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테크노파크, '2023 서울 바이오·헬스케어 테크 페어' 개최
서울테크노파크(서울TP)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 주관으로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이대목동병원, 기술보증기금, 서울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홍릉특구) 등과 함께 ‘2023 서울 바이오·헬스케어 테크 페어’를 25일 오후 1시 한국프레스센터 19층에서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 산업통상자원부, 서울특별시의 지원을 통해 서울TP, KIST가 공동 기획한 이번 행사는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을 선도할 관련 유망기술과 기업 및 예비창업자 간 교류 활성화를 통한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KIST,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이대목동병원은 각 기관에서 연구개발을 완료했거나 연구개발 중인 사업화 유망기술(줄기세포 치료제·치매 진단·장기칩·마이크로바이옴·의료 데이터 처리방법 등)을 이번 행사에 출품해 관련 연구자의 기술발표 및 기술 상담, 기술자료 안내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기술발표뿐 아니라 지역 혁신기관(서울TP, KIST, 기술보증 2023.10.19
솔리리스, 한국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환자 대상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 확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솔리리스가 한국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환자 대상 10년 후향적 리얼월드 연구를 통해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온라인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총 10년간 국내 14개 의료기관에서 솔리리스(성분명 에쿨리주맙)로 치료받은 성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솔리리스 치료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후향적, 다기관 관찰 연구다. 1차 평가 변수는 혈관 내 용혈(IVH: Intravascular hemolysis), 질환 관련 합병증 및 임상적 증상 발생, 빈혈 중등도 및 마지막 추적 관찰에서의 합병증 개선, 임상 양상 등 약물 유효성에 대한 연구자 평가였다. 추가 평가 변수로는 혈관 외 용혈(EVH)과 돌발성 용혈(BTH), 5년 전 2023.10.19
길리어드, 최초 Trop-2 표적 ADC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제 '트로델비' 국내 출시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가 18일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제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를 국내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트로델비는 기존에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통해 공급됐으나 18일부터 길리어드가 국내 공급해 환자들은 병원에서 처방을 통해 트로델비로 치료받을 수 있게 됐다. 트로델비는 최초의 Trop-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로, 세포표면항원 Trop-2에 결합하는 단클론항체와 암세포를 파괴하는 DNA 회전효소 억제 약물(TOP1 inhibitor payload) ‘SN-38’로 구성된다. 85% 이상의 유방암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암종에서 높게 발현되는 Trop-2만을 표적해 독성 약물을 전달하기 때문에 건강한 세포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항암 효과를 높인다. 트로델비는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에 두 번 이상의 전신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그 중 적어도 한 번은 전이성 질환에서 치료를 받은 절제 불가능 2023.10.19
암젠코리아, 세계 골다공증의 날 맞아 골절 예방 위한 ‘골(骨)든하우스 캠페인’ 진행
암젠코리아가 20일 ‘세계 골다공증의 날’을 맞아 지역사회 어르신 골절 예방을 위한 ‘골(骨)든하우스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암젠코리아 ESG 실천의 일환인 골(骨)든하우스 캠페인은 실내 낙상으로 발생하는 골다공증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암젠코리아·서울시 중구청·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파트너십 활동이다. 서울시 중구에 거주하는 고령층의 자택 및 고령 인구 이용률이 높은 공공 시설을 정비하고, 일상생활에서 빈발하는 실내 낙상과 골다공증 골절 예방 교육 등 지역사회 어르신들을 위한 활동을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이한 ‘골(骨)든하우스 캠페인’은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유락종합사회복지관 시설 정비, 골다공증 골절 예방 강좌, 낙상 예방 물품 및 과일 도시락을 제공하는 중구 드림하티 사업 지원 등 어르신들의 뼈 건강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저소득 노인의 개인 주거환경을 개선한 제1회 골든하우스 캠페인에 이어, 올해는 더 많은 노년층에게 더욱 2023.10.19
모더나, 업데이트된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
모더나가 정부의 ’23-’24 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계획에 맞춰 업데이트된 코로나19 백신인 ‘스파이크박스엑스주’가 19일 국내에서 65세 이상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만 12세 이상을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스파이크박스엑스주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XBB 하위계열 XBB.1.5, XBB.1.16, EG.5.1 변이에 더불어 최근 국내 출현한 BA.2.86에 대한 높은 중화항체 반응을 확인했다. 스파이크박스엑스주에 대한 가장 흔한 국소 이상 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이었다. 가장 흔한 전신 이상 반응으로는 두통, 피로, 근육통 및 오한이 포함된다. 안전성 프로파일은 기존 스파이크박스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한규내과의원의 이한규 원장은 “정부의 독감과 코로나19 백신 동시접종 권고로 최근 어르신들의 문의가 많아지고 있다”며, “고령층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 만성신장질환 등 기저질환자분들도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사망 2023.10.19
