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인지도 4년 전보다 낮아져…제대로 아는 사람은 국민 중 절반에 불과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유럽과 달리 국내에서는 심부전 유병률과 사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국민들의 심부전에 대한 인지도는 4년 전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비율은 절반에 불과했고, 중증도에 대한 인지율은 더 낮았다. 국민 중 절반 가량만 심부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으며, 심부전 증상에 대한 인지도는 2018년 조사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심부전학회는 1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2022 심부전 인지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인들이 심부전의 정의와 증상, 중증도, 질병 부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파악해 효과적인 홍보, 교육활동을 하기 위해 이뤄졌다. 7월 20일부터 8월 3일까지 표본추출을 통해 약 1000여명을 대상으로 전화응답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심부전의 대표적 증상인 '약간의 활동에도 쉽게 숨이 차며 피곤하고 발목이 붓는 증상'을 제대로 인지하는 응 2022.09.16
美 자국 바이오산업 보호·육성에 20억달러 투입…제조 인프라 구축에만 10억달러 이상 쏟아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자동차와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 분야에서도 자국 산업 보호에 강력하게 시동을 걸면서 파장이 예상된다. 백악관은 14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 행정명령의 후속조치로 열린 정상회의에 따른 각 부처별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정부는 이 행정명령을 통해 공급망 강화를 통한 가격 하락과 바이오제조 능력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노리고 있다. 먼저 해외 공급 업체에 의존하지 않음으로써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는 상황에서도 미국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으로 미국산 제품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두 번째로 미국에서 발명된 것을 미국에서 만들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바이오제조는 지역 공급 원료에 의존하는 만큼 전국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한다. 정상회의 2022.09.16
애브비 스카이리치, 건선성 관절염 장기 효과 평가한 3상 연구 최신 결과 발표
애브비가 최근 성인 활동성 건선성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스카이리치를 평가한 KEEPsAKE-1 및 KEEPsAKE-2 연구의 신규 3상 장기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오픈 라벨 연장 연구 진행 중 100주차에서 스카이리치를 투여한 환자의 피부 및 관절 증상이 개선됐으며 KEEPsAKE-1 및 KEEPsAKE-2연구에 참여한 환자 절반 이상이 90%의 피부개선(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 PASI 90) 및 ACR20(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의 관절증상 개선을 보였다. 100주 동안 새롭게 관찰된 안전성 정보는 없었다. 이번 결과는 이탈리아 밀라노와 온라인에서 하이브리드로 열린 제31회 유럽 피부과학 및 성병학회(EADV) 학술대회의 '최신 뉴스' 세션에서 소개됐다. 애브비 면역학 임상개발부 부사장 도이나 코스마-로만(Doina Cosma-Roman) 의학박사는 "스카이리치가 시 2022.09.15
에이비엘바이오, ABL301 단기 마일스톤 수령
에이비엘바이오가 사노피로부터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의 단기 마일스톤 4500만 달러(약 626억원) 중 2000만 달러(약 278억원)를 수령한다고 15일 밝혔다. 사노피로부터 45일 이내에 지급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올해 1월 사노피와 계약금 7500만 달러와 단기 마일스톤 4500만 달러를 포함한 총 10억6000만 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ABL301의 개발 및 상업화를 할 수 있는 전세계 시장에서의 독점적 권리를 이전했다. 계획대로 4분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예정이며 이번에 유입되는 2000만 달러 외 단기 마일스톤 2500만 달러는 ABL301의 개발 진전에 따라 추가 수령하게 된다. 한편, ABL301의 임상 1상까지는 에이비엘바이오가 주도하며, 이후 임상 2상부터는 사노피가 담당하게 된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ABL301의 전임상 개발 순항으로 2022.09.15
박셀바이오 "Vax-NK/HCC 2a상 순조롭게 진행 중…조기 종료도 적극적으로 고려"
박셀바이오가 14일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열어 진행성 간암 치료제 Vax-NK/HCC 임상2a상 예비연구결과와 CAR-MILs 개발 및 적응증 확대 계획 등에 대해 밝혔다. 박셀바이오 이제중 대표이사는 "간암 Vax-NK/HCC 임상 2a상 연구가 매우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며 "9월 초 국제학회를 통해 12명의 환자에 대한 예비연구결과를 발표했으며, 완전반응(CR) 4명(33.3%)를 포함해 객관적 반응률(ORR) 66.7%, 질병 조절률(DCR) 100%라는 매우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 1상 연구와 비교해 더 높은 질병조절률 결과를 도출해 조기 종료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행성 간암 치료제 Vax-NK/HCC는 자가유래 방식의 항암면역세포치료제다.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2a상을 진행할 계획이며, 최근 15번째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 이 대표이사는 Vax-NK 플랫폼의 적응증 확대 계획도 발표했다. 그는 "그 동안 응급임상을 통해 Vax-NK의 다른 고형암 치 2022.09.15
신테카바이오, AI 신약개발 플랫폼 '딥매처' 고도화 완료
