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레인,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 코로나19 확진 후 우울감 개선 효과 도출
와이브레인이 자사가 개발한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을 코로나19 확진 후 브레인포그 환자에 적용한 연구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브레인포그는 머리에 안개가 낀 것처럼 멍한 느낌이 지속돼 우울감, 피로감 및 사고력, 기억력 등의 인지 저하를 느끼는 현상이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감염 후 우울감을 동반한 주관적 인지 저하에서 tDCS(경두개직류자극치료,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의 적용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재은 교수 및 신의료기술 연구팀이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간 진행했다. 대상자는 19세에서 65세 사이의 코로나19 확진 이후 경미한 우울감, 주관적 인지 저하 및 주의력 저하를 호소하는 환자 25명이었다. 코로나 확진 전 우울증 및 인지 저하가 있었던 환자는 제외했다. 연구는 2주간 매일 1회 30분씩 마인드스팀을 적용하여 진행됐다. 첫 회에만 원내 치료를 2023.05.11
에자이, 할라벤 탑재 HER2 ADC 개발에 최대 20억달러 투자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에자이(Eisai)가 화학요법 약물 할라벤(Halaven, 성분명 에리불린)을 탑재한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에 최대 20억 달러(약 2조6500억 원)를 투자한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에자이는 최근 중국 블리스 바이오파마슈티컬(Bliss Biopharmaceutical)과 전략적 협업 옵션권을 포함해 ADC BB-1701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BB-1701은 에자이가 자체 개발한 항암제 할라벤과 링커를 이용한 HER2 표적 항체로 구성된 ADC다. HER2가 발현되는 유방암과 폐암, 기타 고형암에 항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할라벤을 페이로드로 사용하는 링커-페이로드는 에자이의 미국 연구거점 엑스톤사이트(Exton Site)가 개발한 독자 기술 플랫폼으로, 에자이는 이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항체와의 결합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에자이는 2018년 블리스바이오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할라벤을 페이로드로 사용할 수 2023.05.11
베링거 GLP-1 이중 작용제, 비만 2상서 체중 최대 14.9% 줄였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개발하고 있는 GLP-1 계열 약물이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 2상 임상시험에서 체중을 최대 14.9%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링거는 10일 용량 탐색 2상 임상시험(NCT04667377)에서 BI 456906이 계획된 유지 용량을 사용해 46주 치료한 결과 최대 14.9% 체중 감소를 달성하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다고 발표했다. 베링거 측은 "더 큰 체중 감소를 나타내는 실제 유지 용량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이번 결과 데이터는 6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며, 그 전까지 데이터는 엠바고 상태다"고 밝혔다. 베링거는 덴마크 바이오텍 질랜드 파마(Zealand Pharma)와 함께 글루카곤(GCG) 수용체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이중 작용제인 BI 456906을 개발하고 있다. 4월 진행된 연간실적발표에서 이 프로젝트를 가능한 빠르게 2023.05.11
마크로젠, 10x지노믹스와 세계 첫 공식 싱글셀 비즈니스 파트너십
마크로젠이 유전체 시퀀싱 기업 10x지노믹스와 싱글셀 시장 확대를 위해 세계 최초로 10x지노믹스 최신 싱글셀 분석 기기 ‘제니움(Xenium)’ 카탈리스트(Catalyst) 제휴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제니움은 가시적 분자 결합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10x지노믹스의 플랫폼으로 단일 세포보다 더욱 세분화된 RNA 및 단백질 정보를 즉시 이미지화해 빠르게 통합 분석한다. 제니움을 통해 수백에서 수천 개 유전자의 발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약물반응과 관련된 약 400개 유전자 발현 분석으로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 연구에 적합하다. 제니움 카탈리스트 프로그램은 연구자들이 10x지노믹스에 샘플을 보내 처리할 수 있는 기술 액세스 서비스다. 이를 통해 특정 샘플에 대한 개념 증명 데이터가 필요한 연구자들은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제니움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마크로젠은 싱글셀 대량 분석 플랫폼 크로미움(Chromium)과 공간전사체 분석 플랫폼 비 2023.05.10
백스다임,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 국책과제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
백스다임(VAXDIGM)이 2023년도 1차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GVL Center)의 '미래 팬데믹 대응 백신 개발' 분야 지원 과제로 국책과제 주관연구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주제는 '미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팬데믹 대응을 위한 백신 개발 비임상 연구다.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은 보건복지부 산하 사업단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내 백신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2022년 1월 출범했다. 신변종 감염병 팬데믹 신속대응 및 실용화 촉진을 위한 차세대 백신기술 개발을 목표하며, 이를 위해 신속·범용백신기술개발,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개발, 백신기반기술개발 3가지 분야를 추진 과제로 하고 있다. 백스다임 김성재 대표는 “백스다임은 최근 선정된 2023년도 제1차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의 '미래대응·미해결분야 범용인플루엔자' 분야에 이어, 미래 팬데믹 대응 백신 개발 분야에 최종 선정돼 매우 기쁘다. 2023년도 제1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에서 각각의 사 2023.05.10