로슈, 한달새 40억달러 이상 계약 체결 눈길…분자 접착제 분해제 개발 목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로슈(Roche)가 9월 분자 접착제 분해제(MGD)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해 벨기에 생명공학기업 오리오니스 바이오사이언스(Orionis Biosciences)과 손잡은 데 이어 이번에는 몬테로사 테라퓨틱스(Monte Rosa Therapeutics, Inc.)와 협력하기로 했다. 몬테로사는 이전까지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암과 신경질환 표적에 대한 분자 접착제 분해제를 발굴, 개발하기 위해 로슈와 전략적 협업 및 라이선스 계얄을 체결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관련기사='언드러거블' 신약 찾는 빅파마들, 분자 접착제 분해제 개발에 수조원 투자] 계약 조건에 따라 몬테로사는 선급금 5000만 달러를 받고, 향후 20억 달러를 초과할 수 있는 마일스톤과 단계별 로열티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첫 2년 이내 여러 표적에 대해 협력을 확대하는 데 합의했다. 이 경우 후보물질 지정과 전임상, 임상, 상업, 판매 마일스톤에 대한 추가 지불금과 결과 제품 2023.10.19
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 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국 입찰 수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유럽 주요국에서 열린 인플릭시맙 입찰에서 경쟁 제품들을 제치고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수주를 이어가며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공고히 지속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유럽 주요 5개국(EU5) 중 하나인 프랑스에서 열린 AGEPS(Agence Générale des Equipements et Produits de Santé, 아젭스) 입찰 수주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파리 및 일드프랑스(Île-de-France) 지역의 대학병원 연합인 APHP(Assistance Publique - Hôpitaux de Paris, 아뻬아쉬뻬)에 이달부터 2026년까지 3년 동안 램시마를 공급할 예정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올 2분기 기준 램시마는 프랑스에서 59%의 시장 점유율로 오리지널 및 경쟁 제품들을 모두 압도하는 처방 성과를 기록했는데, 이번 AGEPS 입찰 수주에도 성공한 만큼 프랑스에서 램시마의 영향력은 한층 2023.10.18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이브레인, 청년 우울증 150명 치료비 지원 블루밴드 캠페인 개시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와이브레인의 후원으로 2030 청년 우울증 환자 대상 치료비 지원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정신건강재단 및 와이브레인이 공동으로 진행중인 대국민 우울증 바로 알기 블루밴드 캠페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지난해 국정감사에 제시된 보건복지부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치료받은 환자는 899만명에 이르렀다. 코로나19 이전 2019년과 이후 2021년 연령대별 증가율은, 20대가 42.3%로 가장 크게 늘었고, 10대이하 33.5%, 30대 24.9%, 10대 22.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10대에서 30대 청년층들이 불안한 사회에서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심각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2030 청년층들이 건강한 사회활동으로 우리 사회에 활력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우리 사회가 청년층의 건강한 심신 회복을 함께 도울 수 있도록 이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2030 우울증 치 2023.10.18
알지노믹스, ‘중소기업 기술개발 우수성과 50선’ 기업에 선정
알지노믹스가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기술개발 우수성과 50선’ 기업에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우수성과 50선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의 혁신과 질적 고도화, 우수 기술개발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올해 처음 선정됐다. 최근 5년간(2018~2023년)간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한 기술개발 성공완료 과제 등을 대상으로 공모와 성과검증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기술개발 과제의 누적 매출액 등 사업화 성과가 우수한 기업 30개사 ▲국가전략 기술분야에서 세계수준의 기술력을 달성한 우수기업 6개사 ▲기술탈취, 경영위기 등을 극복하고 재도전에 성공한 기업 7개사 ▲산업안전 등 공공서비스 개선에 기여한 혁신제품 기업 7개사 등 총 4개 부문 50개의 기술개발 우수성과 기업을 선정한다. 알지노믹스는 중소벤처기업부 과제를 통해 유전자를 mRNA 수준에서 대체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선택적이고 특이적 치료법으로 활용가능한 RNA 치환효소를 개발했다. 이를 기반으로 간암 유전자치료제를 개발, 2023.10.18
키트루다, 6번째 비소세포폐암 적응증 美승인…수술전후 보조요법으로 사용 가능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PD-1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미국에서 6번째 비소세포폐암(NSCLC) 적응증을 허가 받았다. MSD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키트루다를 절제 가능한(종양이 4cm 이상이거나 결절 양성인)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백금화학요법과 병용해 수술전 보조요법(neoadjuvant)으로 사용한 뒤 연속해서 수술후 보조요법으로 단독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키트루다는 미국에서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로 페메트렉시드 및 백금화학요법과 병용 ▲전이성 편평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를 위해 카보플라틴 및 파클리탁셀(또는 알부민 결합 파클리탁셀)과 병용 ▲PD-L1 발현 양성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 ▲PD-L1 발현 양성으 백금화학요법 도중 또는 이후 질병이 진행된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 ▲IB기(T2a ≥4cm), II기 또는 IIIA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절제 및 백금화학요법 후 보조 치료 2023.10.1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