신테카바이오가 자사의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AI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 고도화 완료에 따른 자체 성능 검증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신테카바이오는 10억 개 화합물 및 600여 개의 표적 모델로 구성된 딥매처 플랫폼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 버추얼 스크리닝(DMC-PRE), 딥매처 스크리닝(DMC-SRC), 분자 동역학 기반 자체 검증(DMC-MD) 등 딥매처 플랫폼을 구성하는 세 가지 모듈에서 인실리코(in silico) 검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정답이 알려진 경우에 대해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경쟁력 있는 수준인 85~95% 정확도를 확인했다. 신테카바이오 측은 딥매처 플랫폼의 최종 단계인 DMC-MD 과정을 추가하면서 성능 향상이 이뤄졌고, DMC-MD에서 진행되는 분자동역학적 시뮬레이션(Molecular dynamic simulation) 과정이 신약 후보물질 예측 시 발생하는 위양성(false positive) 결과를 대폭 감소시켰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분자 2022.09.15
암젠 루마크라스, 비소세포폐암서 도세탁셀 대비 우월한 무진행생존기간 확인
암젠은 루마크라스(성분명 소토라십)가 정맥 투여한 항암화학요법 치료제 도세탁셀에 대비해, 우수한 무진행생존기간(PFS: 1차 임상평가지표)과 함께 객관적반응률(ORR: 주요 2차 임상평가지표)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CodeBreaK 200 3상 임상 데이터가 공개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임상에서는 환자보고결과(PROs: 주요 2차 임상평가지표) 또한 도세탁셀 대비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데이터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2 유럽종양학회(ESMO) 학술대회의 프레지덴셜 심포지엄 (Presidential Symposium) III 세션에서 최신 혁신연구(late-breaker) 구두 발표(#LBA5812)로 공개됐다. 암젠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 데이비드 리스(David M. Reese)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된 임상적 근거들은 종합적으로 루마크라스가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중요한 표적 치료제임을 뒷받침하는 것일 뿐 아니라 모든 2022.09.15
메드팩토, AACR 췌장암 컨퍼런스서 백토서팁 병용 임상 포스터 공개
메드팩토가 백토서팁-폴폭스(FOLFOX) 병용요법 췌장암 1b상 중간데이터를 13~16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췌장암 특별 컨퍼런스(AACR Special Conference on Pancreatic Cancer)에서 포스터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분석 결과 백토서팁 200mg를 1일 2회 투여한 13명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mOS)는 9.3개월이었다. 객관적 반응률(ORR)은 23.1%였고, 38.5%는 암덩어리가 더 커지지 않는 안전병변(SD)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른 임상적 유용성(Clinical benefit)은 61.5%다. 또한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PFS)는 4.2개월이었다. 반면 젬시타빈 실패환자 대상 폴폭스 2차 요법(FIRGEM Study)에서의 전체생존기간(OS)는 4.3개월이고 mPFS는 1.7개월, ORR은 0%다. 또 다른 폴폭스 단독 요법(SEQUOIA Study) 임상에서도 mOS 6.3개월, mPFS 2022.09.14
와이브레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공동 우울증 바로 알기 블루밴드 캠페인 시작
와이브레인이 13일 서초동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본관에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우울증 바로 알기 대국민 캠페인을 론칭하고 공동 진행하기 위해 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주최하고 와이브레인의 후원으로 매년 진행되는 대국민 캠페인이다. 학회는 올해를 캠페인의 원년으로 삼고 매년 우울증의 새로운 테마를 정해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공식 명칭은 블루밴드로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바로 세우고 정신건강의학 전문의를 통한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적극적으로 찾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블루밴드는 우울을 상징하는 블루가 아닌 밝은 스카이 블루 색상과 상처에 붙이는 밴드를 결합해 마음의 상처를 즉각 대응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자는 의미로 만들어졌다. 올해 테마는 20대 우울증이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우울증 환자 중 20대가 17만987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대 우울증은 2017년 대비 5년만에 127%의 증가 2022.09.14
아토피 피부염, 전세계 성인 10%·어린이 25%까지 영향…임상·심리·경제적 부담 커
애브비가 3년간 28개국에서 진행한 MEASURE-AD 연구 하위 분석 결과를 7~10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제31회 유럽 피부과학회(EADV)에서 포스터 및 구두 프레젠테이션으로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전신 치료를 받지 않는 중등증~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은 치료 중인 환자들보다 임상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 분석에서 피부과 삶의 질 지표(DLQI)로 측정된 더 나은 삶의 질과 더 낮은 질병 중증도가 더 낮은 임상 부담과 업무 장애와 관련 있었다. MEASURE-AD 연구자인 스페인 알리칸테대학병원 피부과 후안 프란시스코 실베스터(Juan Francisco Silvestre) 박사는 "이번 결과는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매일 경험하는 지속적인 부담과 질병 중증도, 치료 접근법 및 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 사이의 잠재적 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넓힌다"며 "이러한 실제 진료 기반 분석은 아 2022.09.14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