로슈, 혁신 바이오테크 기업 발굴 위한 '파트너링 데이' 행사 개최
로슈와 한국바이오협회가 9일 국내 혁신 바이오테크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방안을 모색하는 ‘한국바이오협회 X 로슈 파트너링 데이’ 행사를 한국로슈 본사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바이오협회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는 ‘글로벌 밍글(Global Mingl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아시아 지역 내 다양한 외부 혁신 기회를 발굴하는 데 집중하는 로슈의 아시아 제약 파트너링 팀이 한국 바이오테크 기업들과의 새로운 파트너십 기회를 모색하고 국내 바이오테크 산업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로슈와 한국바이오협회는 행사의 진행을 위해 지난 4월에 ▲종양학 ▲면역학 ▲신경과학 ▲안과학 ▲희귀질환 ▲감염질환 ▲연구기술 ▲디지털헬스(정밀의료)를 포함하는 8개 혁신 과학 분야의 우수 바이오테크 기업을 공개 모집했으며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가진 신청 기업 가운데 약 10%의 참가사가 아시아 지역 내 로슈 2023.05.10
셀트리온, 미국 DDW서 ‘램시마SC’ 글로벌 임상 3상 발표
셀트리온이 6~9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 및 온라인에서 진행된 ‘2023년 미국소화기학회(Digestive Disease Week, DDW)’에 참가해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T-P13 SC(램시마SC)’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 2건을 각각 구두 발표 및 포스터로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미국소화기학회는 전 세계 소화기학, 간장학, 내시경 및 소화기계 수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이는 해당 분야 최대 규모의 국제 학술대회다. 올해 진행된 학회에서는 해당 분야의 연구, 의학 및 기술 등 최신 지견에 관한 3100개 이상의 초록이 공개됐다. 셀트리온이 이번 학회서 구두 발표 세션과 포스터 세션을 통해 각각 공개한 연구는 크론병 환자 343명, 궤양성 대장염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다. 임상 참가자들에게는 6주차까지 램시마 정맥주사(IV) 제형을 투약했다. 이들 중 램시마 IV 유도요법에 임상반응을 보인 환자를 10주차에 2:1 비 2023.05.10
인벤티지랩, 유전자치료제 통합공정 LNP 제조시스템 개발
인벤티지랩이 ‘TIDES USA 2023’ 학회에서 ‘유전자치료제 원액(DS) 통합공정 LNP(지질나노입자, Lipid Nano Particle) 제조시스템의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TIDES USA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펩타이드∙메신저리보핵산(mRNA)∙유전자편집 분야의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 및 상업화까지 신약개발 전단계를 망라하는 세계 최대 학회로, 올해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7일부터 10일까지 열린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mRNA 백신의 임상적, 상업적 성공이 확인되면서 유사한 기술을 적용한 유전자치료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유전자치료제를 성공적으로 개발하려면 DS 생산 공정 단계에서 타깃에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전물질의 최적화 개발과 함께, 유전물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생체 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LNP 플랫폼 결합이 중요하다. 인벤티지랩은 기존 LNP 제조시스템 대비 더 우수한 봉입률(Encapsulation efficien 2023.05.10
트로델비, 최초의 TROP-2 표적 ADC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치료제로 국내 허가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가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제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가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에 두 번 이상의 전신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그 중 적어도 한 번은 전이성 질환에서 치료를 받은,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의 성인 환자 치료제로 국내 허가됐다고 밝혔다. 트로델비는 최초의 TROP-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로, 90% 이상의 유방암과 방광암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암종에서 높게 발현되는 세포표면항원 TROP-2에 결합하는 단클론항체와 강력한 세포사멸 기능을 갖는 DNA 회전효소 억제 약물(TOP1 inhibitor payload) SN-38로 구성된다. TROP-2를 표적해 약물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TROP-2 발현세포와 종양 미세환경에 강력하게 작용해 치료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했다. 삼중음성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HR)와 사람상 2023.05.09
베르티스, 노화에 따른 혈액 단백체 분석 등 연구성과 2건 발표
베르티스가 8~10일 싱가포르 엑스포(Singapore EXPO)에서 열리는 ‘제11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단백체학회 학술대회(The 11th Asia Oceania Human Proteome Organization, AOHUPO)’에 참가해 2건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9일 밝혔다. 발표 내용은 ▲노화에 따른 혈액 단백체 분석(Systematic analysis of blood proteome across the lifespan)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의 조기 진단용 단백질 바이오마커 탐색(Development of Serum Biomarker Panel for 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 Diagnosis by Global and Targeted Proteomics)에 대한 연구 결과로 포스터 발표 방식으로 공개된다. 노화에 따른 혈액 단백체 분석 건으로 베르티스 연구팀은 20세~85세의 건강한 337명의 혈액을 분석해 노화에 따른 혈액 내 단백체의 2023.05.09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