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회원 서신 "우리마저 침묵하면 불의가 정당화돼…투쟁 의지 지키는 학교들 보호에 최선"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30일 대회원 서신을 통해 "포기하지 않겠다"며 투쟁 지속 의지를 밝혔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서울의대, 연세의대 등 일부 의과대학 학생들이 등록 후 투쟁으로 선회한 가운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포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30일 대회원 서신에서 “우리가 맞서는 건 부패, 편중, 불통으로 점철된 의료정책을 넘어, 국가 정책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공권력이 학생을 탄압하는 작금의 현실이다. 우리마저 침묵하면 오늘의 협박은 내일의 기준이 되며 불의는 정당화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에 맞서 의대협은 회원들의 의사를 받들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며 “온갖 협박과 유린, 계엄에도 결국 학생들은 한곳으로 또 모인다. 학생들이 모이는 한 의대협 역시 포기하지 않겠다”고 했다.
의대협은 또 “우리는 지금, 침묵을 강요당한 세대의 이름으로 여기에 섰다. 휴학할 권리를 빼앗기고 온갖 강압과 협박으로 잠시 조처가 달라지기도 했지만, 학생들은 모두 본질로써 침묵을 처절히 깨고 있다”며 “의대협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시 회원들의 평등한 조처를 모으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의대협은 최근 일부 대학들이 등록으로 돌아서며 미등록 휴학 대오가 무너진 데 대해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의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엄중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그런 중에도 협회의 기조를 충실히 이행해 주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이 학교들이 의지를 지키는 한, 해당 학교들에 대한 보호를 최우선으로 둘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의대협은 정부와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복귀를 촉구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홍보비 100억은 있지만, 외상센터 지원금 9억은 없는 나라. 우리나라 의료의 현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이라며 “그럴듯해 보이는 눈속임 정책을 두고 학생들은 돌아가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이미 돌아갈 학교도 망가져 있다. 예과 학생들은 최대 4배가 된 인원이 기존의 교실에 들어가야 한다. 그 상태로 6년간 수업을 들어야 한다”며 “본과 학생들은 전공의 없는 곳에서 어떤 실습을 돌 수 있나. 우리는 무너진 학교를 허망하게 보고 있다”고 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