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시와 영남대 연구팀, AI로 '할로겐 독성'의 통념을 깨다
칼리시(Calici)와 영남대 공동 연구팀이 Briefings in Bioinformatics 저널에 실린 최신 논문에서 독성 예측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획기적인 성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은 ‘HD-GEM(Hybrid Dynamic Graph-based Ensemble Model)’이라는 최첨단 AI 모델을 통해, 기존 약물 설계에서 일반적으로 회피되던 ‘할로겐화 구조’가 오히려 특정 조건에서 독성을 낮출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이 연구는 약물 설계의 중요한 요소인 할로겐(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아이오딘 등) 치환이 실제로는 독성을 증가시킨다는 기존의 가설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연구팀은 1~3개의 방향족 고리(scaffold)를 포함하는 수천 개의 화합물과 실제 약물 구조에 대해 AI 예측을 수행한 결과, 아이오딘과 같은 일부 할로겐은 오히려 간독성과 심장독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다중 할로겐 치환(polyhalogenation)은 생리활성 2025.08.13
컴퍼스, ABL001 OS 개선 기대…임상 2/3상에서 예상보다 낮은 사망률 확인
에이비엘바이오가 글로벌 파트너사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가 ABL001(성분명 토베시미그, 컴퍼스 테라퓨틱스 코드명 CTX-009, 한독 코드명 HDB001A)의 최신 임상 개발 현황을 공유했다고 13일 밝혔다. ABL001은 신생혈관의 생성과 종양 내 혈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DLL4(Delta-like ligand 4) 및 VEGF-A(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 신호 전달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이중항체다. ABL001과 파클리탁셀(Paclitaxel) 병용요법은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 COMPANION-002에서 1차 평가지표를 달성했으며, ORR 17.1%가 확인돼 파클리탁셀 단독요법의 ORR 5.3%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컴퍼스에 따르면 현재 진행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ABL001 및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의 무작위 배정 임상 2/3상 COMPANION-0 2025.08.13
정밀 의료, 한국에서 60조원의 경제 효과 및 치료 패러다임 전환 예고
글로벌 전략 컨설팅 기업 ‘L.E.K. 컨설팅’이 ‘정밀 의료 사례 연구 보고서(On the Cusp of a Cure)’를 1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밀 의료 시대가 본격화되면 향후 10년간 한국에서 약 60조 원의 경제 효과와 보건의료 전반에 걸친 사회·경제적 가치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밀 의료는 기존의 획일적인 치료 방식과 달리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정보와 질병 특성에 기반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질환에 대해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유전자 치료제, 표적 항체 치료제, 약물-기기 복합 치료제, 정밀 진단 기술이 정밀 의료의 대표적인 핵심 기술이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컨설팅 회사 L.E.K. 컨설팅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16인의 전문가 자문위원회가 함께 개발한 것으로, ‘전체 시스템 이익 모델링(whole system benefits modelling)’을 활용해 한국에서 정밀 의료가 가져올 경제 및 보건의료적 효과를 분석했다. 2025.08.13
의사 10명 중 9명 “AI 사용해봤다”…병원 내 도입률은 20% 미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의사 10명 중 9명은 인공지능(AI)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으며, 특히 30대 의사층은 평균 2개 이상 AI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의료기관 시스템에 도입해 사용 중인 비율은 20% 미만이었으며, 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진단계열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의사 커뮤니티 플랫폼 메디게이트(Medigate)가 의료 AI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의사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생성형 AI 도구의 확산과 의료기관 내 AI 솔루션의 실제 사용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의료 AI 개발 기업 및 정책기관의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뤄졌다. 올해 6월 20일부터 7월 16일까지 약 1개월 간 전국 의사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응답자 총 1043명 중 AI 서비스 사용 경험이 있는 1011명의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2025.08.13
편두통 환자, 두통 발생 즉시 치료해야…수벡스, 트립탄 단독보다 효과 빠르고 지속적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편두통은 심한 두통을 반복해 경험하는 신경계질환으로 구역감이나 구토가 동반되므로 환자들은 체하면 머리가 아프다고 흔히 이야기한다. 편두통 환자의 상당수는 두통이 발생하면 일반진통제로는 통증호전이 잘 되지 않아 누워서 한참을 쉬어야 증상이 좋아지거나 두통이 심해지거나 구토가 지속돼 병원이나 응급실을 방문한 경험도 자주 하게 된다. 이렇게 진통제로 효과를 볼 수 없는 편두통에서는 트립탄을 적절히 사용하면 두통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편두통 환자가 두통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는 경우 두통의 빈도가 점차 늘어나 거의 매일 두통이 지속되는 상태가 되는 만성 편두통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편두통에서의 적절한 트립탄 치료는 단순한 두통완화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질환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트립탄은 두통 발생 즉시 가능한 빨리 복용해야 효과적이며, 트립탄 단독으로 두통치료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진통소염제(NSAIDs) 와 2025.08.13
