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배진건 박사의 '코로나19에서 사람을 살리는 BASIC STORY'
메디게이트뉴스가 2019년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된 책 '사람을 살리는 신약개발 Back to BASIC'에 이어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신약개발 이야기를 담은 '코로나19에서 사람을 살리는 BASIC STORY'를 출간했다. 이 책의 저자인 신약개발 대가 배진건 박사는 코로나19가 한국에 처음 상륙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2020년 2월 14일부터 메디게이트뉴스에 코로나19에 대한 칼럼을 연재해왔다. 배 박사가 1년 넘게 코로나19에 대해 작성한 칼럼의 조회수를 합하면 총 64만 3218건에 달한다. 배 박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우한은 의과학 도시로, 중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신약개발 임상연구의 25% 이상이 우한에 위치한 병원에서 진행됐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최소 한달 이상 쉬쉬했다. 그 시기 중국의 가장 큰 명절인 춘절이 오며 억대 규모의 사람들이 이동했고, 바이러스는 더 크게 전파돼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이어졌다. 배 박사는 코로나19 상황이 어떻게 2021.09.06
한국MSD 의학정보포털 'MSD 온라인', 사용자 중심 'MSD 커넥트'로 새 단장
MSD의 한국 지사인 한국MSD가 자사의 의학정보포털 'MSD온라인(MSDOnline)'을 보다 사용자 중심으로 개편한 'MSD커넥트(MSDConnect)'를 6일 공개했다. 'MSD 커넥트'는 보건의료전문가를 위한 환자 중심의 의학정보 포털 사이트로 한국 MSD가 집중하는 네 가지 핵심 영역(▲항암 ▲백신 ▲당뇨 ▲항생제 및 마취)에 대한 폭넓은 의학 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개편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마케팅과 영업활동 증가를 고려,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원하는 질환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정보 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을 개선했다. 기존에 MSD온라인의 ▲웹캐스트 ▲의학 정보 요청 ▲환자 교육 자료 ▲제품 및 질환 정보 등의 서비스는 동일하게 제공된다. 새롭게 개편된 MSD 커넥트는 시작 화면에서부터 정보를 습득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클릭 한 번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콘텐츠와 디자인을 새롭게 구성했다. 최근 온라인 강의가 많아지는 트렌드를 반영, 48시 2021.09.06
제약사들, 먹는 코로나19 약 개발 활발…경구제로 치료·예방 모두 잡을 수 있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예방 및 치료용 주사제를 넘어 경구용 약물 개발에도 전세계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MSD와 화이자(Pfizer)는 최근 경구용 치료제에 대한 새로운 임상시험에 돌입했고, 이스라엘에서는 경구용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이 준비 중이다. MSD 몰누피라비르, 코로나19 걸리는 것 막아줄까 MSD와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Ridgeback Biotherapeutics) 1일(현지시간)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가 바이러스에 노출된 뒤 코로나19 질병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는 임상시험 MOVe-AHEAD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SARS-CoV-2 감염이 확인된 사람과 같은 가구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개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 효과를 평가하는 3상 임상시험이다. 몰누피라비르는 SARS-CoV-2를 포함해 여러 RNA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강 2021.09.04
지플러스생명과학, 국제학술지 'Vaccines'에 식물기반 코로나19 백신 논문 게재
지플러스생명과학이 자사의 식물기반 플랫폼으로 생산한 코로나19 백신 논문이 SCI급 주요 국제학술지 'Vaccines'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이 논문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가 공개된 직후 백신 후보물질로 유망한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의 RBD(receptor binding domain)부분을 선정하고, 식물기반 플랫폼을 통해 백신 후보물질을 생산해 동물실험(마우스)한 결과를 담고 있다. 실험에서 오리지널 바이러스(Original virus)에 대한 중화항체 형성을 확인하는 등 높은 수준의 백신 효과를 입증했다. 지플러스생명과학 측은 "회이번 논문 게재는 식물기반 백신으로 SCI급 주요 저널에 실려 국제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은 사례다"며 "향후 오송 식물호텔 시스템을 통해 백신 후보 물질을 대량 생산할 예정이며 해당 시스템으로 1회 생산 당 약 2만회 투여 분의 단백질 양산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지플러스생명과학의 식물기반 플랫폼은 기존 백신 개발 2021.09.03
프로테옴텍,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최우수상 수상
체외진단 의료기기 전문 바이오벤처 프로테옴텍이 2일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규제자유특구 챌린지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일 오전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자유특구 내 창업 활성화와 유망 스타트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실증사업 기반의 사업화 아이디어 경진대회인 '규제자유특구 챌린지'를 개최하고 심사결과를 발표했다. 프로테옴텍은 사람의 혈액을 이용해 10분 이내에 항생제 5종의 농도를 측정해 환자 특성에 맞춘 약품 처방용량을 정하는 현장진단키트를 발표해 특구사업과의 연계성 및 성장성 등에서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프로테옴텍 임국진 대표는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해 인류가 요청하는 혁신적인 기술의 질환진단제품을 조기에 산업화해 세계시장에서 K-Bio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본선에 오른 10개 기업 모두 창의적인 서비스로 지역 혁신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만큼 최대 5억원의 성장공유형자금을 지원해 미래 성장 가능성 2021.09.03
