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 CAR-T 치료제, 이전 CAR-T 치료 후 재발 또는 불응 환자서 효과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CAR-T 치료를 받은 뒤 암이 재발한 환자를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로 다시 치료했을 때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초기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아브람슨암센터(Abramson Cancer Center) 연구팀이 10~13일(현지시간)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혈액학회 연례학술대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2022)에서 재발 또는 선행 CAR-T 세포 치료제 불응성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1상 임상시험의 예비 결과를 발표했다. CAR-T 치료제는 지난 10년 동안 혈액암 치료에 혁신을 가져왔다. 그러나 암이 재발하거나 CAR-T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는 추가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인간화된 항-CD19 CAR와 인터루킨-19(IL-18)을 공동 발현하도록 렌티바이러스 벡터로 형질도입된 4세대 자가 CAR-T 세포 2022.12.13
올리패스, 30억원 유상증자…전환우선주 제3자 배정 발행
올리패스가 전환우선주 약 30억 원을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전환우선주 증자의 납입일은 12월 19일이며 발행가는 주당 4715원이다.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번 증자는 내년 봄에 예정된 비마약성 진통제 임상 일차 중간 평가 결과 확인 등 회사의 주요 단기 사업 마일스톤을 감안해 재무 구조 개선에 필요한 적정 금액으로 한정해 진행된다고 올리패스 관계자는 밝혔다. 올리패스 측은 "현재 호주에서 진행중인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OLP-1002에 대한 임상2a상 2단계 중 일차 중간 통계평가(Interim Analysis)의 대상이 되는 최초 투약 30명의 환자들에 대한 6주간의 통증 추적 평가는 크리스마스 이전에 무난히 종료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현재까지 입력된 다양한 종류의 환자별 임상 데이터 지표들이 일관성 있게 관측되는 것으로 봤을 때 이번 임상2a상 2단계 평가는 임상 관리 및 통제가 양호하게 이 2022.12.12
버제니오,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 대상 임상 연구 업데이트 결과 발표
한국릴리는 자사의 CDK 4&6 억제제 버제니오(성분명 아베마시클립)의 HR+(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음성) 림프절 양성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허가의 기반이 된 임상 3상 monarchE 연구의 업데이트 결과가 6일(현지시간)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SABCS 2022) 및 란셋온콜로지(Lancet Oncology) 저널을 통해 공개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결과에는 전체 치료 환자군(ITT; Intent-to-treat) 및 코호트1 환자군 대상 데이터가 포함됐다. 또한 추적 관찰 기간 중앙값 3.5년의 사전 명시된 분석을 통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결과가 포함됐으며 현재 모든 환자들은 2년 간의 버제니오 치료를 중단 또는 완료한 상태다. 침습적무질병생존율(IDFS; Invasive Disease-Free Survival)과 원격무재발생존율(DRFS; Distant Re 2022.12.12
파멥신-MSD, 면역항암제 공동 임상계약 체결
파멥신이 MSD(미국 머크)와 면역항암제 공동임상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공동 임상개발계약은 항 VISTA 타깃 면역항암제 'PMC-309'의 임상1상에 필요한 항PD-1 면역항암제 확보를 위해 진행됐다. PMC-309는 선별된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호주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1상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임상 프로토콜에는 항PD-1 면역항암제와의 병용요법이 포함돼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MSD는 파멥신에 면역항암제 개발 노하우와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를 무상으로 지원하게 된다. PMC-309는 면역억제에 관여하는 면역관문 단백질 VISTA와 특이 결합해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면역항암제다. VISTA(V-domain Ig suppressor of T cell activation)는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인 MDSC에 주로 분포하며 면역세포인 T세포 억제에 관여한다. PMC-309는 면역억제세포에 있는 VISTA에만 결합하는 특 2022.12.12
GSK 젬펄리,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 직접비교 연구서 키트루다보다 우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GSK의 항PD-1 면역항암제 젬펄리(Jemperli, 성분명 도스탈리맙)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에서 MSD의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보다 긍정적인 객관적 반응률과 무진행 생존기간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GSK는 7~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면역종양학 연례학술대회(ESMO IO Congress 2022)에서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젬펄리+화학요법과 키트루다+화학요법을 비교하는 PERLA 2상 임상시험 1차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PERLA 2상은 환자 243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이중맹검 시험으로, 이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세계 최대 규모 PD-1 억제제 직접 비교 임상시험이다. 1차 평가변수는 독립중앙심사위원회(BICR)에 의해 결정된 RECIST(고형암 반응 평가 기준)에 따른 전체 ORR이었다. 분석 결과 젬펄리 병용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확정 객관적 반 2022.12.10
넥스젤바이오텍, 조직재생형 필러 기술개발 계약 체결
