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12.03 08:15최종 업데이트 22.12.05 09:08

제보

'직장으로 복귀' 돕는 산재 재활전문의원, 근로복지공단 외래재활센터 확대 바람

서울의원 이어 대전, 광주, 부산의원 개원…산재 노동자 재활 초점 맞춰

근로복지공단 서울의원 직업능력강화 프로그램실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중대재해처벌법 등의 시행으로 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근로복지공단이 산업재해 노동자의 빠른 직장 복귀를 위한 외래재활센터를 늘려나가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은 2019년 4월 개원해 서울과 인천 지역 산업재해 노동자의 재활을 도우며 직장 복귀에 기여하고 있는 근로복지공단 서울의원에 이어 대전의원, 광주의원, 부산의원을 개원한 근로복지공단은 향후 울산의원과 수원의원 개원을 앞두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은 전국 10개 공단 병원을 이용한 산재 환자들이 퇴원 후에 통원을 하면서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각 공단 병원과 매치되는 지역별 외래재활센터를 늘려 갈 계획으로 나타났다.

근로복지공단은 2일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의 부속 외래재활센터인 서울의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외래재활센터의 역할과 향후 센터 확장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서울 도심에 위치한 산재 환자 외래재활전문센터…직업재활 특화
 
근로복지공단 서울의원 직업능력강화 프로그램실

서울의원 손동균 외래재활센터장(재활의학과 전문의)은 "산재 노동자 중 1년 미만으로 치료받는 환자가 2만4000명이며, 그중 의원급을 이용하는 환자가 27.3%다. 그만큼 경증이면서 통원을 필요로 하는 재활 환자가 많기에 접근성 좋은 일차의료기관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의원은 서울 도심에 위치해 공단 인천병원 등 산재 병원에서 급성기 치료를 받은 산재 환자 중 통원 재활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서울과 인천지역 환자에게 본인부담 없이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해 조기 사회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손 센터장은 "산재 재활은 단순히 의료서비스 제공량만 증가해서 달성되는 것이 아니다. 재활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기능을 고려해야 하는데, 직장으로의 복귀는 신체기능만 끌어올리는 것만이 아니라 직업 특성상 필요한 기능이 회복돼야 하기 때문에 직업 재활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건강보험은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가 기준이 된다면, 산재의 경우에는 직업마다 필요로 한 인계치가 기준이 된다. 그 인계치를 넘어야 본래 직업에 복귀해 근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한국은 인계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지만, 서울의원은 직업별로 필요로 한 인계치에 도달하기 위한 직업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서울의원은 직업 재활 컨셉에 맞게  재활의학과 전문의인 손 센터장을 필두로 직업재활의확가 전문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와 산재 관리 간호사 등이 함께 산재 환자를 1대 1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최첨단 의료장비를 바탕으로 ▲근골결계 집중 재활프로그램 ▲수부 및 상지 절단 집중 재활프로그램 ▲작업 능력 강화 프로그램 ▲절단 집중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다.

손 센터장은 "실제로 근무 중 자동차, 오토바이 사고로 손상을 입은 환자, 작업장에서 근골격계 산재를 입은 환자들이 많이 찾아주고 있다. 환자의 상태와 복귀하는 직장의 업무 형태에 따라 그에 맞는 재활 계획을 세워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재 노동자 조기 직장 복귀 위해…접근성 높인 외래재활전문센터 늘린다
 
근로복지공단 이상호 의료복지이사

근로복지공단 이상호 의료복지이사는 "한 해 산재 환자가 10만~12만명 발생한다. 전국에 공단 병원이 10개 있고, 6000개 가까운 산재 지정병원이 있다"며 "산재 근로자 입장에서는 전국 공단 병원 10개가 굉장히 한정적이다. 산재 근로자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의원을 개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이사는 "근로복지공단 병원은 일반 재활의료기관과 다른 산재 전문병원으로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공단 병원을 추가적으로 늘려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지만,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이미 민간 재활의료기관이 많기 때문에 근로자의 접근성을 고려해 연계시키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대신 급성기 치료 후 통원치료를 원하는 산재 근로자의 수요를 고려해 치료 접근성을 높인 일차의료기관 형태의 의원을 늘려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의원은 일평균 환자 60명 규모로 출발했는데, 코로나19로 잠시 주춤했으나 일상회복과 함께 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규모 면에서 확장 필요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로복지공단은 외래 재활전문센터의 효과성 분석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이사는 "실제 직업 복귀율, 이용자의 편의성, 치료 기간 단축, 장애 최소화, 산재 노동자의 직장으로 조기 복귀 등 다양한 지표를 구성해 측정하고 있다"며 "이러한 근거를 갖고 전국으로 공단 병원과 매칭되는 외래재활센터를 늘려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현재 근로복지공단은 서울의원에 이어 대전의원과 광주의원, 부산의원까지 개원해 전국의 산재 노동자를 위한 외래 베이스의 재활서비스 접근성을 높혀가고 있으며, 향후 울산의원과 경기 남부권 산재 환자를 위한 수원의원도 개설할 계획을 갖고 있다.

그는 "공단 병원이 민간 의료기관과 같은 시스템을 갖춘다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그럴 여력도 되지 않는다. 우리가 제일 잘 할 수 있는 것은 산재 노동자의 재활이다. 그래서 재활에 대한 인프라를 확실하게 투자하고 집중하고 있다"며 "산재 근로자가 지역사회 접근성이 좋은 외래재활센터를 통해 직업 재활을 원활히 제공하기 위해 집중하고 있으며, 재활 관련 시설, 장비, 프로그램 등 인프라는 우리나라 최고 수준이라고 자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운 기자 (wj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