테고사이언스, 모낭 포함한 3D배양피부로 서울시 R&D 과제 선정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테고사이언스가 서울산업진흥원의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선정된 과제는 모낭을 포함하는 삼차원 배양피부모델 및 모델 기반의 동물대체시험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2년간 총 4억 7000만원이다. 해당 사업은 서울시가 서울산업진흥원을 통해 서울 소재 바이오〮의료 분야의 우수유〮망기술 보유기업을 지원해 시내 바이오·의료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테고사이언스는 일찍이 인체피부를 재현한 삼차원 배양피부모델 '네오덤'을 개발해 화장품/의약품의 동물실험금지 추세에 따른 동물시험대체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지원을 통해 모낭구조를 포함하는 배양피부를 상용화하고 이를 활용한 안전성과 유효성 분석까지 가능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테고사이언스 관계자는 "이 과제를 통해 모낭을 포함한 인간배양피부를 이용한 동물대체시험법을 개발함으로써 탈모/발모 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의 상용화는 물론, 당사의 탈모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고 말했다. 2021.09.03
노보 노디스크 삭센다, 2021년 2분기 비만치료제 중 매출 1위 기록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세계 최초 GLP-1(Glucagon-Like Peptide 1) 유사체 비만 치료제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티드)가 2분기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2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분기에 이어 1위를 수성했다고 2일 밝혔다.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삭센다는 전체 비만 치료제 시장 2분기 매출 386억 원 중 약 99억 원으로 약 2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1분기 연속 1위를 달성했다. 삭센다의 2분기 매출은 1분기 대비 약 48% 성장한 수치로 큰 폭의 반등에 성공하며 비만 치료제 시장을 리딩하고 있다. 또한 최근 1년 누적 매출액(MAT) 1위도 기록했다. 삭센다의 1년간 국내 연간 누적 매출액(MAT)은 약 352억 원으로 이는 전체 비만 치료제 시장의 약 25%에 해당한다. 노보 노디스크제약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은 "최근 다양한 연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코로나 펜데믹의 장기화가 비만 환자 증가 및 기존 비만 환자들의 건강 문 2021.09.02
한국에자이, 온라인 의학정보 사이트 '에자이-온' 런칭
한국에자이가 보건의료 전문가 대상의 온라인 의학정보 디테일링 서비스 사이트 에자이-온(On, 溫)을 런칭한다고 2일 밝혔다. 에자이-온(On, 溫)의 명칭은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을 통해 소통을 켤 수(On) 있다는 의미와 올바르고 정확한 의학정보 전달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을 개선하고 더 따뜻한(溫) 세상을 만들겠다는 의미를 함께 담고 있다. 에자이-온은 코로나19의 확산 이후 온라인 미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대면을 통한 의학정보 전달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 기획됐다. 메디컬과 마케팅 부서는 물론 인허가 및 컴플라이언스 관련 부서까지 참여한 태스크포스(Task Force)팀을 구성, 수 차례의 미팅을 통해 최적의 서비스 내용을 구축하는 등 약 1년 간의 개발 과정을 거쳐 공개됐다. 에자이-온은 ▲e-Library ▲Medical Affairs ▲1:1 Remote Detailing 등 크게 3가지 서비스로 구성돼 있다. e-Library는 에자이 주요 제품에 대한 정보 2021.09.02
보로노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800억원 기술수출
정밀 표적치료제 신약개발 전문업체인 보로노이 주식회사가 1일 브리켈 바이오테크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프로그램을 계약금 500만달러, 최대 3억 2350만달러 규모로 기술수출(Licensing-Out)했다고 밝혔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브리켈은 일라이 릴리, 노바티스, 앨러간 등 글로벌 제약사에서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및 시판에 관여한 경영진들이 포진해 있다. 브리켈은 현재 미국에서 다한증 치료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세포 내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DYRK1A 인산화효소를 억제하면 염증을 악화시키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도움T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염증을 진정시키는 조절T세포 분화를 촉진해 무너진 면역체계 균형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브리켈측은 이 같은 기전(MOA)을 바탕으로, 자가면역질환, 뇌염증 등 질환 치료제로 개발할 계획이다. 임상1상을 2022년에 진행한다. 로버트 브라운 브리켈 바이오테크 대표는 “무너진 면역체계를 회복하는 새로운 2021.09.02
근육감소증 치료제를 비만약으로 탈바꿈…美바이오 스타트업 800억원 시리즈A 투자유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노바티스(Novartis)가 근육감소증 치료제로 개발하다 실패했던 후보물질을 비만약으로 다시 개발하고 있는 미국 바이오 스타트업이 800억 원이 넘는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버사니스 바이오(Versanis Bio)가 액티빈 II형 수용체(activin type II receptor) 길항제인 비마그루맙(bimagrumab)의 임상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7000만 달러의 시리즈 A 자금 조달을 종료한다고 3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버사니스는 생명공학 투자 회사인 오디툼 바이오(Aditum Bio)가 올해 초 노바티스로부터 비마그루맙을 인-라이선싱(in-licensing)하며 대사질환 및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이번 시리즈 A 자금 조달은 아틀라스 벤처(Atlas Venture)와 생명과학 전문 벤처캐피탈 메디치(Medicxi)가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투자금은 임상 2상 프로그램을 시작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비마그루 2021.09.0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