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회복기 경제적 어려움 해소되지 않은 취약계층 절망감, 청소년 정신건강문제 원인으로 분석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1월 자살 사망자가 동년 대비 32%늘어난 1306명으로 집계되면서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자살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올해 통계청이 집계한 자살 잠정치(경찰청자료)에 따른 것으로 1월 자살 사망자는 지난해 같은 달 987명보다 319명 급증했다. 이는 2021년과 2022년, 2023년 1월 각각 998명, 1004명, 987명이었던 점과 비교해 눈에 띄게 늘어난 수치다.
2022년 기준으로(통계청 자료) 우리나라의 자살사망자는 1만2906명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자살에 대한 공식통계는 다음해 9월에야 취합돼 발표되는 구조로 자살의 증감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해 필요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경찰의 사망자료를 활용한 자살잠정치를 취합해 2개월 간격으로 발표하고 있다.
대략 7% 정도의 오차는 있으나 경향을 분석하기에는 충분한 자료로 이러한 제도는 일본에서 먼저 도입하였으며 국내에서는 국회자살예방포럼의 노력으로 지난 정부에서부터 제도화된 바 있다.
이러한 자살잠정치로 볼 때 2023년 국내 자살자는 2022년 대비 755명이나 증가했고 2024년 1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32.3%나 증가했다.
이에 한국자살예방협회는 4일 긴급성명을 내고 "현 시기 자살의 증가를 국가적 위기로 규정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책 등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자살예방대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자살예방협회를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은 코로나 회복기에 자살의 증가를 경고해왔다.
협회는 "회복기에도 경제적 어려움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절망감, 청소년과 청년의 정신건강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올해 자살은 남성 사망자의 증가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여성 사망자는 지난해 1월 298명에서 올해 1월 325명으로 9.1% 늘어난 반면 남성 사망자는 689명에서 981명으로 42.4% 급증했다.
협회는 "그동안 우리나라는 OECD가 통계를 작성한 이래 리투아니아가 OECD에 처음 가입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자살률 1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자살의 증가를 위기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적극적 대책을 사회적으로 우선순위에 두고 민관협력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위기를 위기로 말하고 절망을 경험하는 국민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사회의 리더들부터 보다 적극적인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협회는 "자살추이에 대한 자료를 공개해 사회적 경각심을 고취하고 체계적 분석을 통해 근거에 기반한 자살예방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해야 한다"며 "절망에 빠진 국민이 구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사회의 리더들이 우선적으로 구조를 요청하라는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협회는 "우리나라의 자살예방정책이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자살예방시스템을 점검하고 강화하며 사회적 연대를 공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