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0건 중 1건, 표본수 너무 적어 일반화에 한계 vs 방역 잘하고 있다는 성적표로 봐야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국내 코로나19 항체 형성률이 0.07%로 나타났다.
앞선 1차 조사(0.03%)에 이어 2차 조사에서도 국내 항체 형성률이 낮게 측정된 것이다. 이는 세계적 추세에 비교해봐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이 때문에 조사결과 해석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1140명 중 중화항체보유자 1명, 앞선 1차 조사와 같은 맥락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국민건강영양조사 잔여혈청을 활용한 국내 코로나19 항체가 조사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6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분 잔여 혈청 1440건에 대한 항체 및 중화항체검사 결과 1건(0.07%)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앞서 4월 21일부터 6월 19일까지 진행된 1차 검사에서도 1555건 항체 형성률은 0.03%로 집계됐다. 두 차례 검사 결과 모두 비슷한 결과 수치가 도출된 것이다.
이번 조사는 남성 45.1%(650건), 여성 54.9%(790건)가 참여했으며 지역별 조사 분포는 경기가 29.4%(424건)로 가장 많았고 1차 조사에서 제외됐던 대구와 경북지역이 추가됐다.
구체적인 수치는 서울 16.6%(239건), 인천 6.4%(93건), 대전 7.2%(104건), 세종 3.6%(52건), 대구 10.1%(145건), 광주 5.76%(83건), 울산 0%(0건), 부산 0%(0건), 강원 2.7%(39건), (424건), 충북 2.5%(36건), 충남 1.1%(16건), 전북 2.2%(32건), 전남 0%(0건), 경북 3.12%(45건), 경남 9.2%(132건)였다.
연령대는 10대 10.7%(154건), 20대 11.5%(166건), 30대 12.6%(182건), 40대 17.2%(248건), 50대 17.1%(246건), 60대 15.3%(220건), 70대 11.2%(162건), 80대 4.02%(58건), 90대 이상 0.28%(4건)였다.
항체 보유자가 적다는 것은 코로나19 확진자로 드러나지 않은 이른바 깜깜이 환자가 많지 않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드러난 확진자 이외 지역사회에서 이미 코로나19를 앓았다면 항체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낮은 항체보유율은 정부가 얼마나 확진자를 꼼꼼이 찾아냈는지를 한 나라의 방역 지표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일반화에 한계 있다…표본 적고 중화항체 조사방법 한계
그러나 이번 항체조사 결과를 두고 해석은 엇갈리고 있다. 우선 회의적 입장은 표본 수가 적고 조사 방법 등 조사의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일반화가 어렵다고 주장한다.
앞서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대구가톨릭대와 경북대병원 등이 참여한 연구결과, 의료기관을 방문한 198명 중 15명(7.6%)에게서 항체가 발견됐다는 연구도 공개됐다. 이번 조사결과인 0.07%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해외의 경우도 항체형성률이 우리나라의 비해 현저히 높다. 중국 우한이 3.8%, 미국 뉴욕주가 14.9%, 영국 런던 17%, 스페인 5%, 스웨덴 스톡홀롬 7.3% 수준이다.
고려의대 최재욱 예방의학과 교수(대한의사협회 과학검증위원장)는 "표본 수가 너무 적다. 적어도 2만명 정도의 무작위 샘플링이 필요하다"며 "중화항체는 환자 중 일부만 가지고 있고 지속시간이 짧다. 이 때문에 중화항체 이외 다양한 종류의 항체를 함께 검출하는 조사 방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결과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2차 유행이 발생하기 이전에 이뤄져 현재 상황에 접목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같은 한계점은 정부도 인정하는 분위기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2차분 조사 결과는 검체의 수집 시기가 8월 14일 이전으로 8월 중순 이후의 수도권 유행 상황을 설명하기는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정 청장은 "향후 대표성 있는 항체보유율 조사 결과의 확보를 위해 2개월 단위로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체를 활용한 항체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추가로 집단 발생 지역인 대구와 경산 지역 일반인과 의료진 등 3300명과 전국단위의 지역별 항체보유율 확인을 위한 군 입소 장정 1만 명, 지역 대표 집단 1만 명에 대한 항체가 조사도 진행된다"고 덧붙였다.
방역 잘하고 있다는 성적표로 봐야…사회적거리두기 ‘성공’
반면 이번 조사결과가 성공적인 방역 지표와 연결된다는 반응도 있다.
정은경 청장은 "해외 사례에 비해 양성율이 낮은 이유는 6월부터 8월 초까지 확진자가 적었던 것의 영향”이라며 “이는 국민들의 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와 생활방역을 위해 노력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천대길병원 엄중식 감염내과 교수도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전파나 깜깜이 환자가 지역사회에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며 "전체 확진자 수준에서 유행이 조절되고 있다고 보는 것에 동의한다. 선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즉 이번 조사결과가 감염 전파를 사회적으로 잘 차단하고 있다는 의미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엄 교수는 "찾지 못한 확진자가 적다면 생각보다 무증상 감염자에 의한 전파도 적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며 "무증상 전파가 우려했던 것처럼 많이 일어났다면 이런 결과는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엄 교수는 "표본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샘플이 늘어난다고 해서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이번 결과는 무작위로 이뤄진 것이고 1차와 2차 조사를 합치면 꽤 많은 표본 수이다. 조사 수치와 실제가 어느정도 같다고 봐야 한다. 이는 다른나라와 다른 우리만의 특별한 케이스로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의 성공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조사방법 등을 모두 공개해야 조사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은 분명히 했다.
엄 교수는 "정부에서 밝힌 자료를 보면 어떤 방식으로 측정을 했는지, 어떤 시약을 썼는지 등 중요한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다"며 "이런 부분은 공개해야 신뢰성을 갖고 결과를 바라볼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