윈레브에어, 20년만에 나온 새로운 기전의 폐동맥고혈압약…"환자의 일상 되찾는 희망되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한국MSD는 치료법이 제한적이라는 현실에 더욱 절망해 앞날에 대한 희망을 갖기 어렵다는 환자들에게 역전의 기회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20년 만에 등장한 혁신적 신약인 윈레브에어는 단순한 증상 완화를 넘어 혈관이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변형된 폐동맥과 우심실을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치료제입니다. 폐동맥고혈압 분야에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고 환자들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희망을 전달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한국MSD 김 알버트 대표이사가 1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윈레브에어(성분명 소타터셉트) 허가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윈레브에어는 폐동맥고혈압의 발생 기전 중 하나인 '액티빈'의 경로를 활용하는 최초의 액티빈 신호전달 억제제(ASI)다.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진 혈관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재형성된 폐동맥과 우심실을 되돌릴(reverse remodeling)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혁신적 기전과 임 2025.08.12
주한영국대사관·주한영국상공회의소·한국GSK, ‘2025 헬시에이징 코리아’ 포럼 개최
주한영국대사관(British Embassy Seoul)과 주한영국상공회의소(British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한국GSK가 12일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2025 헬시에이징 코리아(2025 Healthy Ageing Korea)’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헬시에이징 코리아 포럼에서는 학계, 정부, 공공단체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성인 예방접종, 건강한 초고령 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을 주제로 한 발제와 심도 있는 패널 토론을 진행했다. 첫번째 발표 세션에서는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가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성인 예방접종’을 주제로, 고령화 사회의 감염 예방과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의료정책으로 생애 전주기 예방접종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국내 고령 인구에서 의료자원 소모와 사회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감염성 질환에 취약한 만성질환자가 많은 성인의 경우 국가필 2025.08.12
테라젠바이오, '환자 맞춤형 항암백신 개발 플랫폼' 최종 수행기관 선정
테라젠바이오가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ARPA-H프로젝트 ‘환자 맞춤형 항암백신 개발 플랫폼 구축(PAVE)’과제의 최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4.5년 간 최대 191억원의 연구비가 투자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테라젠바이오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NeoVax-K 컨소시엄’은 mRNA 백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환자 맞춤형 항암백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주관기관인 애스톤사이언스를 비롯해 테라젠바이오, 아이엠비디엑스, 진에딧,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등 5개 기관이 참여한다. 테라젠바이오는 이번 과제에서 ▲DeepOmicsFFPE ▲DeepOmicsNeo ▲Double Barcode Neoepitope Scan 등 그동안 신항원 백신을 위해 자체 개발한 플랫폼을 활용해 췌장암 환자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 신항원 후보를 예측·검증할 계획이다. 기존 방식 대비 50% 미만이었던 예측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또한 최적화된 mRNA 구조를 적용해 항암 2025.08.12
암젠코리아-서울시립과학관 '그로우 업, 바이오 업 시즌 5' 성료
암젠코리아가 서울시립과학관과 함께하는 아동·청소년 생명과학 교육 프로그램 '그로우 업, 바이오업(Grow up, Bio up) 시즌 5가 10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12일 밝혔다. 올해로 5주년을 맞은 그로우 업, 바이오 업에는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아동·청소년 및 가족 등 총 3369명이 참여했다. 매년 접수 시작과 동시에 마감될 만큼 꾸준한 관심과 신뢰를 얻고 있는 가운데, 이번 시즌에도 높은 교육적 몰입도와 현장 반응으로 그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대표 프로그램인 과학 수업 '내 몸 어디까지 알고 있니?'는 전문 실험 장비와 생물학적 시료를 직접 다뤄보며 생명과학을 실습 중심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양 뇌, 돼지 심장과 허파 등 동물의 장기를 해부하며 인체를 탐구하는 Body 시리즈를 비롯해 세포 및 염색체를 관찰하는 Cell 시리즈, DNA 전기영동, 제한효소 실험, PCR 수행 등 분자생물학 중심의 DNA 시리즈까지 평소 접하기 어려운 생명과학 실험들 2025.08.12
KRPIA, "식약처의 WHO 우수규제기관 목록 전 기능 등재 환영"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식품의약안전처가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우수규제기관 목록(WLA, WHO Listed Authority)’의 의약품·백신 분야 8개 분야 모든 기능에서 등재된 데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한다는 입장을 11일 밝혔다. 8일 식약처는 2023년 10월 WLA 최초 등재 이후 품목허가·규제실사 기능 중 임상시험 요소에 대한 추가 평가를 거쳐 의약품·백신 분야 전 기능 등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WLA는 WHO가 해당 국가에서 허가받은 의약품을 다른 국가에서 신속히 허가할 수 있도록 도입했던 선진규제기관국가(SRA, Stringent Regulatory Authority)를 대체한 것으로, 규제 시스템과 업무 수행 역량이 우수한 의약품 규제기관을 목록화한 것이다 이로써 식약처는 주요 규제 선진국인 영국 의약품건강관리규제청(MHRA), 일본 후생노동성(MHLW) 및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 등과 함께 의약 2025.08.1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