 정도가 항체를 보유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실제 스톡홀름의 항체비율은 7.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국 런던도 17.5%에 그쳤다.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은 미국 뉴욕은 19%,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마드리드가 각각 7.1%와 11.3%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집단면역이 생성되려면 전 국민의 60% 가량이 항체를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중화항체는 생성되긴 하지만 지속기간이 채 1년이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보통 코로나19 항체는 감염 2주째부터 생긴다. 그러나 최근 다수 조사 결과에 의하면 환자들의 항체가 몇 달 가지 않아 급격히 수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홍역은 20년, 메르스는 1년 정도 항체 지속기간을 갖는데 코로나19는 이보다도 짧은 것이다.

항체검사 통해 코로나19 사전 대응책 마련해야
 
그러나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에 중장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항체검사는 필수라는 게 다수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현재와 같이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하면 역학조사를 통해 급한 불을 끄듯, 사후대처만 반복하는 것으로는 방역에 한계가 명확하다는 것이다.
 
전국민 대상 항체검사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대책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항체검사는 코로나19 마스터플랜으로서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하고 미리 준비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들에 따르면 항체검사는 △중화항체 생존기간 △집단면역 여부 △무증상 감염자 추이 등을 알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감염됐다가 회복된 사람은 몇명이지, 감염도 되지 않고 항체도 없는 사람은 몇명인지 등을 지역, 계층, 성별 연령대별로 파악해 방역대책 계획을 구성할 수 있다.
 
최재욱 고려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항체검사는 사전예방적 선제 조치로서 관련 부처가 협의해 미리 대응책을 만들어 놓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며 "2만명 표본 샘플링으로도 충분히 정확하게 추계가 가능하다. 최대한 빨리 검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항체검사 시기가 계속 늦춰지자 정부가 정치적 이유로 항체검사를 미루고 있다는 주장도 흘러나오고 있다.

진단검사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표본감시체계로서의 항체검사 신뢰도는 아무 문제가 없다는 문제제기다. 특히 표본 검사 시약 사용 승인과 관련해서도 현 방역망 사각지대가 노출될 우려를 막기 위해 식약처가 의도적으로 사용 승인을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최재욱 교수는 "의료기관에서 80~85% 특이도만 되더라도 검사를 진행한다"며 "확진검사 용이 아니라 선별검사로서 표본감시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검사이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만약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해도 오차범위를 조정해서 샘플 수를 늘리면 해결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는 "직접 검사 키트 사용승인 심사를 진행한 입장에서 심사위원들이 사용 승인을 식약처에 올렸지만 식약처는 질본의 눈치만 보다가 허가를 안내줬다"며 "정부가 고민하는 것은 항체검사로 인해 방역망 사각지대에 놓인 많은 확진자들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대대적인 방역정책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계철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은 이 같은 논란에 대해 “항체검사를 의도적으로 못하게 하진 않았다”며 “항체검사 유용성이 입증된다면 학회에서도 열심히 협조할 예정”이라고 일축했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정례브리핑에서 항체검사의 속도를 내지 못해 송구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항체검사 양성률이 미국에서 잘해야 10%대 등으로 나타난 것으로 봐서 우리도 그렇게 높게 나타나리라고는 생각하지고 않고 있다"라며 "결국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거리두기의 원칙과 각자 철저한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가장 강력한 방역대책"이라고 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