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머크 바이오파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성‧재생산건강권리협의회' 참여 협약 체결
한국머크 바이오파마가 지난달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재생산건강권리협의회’ 출범식에서 민관 합동 협의회 참여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서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 근로복지공단 서울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대한간호협회 등 13개 기관‧단체가 함께한 성‧재생산건강권리협의회 출범에 참여해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 역할 및 인식 확산에 함께 기여할 것을 선포하는 자리를 가졌다. 출범식에 이어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협의회의 사회적 역할과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향후 권역별 지역순회 토론회와 다양한 홍보‧캠페인을 통해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 개념을 확산하고 보건‧의료, 교육, 노동‧환경 등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의 법제 개선 방향에 대한 공론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난임 전문 기업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오랫동안 대한보조생식학회와 함께 난임 관련 캠페인을 진 2022.04.05
디지털 치료제 기업 페어 테라퓨틱스, 원격의료 서비스 시작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소프트웨어 기반 의약품 개발 기업 페어 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가 회복 중인 환자가 원격으로 가까운 의료기관의 의사를 통해 처방 디지털 치료제(PDT)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원격의료(telehealth) 서비스를 시작한다. 페어는 약물 사용 장애(SUD) 또는 먀악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OUD) 환자에게 대면 치료 옵션과 함께 '제공자 찾기 도구(find a provider tool)'로 원격 의료 제공자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도구를 이용하면 선별된 원격의료 제공자와 협력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처방 디지털 치료제인 reSET과 reSET-O를 포함한 치료 옵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환자가 거주하는 주에 있는 임상의사와 연결된다. 페어의 첫 원격의료 서비스는 원격 의료 중독 치료 제공업체인 퍼수케어(PursueCare)와 함께하며, 향후 이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다른 원격의료 2022.04.05
한국BMS제약,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오뉴렉' 국내 허가
한국BMS제약은 1일 1회 경구용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치료제 오뉴렉(Onureg, 경구용 아자시티딘)이 지난달 23일 성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의 유지요법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오뉴렉은 공고요법 시행 유무와 관계없이 유도요법 이후 완전 관해(Complete Remission, CR) 또는 불완전한 혈액학적 회복을 동반한 완전 관해(Complete Remission with incomplete blood count recovery, CRi)를 달성하고, 조혈모세포이식이 적합하지 않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성인 환자에서의 유지요법에 사용된다. 200mg과 300mg 2개 용량으로 허가됐다. 이번 허가는 3상 임상시험인 QUAZAR AML-001 연구에서 위약 대비 생존기간을 약 10개월 연장한 것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해당 연구는 ▲새롭게 진단된 신생(de novo) 급성 골수성 백혈병, 2022.04.05
코로나19 백신·치료제 특허 전세계 1882개 출원…中 1100건 이상으로 美 3배 넘어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초부터 2021년 9월까지 전세계 49개 특허청에 백신과 진단키트, 마스크 등 코로나19 관련 특허가 5293개 출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특허출원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중국으로 두 번째로 많은 미국보다 각각 3배 이상 많은 특허출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5일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특허 동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관련 특허출원이 1000개 미만, 에볼라바이러스 1173개, 지카바이러스 1171개인 것에 비해 많은 수치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특허출원은 417개, 치료제는 1465개로 총 1882개가 출원됐다. 치료제 관련 특허출원이 백신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기존 약물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려는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2.04.05
아이씨엠, 글로벌 신약개발 전문가 명제혁 사장 영입
퇴행성 질환 유전자치료제를 개발 회사 아이씨엠이 글로벌 신약 개발 전문가로 국내외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명제혁 박사를 사장으로 영입했다고 4일 밝혔다. 명 사장은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예일대학교에서 NIH NRSA Postdoctoral Fellow와 Anderson Postdoctoral Fellow를 역임한 뒤 미국 바이엘 신약 연구소 및 예일대에서 출발한 벤처 회사인 바이오렐릭스에 재직하며 다양한 분야의 신약 개발 업무를 수행했다. 바이엘 연구소에서는 항암 및 대사질환 영역의 디스커버리 연구와 병행해, 밀레니엄과의 전략적 제휴 과제 중 신규 항암 타겟 및 리드 발굴을 총괄하는 얼라이언스 매니저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후, 바이오렐릭스의 첫 번째 과학자 멤버로 영입돼 생물 총괄로 신약 개발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머크와의 전략적 제휴 성공에 있어 주도적 역할을 했다. 명 사장은 25년간의 해외 활동을 마친 후 2013년 보령제약에 영 2022.04.04