넥스젤바이오텍이 최근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인 코루파마와 제품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조직재생형 차세대 필러 기술에 대한 서브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넥스젤은 실온에서는 액체 상태지만, 체온에서 젤이 되는 고분자 기술을 활용한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젤 기술을 활용해 성형용 필러 시장에서 독자적인 기술의 제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코루파마와는 제3자의 이용을 허가하는 서브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코루파마는 서브라이선스 대가로 정액기술료 8억원 및 매출액의 6%를 경상기술료로 지급하기로 했다. 넥스젤이 개발한 하이드로젤 필러는 진피조직에 주사했을 때 조직안에 있던 세포들이 하이드로젤 내부로 들어와 새로운 진피조직을 형성하고 하이드로젤은 분해되서 없어지는 조직생성형 차세대 필러다. 현재 성형용 필러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필러는 HA가 분해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잦은 시술이 필요한 점을 개선했다. 이번 계약 체결에 따라 2022.12.09
베르티스, 단백체 분야 세계 최대 학술행사서 AI 기반 질병 진단 모델 연구 성과 발표
베르티스가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단백체 질량분석 데이터만 가지고 질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진단 모델에 대한 연구 성과를 단백체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행사 ‘2022 세계단백체학회(HUPO, Human Proteome Organization)’에서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베르티스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기존 질량분석 프로테오믹스 데이터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SAN(Spectrum is All You Need)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SAN은 혈액 검체의 질량분석 스펙트럼만으로 질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4일~8일 멕시코 칸쿤에서 개최된 세계단백체학회에서 난소암과 췌장암에 대해 진단 모델의 정확도를 평가한 첫 번째 연구 결과를 선보였다. 베르티스가 개발한 딥러닝 모델은 단백체 스펙트럼만 가지고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며 난소암과 췌장암의 질병 유무를 판별했다. 이번 연구에서 베르티스 연구팀은 2022.12.09
마크로젠, 아주대의료원과 정밀 유전체 정보 생산 및 활용 위한 업무협약 체결
마크로젠이 아주대학교의료원과 정밀 유전체 데이터 생산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8일 아주대병원 송재관 초현재에서 마크로젠 김창훈 대표, 주지현 리서치 서비스부문 부문장, 우현구 아주중개오믹스센터장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본 협약으로 마크로젠과 아주대의료원은 ▲정밀 유전체 데이터 생산 및 제공 ▲정밀의학에서의 유전체 정보 활용 분야 공동 연구 개발 ▲싱글셀(Single Cell) 유전체 분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산학협력 및 현장 탐방 프로그램 운영 등을 위한 상호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마크로젠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주대의료원 아주중개오믹스센터에 고품질의 유전체 데이터를 생산해 제공한다. 해당 데이터는 질환의 발병기전 규명, 조기 진단, 예후 예측, 치료반응·효과 예측, 맞춤형 치료제 개발 등 아주중개오믹스센터의 정밀의학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계획이다. 마크로젠 김창훈 대표는 "개인 맞춤형 치료와 정밀의학 연구 2022.12.09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 1ST-206, KDDF 신약개발 지원과제 선정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는 면역항암제로 개발 중인 ‘1ST-206’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신약기반 확충 연구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의 필수조건인 의약주권 확보를 위해 제약기업과 학·연·병의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바탕으로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퍼스트바이오는 KDDF의 지원 아래 향후 24개월간 선도물질 도출을 위한 신규물질의 합성, 기전 연구, 및 동물효력 시험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1ST-206은 퍼스트바이오의 면역항암제 포트폴리오 중 HPK1 저해제에 이은 두번째 프로젝트로 면역대사 타깃군에 해당되며 현재 항암제 시장의 주류로 자리잡은 면역관문억제제와는 별개의 면역기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기전으로는 T 세포를 통한 면역 활성 기전 외에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 대식세 2022.12.09
프로메테우스, TL1A 표적 치료제 2상서 기대 상회 성과…퍼스트인클래스 나오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프로메테우스 바이오사이언시스(Prometheus Biosciences)가 궤양성 대장염(UC)과 크론병(CD)에 대한 긍정적인 2상 데이터를 보고하면서 TL1A 표적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특히 궤양성 대장염 임상에서는 JAK 억제제와 유사한 효능을 보이면서도 안전성 측면에서 뛰어났다. 크론병 임상은 대조군이 부족했으나 기존 치료법으로 실패한 내시경 활동성 환자에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초기 근거를 제공했다. 차별화된 바이오마커 기반 전략도 눈길을 끌었다. 프로메테우스가 PRA023에 대한 ARTEMIS-UC 2상 및 APOLLO-CD 2a상 임상시험 결과, 두 연구 모두에서 강력한 효능과 우수한 안전성이 입증됐다고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프로메테우스는 두 연구의 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3년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에 대한 3상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PRA023은 종양괴사인자(TNF) 유사 리간드 1A(TL1A)를 차단하는 것으 2022.12.09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