엔지켐생명과학, pDNA 코로나 백신 자이코브디 3상 결과 란셋 게재
엔지켐생명과학은 pDNA 코로나 백신 자이코브디 임상 3상에 대한 안전성 및 효능 분석 데이터가 란셋(The Lancet)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란셋에 게재된 결과는 자이코브디 중간 3상,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시험의 중간 효능 분석으로, 자이코브디 백신 3회 투여 후 28일째(총 84일)가 되는 날의 데이터다. 이번 임상은 2021년 1월부터 6월까지 인도에서 12세 이상 2만77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접종은 무바늘 주사 시스템(PharmaJet)을 사용해 피내 투여에 의해 28일 간격으로 3회 시행됐다. 1차 임상 유효성 평가변수는 세번째 접종 후 28일이 지나고 증상이 있는 코로나 19 RT-PCR+ 감염이 처음 발생한 참가자 수이며, 2차 평가 변수는 체액 및 세포면역원성 및 안전성이다. 자이더스 라이프사이언스(Zydus Lifesciences) 샤빌 파텔(Sharvil Patel) 대표이사는 "자이코브디의 임상 3상 결과가 란셋에 게재된 것을 기쁘게 생 2022.04.04
바이엘, '브레이크스루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바이엘은 1일 헬스케어 (healthcare)와 농업(agriculture) 분야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장기적 기회에 초점을 맞춘 브레이크스루 이노베이션(Breakthrough Innovation) 포럼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행사에서는 바이엘 전문의약품(Pharma) 및 크롭 사이언스(Crop Science) 사업부의 중·단기 (short- and mid-term) 파이프라인을 소개하고, 생명과학 분야에서 장기적으로 획기적인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바이엘이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진척 상황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는 저명한 전문가들과 바이엘의 임원들이 참석해 다가올 혁신의 물결이 차세대 헬스케어 분야에 새로운 기회를 여는 방안과 보다 더 지속 가능하고 보다 덜 자원 집약적인 솔루션을 농업분야에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아울러 바이엘은 2024년 말까지 13억 유로(한화 1조 7천억)의 자금을 투입해 립스 바이 바이엘의 임팩 2022.04.04
LAG-3 면역항암제와 키트루다 병용, PD-L1 불응 폐암 환자서 항종양 활성 높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치료가 어려운 PD-(L)1 불응성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2차 치료제로 키트루다와 함께 LAG-3(Lymphocyte Activation Gene-3) 면역항암제를 사용한 결과 환자의 73%가 6개월째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바이오텍 이뮤텝(Immutep Limited)이 1일 유럽종양학회(ESMO) 폐암 학술대회(ELCC 2022)에서 TACTI-002 2상 임상시험의 새로운 중간 분석 데이터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데이터에는 PD-L1이 미선별된 PD-X 불응성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뮤텝의 리드 후보물질인 IMP321(eftilagimod alpha)와 MSD의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제품명 키트루다)의 병용요법을 평가한 TACTI-002 연구의 파트B에서 비소세포폐암 1기(n=23)와 2기(n=13)를 결합한 첫 번째 중간 결과가 반영됐다. 총 36명이 등록 및 치료를 받았다. 환자들은 항-P 2022.04.04
中자체개발 폐암 신약 역량은…3세대 EGFR 저해 신약 2개 유럽폐암학회서 데이터 발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중국에서 자체 개발된 새로운 3세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표적치료제 2개에 대한 새로운 임상시험 데이터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 제품은 이미 중국에서 허가를 받은 뒤 미국에서 승인받기 위해 파트너사를 통해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3월 30일부터 4월 2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유럽종양학회(ESMO) 폐암 학술대회(ELCC 2022)에서 알리스트 파마(Shanghai Allist Pharmaceutical Technology, 艾力斯)이 개발한 퍼모너티닙(furmonertinib, 중국 제품명 Ivesa)의 3상 데이터와 산홈약품(Nanjing Sanhome Pharmaceutical, 圣和药业)이 개발 중인 오리티닙(oritinib, SH-1028)의 2상 데이터가 발표됐다. 대표적인 3세대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로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개발한 2022.04.02
옵트바이오-KIST강릉 천연물연구소, 피뿌리풀 피부노화 개선 기술이전
옵트바이오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 천연물연구소와 지난달 31일 강릉시청에서 ‘피부노화 개선 및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기능성화장품 및 의약외품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 협력 및 기술이전 조인식을 가졌다고 1일 밝혔다. 옵트바이오는 천연 기능성 소재를 이용해 기능성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원료를 개발하고 제조하는 기업으로 그동안 국내 자생식물로부터 고품질의 천연 추출물을 정량화하고 엄격한 생산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원료, 피부에 적합한 고순도의 천연물 원료를 연구하고 제조해왔다. KIST 스마트팜융합연구센터 노주원 박사팀은 몽골 칭기즈 칸 시대부터 창상(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 목적으로 사용된 피뿌리풀에 대해 연구한 결과 각질세포 이동, 콜라겐 합성, 주름유발효소 억제 등 관련 유전자 발굴 및 작용기전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최근에는 피뿌리풀 추출물의 발모 촉진 효과를 추가적으로 밝혀내는 등 피뿌리풀의 피부노화 개선 기술 관련 국내 및 다수의 해외 특허를 확보했다. 노 박사는 "전 세 2022.04.0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